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 만에 가족과 다시 재회한 ‘가족’…장욱진 회고전

이한나 기자(azure@mk.co.kr) 2023. 9. 14. 09: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회고전서 270여점 펼쳐
까치·나무·해와 달 평생 탐구
파격적인 구도 완벽하게 소화
日서 귀환한 ‘가족’ 등 첫선
한국화 닮은 말년작 재발견
1955년작 장욱진 ‘가족’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13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개막을 앞둔 ‘가장 진지한 고백: 장욱진 회고전’에 1955년작‘가족’이 전시되어 있다. 오는 14일부터 개최하는 전시는 장욱진의 연구와 전시를 되짚어 보는 유화, 먹그림, 매직펜 그림, 판화, 표지화와 삽화 등 270여 점을 한 자리에서 조망한다. 2023.9.13 mjk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옛집처럼 나지막한 벽을 거쳐 들어가니 성소처럼 어두운 공간이다. 그곳을 손바닥만 한 그림 2점이 꽉 채웠다. 장욱진(1917~1990)과 가족이 평생 그리워했던 유화 ‘가족’(1955)과 그것을 기억하며 다시 그린 ‘가족도’(1972)다. 평생 가족을 그린 화가의 전범(典範) 같은 그림이다.

첫 개인전에서 일본인 소장가에 팔려 주요 전시 때 마다 수배했지만 60여년간 행방이 묘연했던 작품을 일본에서 발굴해 흰곰팡이를 제거하는 등 응급 보존처리 후 대중에 처음 공개됐다.

그림에도 등장하는 큰딸 장경수 양주시립미술관 명예 관장은 “60여년 만에 봤는데 먼지가 뽀얗고 조금 훼손됐을 뿐 당시 들락날락하면서 봤던 그림 그대로여서 눈물이 났다”고 말했다.

장욱진, 자화상(1951) 종이에 유화물감, 14.8×10.8cm, 개인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장욱진, 자화상(1973), 캔버스에 유화 물감, 27.5 × 22cm, 개인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이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14일 개막한 그의 대규모 회고전 ‘가장 진지한 고백’에서 만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작가가 1920년대 다채로운 화풍을 시도하며 공모전에 참가하던 학창 시절부터 1990년 작고 때까지 그린 유화와 먹그림, 매직펜 그림, 판화, 표지화와 삽화, 도자기 그림 등 270점을 역대 최대 규모로 펼쳤다.

또 한국 전쟁 후 생계를 위해 소설가 염상섭의 장편소설 ‘새울림’에 그렸던 삽화 56점과 마지막 유화 작품 ‘까치와 마을’(1990)도 처음 공개됐다.

‘동심 가득한 작은 그림’ 작가로 알려진 1세대 모더니스트 화가의 주제의식과 조형의식의 변모를 짚어가며 작가의 진면목을 발견할 소중한 기회다.

장욱진, 언덕 위의 가족(1988), 캔버스에 유화 물감, 33×24cm, 개인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무엇보다 장욱진 그림에서 작가의 분신 같은 까치, 온 세상을 품는 우주인 나무, 시공간을 초월한 영원성을 상징하는 해와 달 등 반복되는 소재의 의미, 도상적 특징을 비교하면서 볼 수 있어 흥미롭다. 아울러 기존 화가들이 좀처럼 쓰지 않던, X자나 왕(王)자, 십자, 변각 등 비현실적이거나 불안정한 구도를 나무와 집 등 흔한 소재를 더해 안정적으로 풀어낸 솜씨가 놀랍다.
장욱진, 부엌과 방(1973), 캔버스에 유화 물감, 22 × 27.5cm,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어린아이처럼 단순한 선으로 표현한 인간과 가족처럼 조화로운 동물 모습은 평면성이 극대화된 원시 벽화를 연상시킨다. 해방후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로 근무하며 고구려 고분벽화 복원에 참여한 이력도 작품세계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에도 문인화와 민화 전통까지 흡수해 ‘장욱진’이란 브랜드로 한국적 모더니즘을 완성했다.
장욱진, 심우도(1979), 종이에 먹, 66.5 × 43.4cm, 개인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작가는 생전에 “그림은 그려지는 것이 아니라 툭툭 튀어나온다”며 텅 빈 마음 상태에서 비로소 붓을 든다고 고백한 바 있다. 1970년대 말부터 본격 그린 먹그림 등 말년작에서는 불교 색채가 강해졌다. 작가 스스로 ‘붓장난’이라 일컬었을 정도로 무계획적인 필선으로 자유분방하다. 형태를 즉흥적으로 간략하게 표현한 ‘심우도’(1979)는 순간의 깨달음을 시각화한 선종화의 미학적 요소를 갖춘 수작으로 꼽힌다. 넓어지는 여백만큼 좁은 화폭에서 벗어나 더욱 자유로와지고 해학성도 엿보인다.

배원정 학예연구사는 “전시를 준비하면서 첫 가족도를 새롭게 발굴하기도 했지만, 아카이브 조사를 통해 초기 작가의 행적을 보완하며 작품명이나 연보 등 오류를 바로잡은 것도 성과다”라며 “그림 속 점 하나, 선 하나 엄격하고 치열한 고민 끝에 완성해 나간 완벽주의자로서 작가 면모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열리는 장욱진 회고전 전경. 작가가 작업실 벽에 걸었던 작품들을 배치했다. <국립현대미술관>
실제 작가가 명륜동 작업실 벽에 걸었던 그림들을 흡사하게 되살린 장면은 반갑다. 자식 같은 작은 그림들이 걸린 방에서 그만큼 작은 화폭을 바닥에 놓고 쪼그려 앉아 수공업 장인처럼 그렸던 화가의 모습을 사진으로 확인하면 작품이 또 달리 보인다. 평생 수행처럼 그려서 일상과 작품이 하나가 된 ‘물아일체’의 경지에 도달한 듯싶다. 아침에 염불 외는 아내 모습에 감화받아 7일간 식음을 전폐하며 보살로 그렸다는 ‘진진묘’(1970)처럼 소박한 일상이 종교적으로 승화하는 경지를 느끼게 된다.

전시는 내년 2월 12일까지.

한국근현대 미술 대표 화가 장욱진 회고전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13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가장 진지한 고백: 장욱진 회고전’간담회 참석자가 전시를 둘러보고 있다. 2023.9.13 mjk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개막 앞둔 장욱진 회고전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13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관계자가 ‘가장 진지한 고백: 장욱진 회고전’을 준비하고 있다. 오는 14일부터 개최하는 전시는 장욱진의 연구와 전시를 되짚어 보는 유화, 먹그림, 매직펜 그림, 판화, 표지화와 삽화 등 270여 점을 한 자리에서 조망한다. 2023.9.13 mjk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열리는 장욱진 회고전 전경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열리는 장욱진 회고전 전경. 자기에 그린 작품과 유화를 함께 선보였다. <국립현대미술관>
장욱진, 까치(1958), 캔버스에 유화 물감, 40×31cm, <국립현대미술관>
장욱진, 밤과 노인(1990), 캔버스에 유화 물감, 41 × 31cm, 개인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장욱진, 여인상(1979), 캔버스에 유화 물감, 15 × 10cm, 개인소장 <국립현대미술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