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ling the truth behind the tragic sinking (KOR)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45년 8월 24일.
광복의 기쁨을 안고 한국으로 돌아오던 일제 강제징용자들을 태운 배가 의문의 폭발 사고로 침몰했다.
1945년 8월 22일 19시 20분 일본 해군 운수본부장이 우키시마호 선장에게 내린 '항행금지 및 폭발물처리' 문서였다.
문서에는 '1945년 8월 24일 18시 이후 ▶지금 출항 중인 경우 이외는 항행 금지하라 ▶각 폭발물의 처리는 항행 중인 경우 무해한 해상에 투기하라, 항행하지 않은 경우 육지 안전한 곳에 넣어두라(격납)'고 돼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WE SUNG-WOOKThe author is the Busan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On Aug. 24, 1945, a ship carrying Japan’s forced labor survivors returning to Korea with the joy of liberation sank due to a mysterious explosion. It was the Ukishima Maru, which took forcibly mobilized Koreans from Aomori and Hokkaido in Japan two days before sinking in Maizuru Bay, Kyoto, Japan.
It was a 4,731-ton Japanese naval transport vessel originally built as a passenger ship.
At the time, Japan officially announced that 524 Koreans died, but survivors claimed that there were about 7,000 to 8,000 passengers on board, and at least 2,000 to 3,000 people died. The exact number has not been confirmed yet, but countless Koreans drowned to death before stepping on their homeland they had longed for since liberation.
The problem is that 78 years have passed since but the exact cause of the sinking was not identified. Japan has been arguing that the ship was bombed by a mine dropped by the U.S. military. But there were voices, especially among the survivors, suspecting Japan’s involvement.
Then in 2016, a Japanese government record was released that explosives were loaded on the ship. It is the “Navigation Ban and Disposal of Explosives” issued by the Japanese Navy Transportation Director to the captain of Ukishima Maru at 7:20 p.m. on Aug. 22, 1945.
The document states, “After [6:00 p.m.] on Aug. 24, 1945, navigation is prohibited unless it is currently sailing. Already on sail, each explosive should be disposed of by throwing it into the water. If not on sail, keep them in a safe place on land.” But the ship did not dispose of the explosives and left Ominato Port in Aomori Prefecture at 10 p.m. on August 22.
In the spring of 2016, Kim Mun-gil — then adviser to the Association of Korean Victims of Ukishima Sinking — obtained the document from a Japanese and first released it at the fact-finding seminar in Busan on August 8. Criticism grew over Japan’s accountability for the disastrous deaths of the survivors.
The ship drew attention as it was made into a movie and documentary at home and abroad, starting with Japanese public broadcaster NHK’s 1977 documentary “Sinking by Explosion.” But the truth of the day is not yet confirmed.
Meanwhile, there have been growing calls to build a memorial space for the victims of the Ukishima sinking at the first pier of Busan Port, which was the destination of the voyage back home after liberation. The Northeast Asian Peace and the Ukishima Victims Memorial Association had a news conference at the Busan City Council’s briefing room on Aug. 7 and said that Busan Port was directly related to the incident. They hoped to create a peace tower and history memorial space together.
The ship was salvag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in 1954, but most of the remains are still buried at sea and haven’t returned home. To find the truth behind the tragic incident, we need to work to remember the victims at sea shortly after the liberation on Aug. 15, 88 years ago.
침몰 78년, 아직도 돌아오지 못한 우키시마호위성욱 부산총국장
1945년 8월 24일. 광복의 기쁨을 안고 한국으로 돌아오던 일제 강제징용자들을 태운 배가 의문의 폭발 사고로 침몰했다. 그 이틀 전 일본 아오모리(靑森)와 홋카이도(北海道)에 강제징용된 조선인을 태우고 떠나 이날 오후 일본 교토(京都) 마이즈루(舞鶴) 만에서 침몰한 우키시마(浮島)호다.
당시 일본이 발표한 한국인 공식 사망자는 524명. 하지만 생존자 등은 “승선자가 7000~8000명 정도였고, 적어도 2000~3000명이 죽었다”고 주장했다. 정확한 숫자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수많은 한국인이 해방 이후 그토록 그리던 고국 땅을 밟지 못한 채 바닷속에 수장됐다.
문제는 사건이 발생한 지 78년이 흘렀지만, 아직 정확한 침몰 원인 등이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동안 일본 측은 미군이 투하한 기뢰에 의해 배가 폭침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생존자 등을 중심으로 일본 측의 연관성을 의심하는 목소리도 계속됐다.
이런 가운데 2016년 우키시마호에 폭발물이 실려있었다는 일본 정부 기록물이 공개되기도 했다. 1945년 8월 22일 19시 20분 일본 해군 운수본부장이 우키시마호 선장에게 내린 ‘항행금지 및 폭발물처리’ 문서였다.
문서에는 ‘1945년 8월 24일 18시 이후 ▶지금 출항 중인 경우 이외는 항행 금지하라 ▶각 폭발물의 처리는 항행 중인 경우 무해한 해상에 투기하라, 항행하지 않은 경우 육지 안전한 곳에 넣어두라(격납)’고 돼 있다. 하지만 우키시마호는 폭발물 처리를 하지 않고 22일 오후 10시 아오모리 현 오미나토(大湊)항을 출항했다.
이 문서는 당시 김문길 우키시마호 폭침 한국인희생자추모협회 고문이 2016년 봄 일본인에게서 넘겨받아 그해 8월 8일 부산에서 열린 진상규명 세미나에서 처음 공개했다. 일본 측 책임론이 더 불거졌다.
우키시마호는 1977년 일본 공영 방송 NHK가 ‘폭침’이라는 다큐멘터리를 방영한 것을 시작으로 국내외에서 영화나 다큐멘터리로 만들어지며 관심을 끌었으나 아직 그날의 실체적 진실이 확인되지는 않았다. 이런 가운데 최근 해방 귀국선 우키시마호의 목적지였던 부산항 1부두에 우키시마호 희생자 추모 공간을 만들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동북아평화·우키시마호희생자추모협회는 지난 7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항은 일제 강제동원 한국인의 출항, 귀항이 이뤄지던 곳으로 우키시마호 사건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며 “우키시마호 추모평화탑·역사추모공간 등이 함께 조성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우키시마호는 1954년 일본 측이 인양했으나 바닷속에 수장된 유해는 대부분 아직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실체적 진실을 인양하기 위해서라도 그들을 기억하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TS's Jungkook, Blackpink, Tomorrow X Together, Stray Kids win awards at VMAs
- Son Heung-min refuses to take iPhone selfie with fan due to Samsung sponsorship
- Lead actors of 'A Time Called You' tell how they dealt with the pressure
- Oneus to begin second world tour in October
- Apple snubs Korean market with delayed release of iPhone 15
- RM donates to princess's robe restoration
- Gov't triples compensation for Covid-19 vaccine deaths to 30 million won
- Putin offers assistance to North's satellite program
- [NEWS ANALYSIS] Huawei's 'breakthrough' questioned as China still lags in chip space
- Mamamoo's Hwasa attends police questioning after being sued for alleged public indec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