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의금 봉투 '축화혼' 대신 '결혼축하' 어때요[반갑다 우리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언어(말)는 의사소통의 도구를 넘어 국민의 알 권리와 인권을 실현하는 연장입니다.
특히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공공언어는 국민이 정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우리말로 써야 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조사 봉투 문구 한글 바꾸기 움직임
국립국어원, 관혼상제 대안어 마련도
한자만 적혀있던 경조사 부조 봉투 문구를 한글로 바꾸는 시도들이 눈에 띈다. 이 변화를 처음 주도한 이는 한글사랑을 실천해 온 농촌진흥청 성제훈 전 대변인이다. 그는 지난 2020년 당시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농진청 대변인실에서는 한자로 썼던 경조사 봉투를 한글로 바꿨다”며 바뀐 경조사 봉투 사진을 올렸다.
새 경조사 봉투에는 ‘축화혼’ 대신 “결혼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부의’ 대신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라는 한글 문구를 적었다. 그는 “우리 글자는 한글이고 한자는 중국 글자”라며 “우리 글자가 없다면 모를까, 한글이라는 멋진 글자가 있는데 굳이 한자를 쓸 까닭이 없다고 본다”고 취지를 전했다.
국립국어원은 지난해 관혼상제 49개 용어(관례 용어 2개, 혼례 용어 22개, 상례 용어 22개, 제례 용어 3개)에 대한 대안어를 마련하기도 했다. 국립국어원 측은 “전통을 존중하면서도 언어 표현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세대나 분야 간 갈등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기존 한자 용어와 새로운 쉬운 용어가 공존하도록 했다”며 “또 굳이 쓰지 않아도 될 외래 용어나 거의 쓰지 않아 뜻을 알기 어려운 일부 한자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꿨다”고 했다.
예를 들면 혼례 용어 ‘웨딩홀’이나 ‘베뉴’와 같은 외국어는 ‘예식장’으로 대안어를 마련했으며, 의미를 잘 알지 못하고 쓰는 ‘피로연’은 ‘피로연(뒤풀이)’으로 나란히 쓰도록 했다. 또 상례 분야에서 ‘근조, 부의, 조의’와 같은 말이 쓰이고 있으나 최근엔 그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늘고 있는 만큼 ‘삼가 명복을 빕니다’, ‘고이 잠드소서’와 같은 표현으로 대체하도록 대안어를 제안했다.
김미경 (midory@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절규로 봐달라"...'똥 기저귀 투척' 학부모의 항변
- 정의선이 만든 괴물차 아이오닉 5 N..“단 1초의 지루함도 없다”
- '대전 교사 사망' 분노 산 김밥집, 폐점까지 막전막후[궁즉답]
- “칼 버리세요” 흉기들고 달려든 男 여경 테이저건에 제압[영상]
- 최태원 텀블러 만든 ‘우시산’…“환경문제 해결, 지역 일자리 창출 앞장”
- 中 재벌 이혼 증가…지분 매각 우려 커지자 단속
- 시신에 쇠구슬 100개 이상 박혔다…쓰레기통서 터진 폭발물[그해 오늘]
- 피해자 CPR 중인데…“목 말라, 물 줘” 최윤종의 ‘황당 요구’
- '거미집' 박정수 "70년대 촬영 현장, 안기부가 전부 검열했다"
- 어떤 대회는 3라운드, 어떤 대회는 4라운드…왜 라운드 수가 다른 걸까요?[궁즉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