국민 10명 중 6명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반대”

이유진 2023. 9. 14. 15: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육군사관학교(육사)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를 앞장서 주장해온 신원식 국민의힘 의원이 국방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가운데, 국민 10명 가운데 6명가량은 흉상 이전에 반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14일 여론조사기관인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11~13일 전국 만18살 이상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를 보면,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에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8%가 육사 교내에 설치된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에 반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 정부 ‘역사 쿠데타’]성인 1002명 대상 NBS 여론조사
78년만에 고국 땅으로 돌아온 독립운동가 홍범도 장군의 유해가 2021년 8월15일 오후 국립대전현충원에 임시 안치되고 있다. 연합뉴스

육군사관학교(육사)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를 앞장서 주장해온 신원식 국민의힘 의원이 국방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가운데, 국민 10명 가운데 6명가량은 흉상 이전에 반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14일 여론조사기관인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11~13일 전국 만18살 이상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를 보면,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에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8%가 육사 교내에 설치된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에 반대했다. 찬성은 26%, 모름·무응답은 17%였다.    

이념 성향별로 보면 진보층에서는 반대가 80%에 달했고 찬성은 12%에 그쳤다. 중도층에서도 반대가 66%로 과반이었고, 찬성은 20%였다. 보수층에서는 찬성(43%)이 반대(41%)보다 2%포인트 높았다. 흉상 이전 반대 의견은 40대(40~49살)에서 80%로 가장 높았고, 70살 이상에서 37%로 가장 낮았다. 다만 70살 이상에서는 모름·무응답도 31%에 달했고 찬성은 32%로 나타났다.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 앞에 설치된 고 홍범도 장군 흉상 모습. 연합뉴스

앞서 지난해 10월 신 후보자는 국회 국정감사에서 “홍범도 장군은 자유시 (참변)에서 독립군의 씨가 마르는 데 주역이었고 레닌의 권총도 받고 소위 소련군이 됐는데 굳이 이분의 흉상을 육사에 세워야 하냐”며 흉상 철거를 주장했다. 최근 국방부 역시 “자유시 참변과 연관돼 있다는 의혹”을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 이유의 하나로 내세웠다.

하지만 전두환, 김영삼 정부 당시에도 국방부 소속 기관이나 당시 국가보훈처는 홍범도 장군을 자유시 참변의 피해자로 규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보훈부의 전신인 국가보훈처가 전두환 정권 때인 1987년 작성한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 제4권에 있는 홍범도 장군 부분을 보면 “1921년 6월 소련 공산당의 배반으로 독립군은 무장이 해제되고 포로가 되는 등 소위 ‘자유시 참변’을 겪게 되었다”고 적혀 있다.

이 공훈록에는 국방부가 밝힌 자유시 참변 연관 의혹이 전혀 없다. 김영삼 정부 때인 1993년 국방부 소속 전쟁기념사업회가 작성한 ‘전쟁 유공 추모 대상자 공훈카드’의 홍범도 장군 ‘공적세부내용’에도 “소련으로 건너가 활동하다가 소련군의 배신으로 자유시 참변을 겪었다”고 적혀 있다. 해군 역시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6년 1800t 잠수함의 이름을 ‘홍범도함’이라고 결정하면서 자유시 참변에 대해 ‘홍범도 장군은 자유시 참변 이후 카자흐스탄으로 이주했다’ 정도로만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을 참고하면 된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