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수원·윤석현 디자이너 "재활용 재료로 만든 가구…지속가능성 고민했죠"

이윤정 2023. 9. 14. 05: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바람의 건축가'로 불렸던 고(故) 유동룡(1937∼2011, 이타미 준)은 생전 '종이면 종이, 나무면 나무, 돌이면 돌 모든 것에는 나름의 언어가 있다'고 강조했다.

윤 디자이너는 국내에서도 '지속가능성'이라는 주제가 많이 다뤄지는 것 같아 뿌듯한 마음이 든다고 했다.

윤 디자이너는 "유럽에서는 이미 오랜 시간 미술이나 디자인 분야에서 지속가능성이 관심을 받아왔다"며 "앞으로 지속가능성이 어느 분야에서나 당연한 주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자인 듀오 '더 나이브 사이드'
'아트 트랙 제주 2023' 참여
잔석·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든 오브제
유동룡미술관서 14점 선보여

[제주=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재활용 재료들을 사용해서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어요. 작업을 진행할 때 이 재료를 통해서 어떤걸 이야기하고 싶은지 고민하다보니 재료 선택에 많은 공을 들이죠.”(채수원 디자이너)

“저희의 디자인이 난해할 수 있고 ‘지속가능성’이라는 주제가 피부에 와닿지 않을 수 있어요. 네덜란드에서 지속해오던 작업 스타일을 한국 관객들에게 최대한 쉽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어요.”(윤석현 디자이너)

‘바람의 건축가’로 불렸던 고(故) 유동룡(1937∼2011, 이타미 준)은 생전 ‘종이면 종이, 나무면 나무, 돌이면 돌 모든 것에는 나름의 언어가 있다’고 강조했다. 살아있는 조형이란 그 풍토에서 빚어져 나온 것이라야 한다는 게 그의 철학이었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을 추구하며, 소재 하나하나의 물성을 깊이 탐구했던 그의 건축 스타일은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선사했다.

유럽에서 주목받고 있는 한국 디자이너 듀오 채수원(32)·윤석현(31) 작가가 이같은 철학을 바탕으로 자연친화적인 작품을 선보인다. 오는 10월 1일까지 제주에서 열리는 아트 페스티벌 ‘아트 트랙 제주 2023(ART TRACK JEJU 2023)’에서다. 두 사람은 페스티벌에 동참해 유동룡미술관에서 총 14점을 전시한다. 올해 처음 열리는 ‘아트 트랙 제주’는 스피커가 새롭게 기획한 참여형 문화예술 프로젝트다. 국내외 아티스트들이 미술관·편집숍·카페 등 제주의 공간들을 전시장으로 삼아 다채로운 예술 콘텐츠를 소개한다.

두 사람은 놀이하듯 만드는 원초적 창작 행위에 흥미를 느껴 2021년 ‘더 나이브 사이드’를 만들었고, 2년 만에 결과물을 내놓게 됐다. 8일 제주 한림읍 유동룡미술관에서 만난 채수원 작가는 “그룹명인 ‘나이브’(naive·순진무구한)는 어린아이처럼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고 디자인을 통해 우리 안의 즐거움을 찾고자 하는 마음이 담겨있다”며 “우리의 창의성과 보여주고 싶은 아름다움을 자연친화적인 작품으로 표현하려 했다”고 말했다.

디자이너 듀오 ‘더 나이브 사이드’의 채수원(왼쪽) 디자이너와 윤석현 디자이너(사진=스피커).
두 사람은 지속가능한 예술에 천착해왔다. 채 디자이너는 붉은 황토·젤라틴 등으로 만든 신소재 ‘오크라겔라’로 ‘길트리스 플라스틱 어워즈’에서 ‘혁신적 소재상’을 수상한 바 있다. 윤 디자이너는 토양 오염을 발생시키는 유약 대신 ‘옻’을 바른 도자기 시리즈 등을 선보이며 주목받았다.

두 사람을 이어준 건 학교였다. 세계 최고의 디자인 학교 중 하나인 네덜란드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의 ‘인간과 웰빙’ 학부에서 함께 수학하며 인연을 쌓았다. 윤 작가는 “다양한 소재와 디자인이 인간과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연구하고 고민해왔다”며 “작품의 제작부터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역할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 나이브 사이드 ‘PIECE’ 시리즈(사진=스피커).
이러한 고민의 흔적은 작품들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작품의 주요 재료는 석재 산업 과정에서 나오는 ‘잔석’, 재활용 플라스틱과 아크릴이다. ‘PIECE’ 시리즈는 3가지 피스를 조합해 만든 가구다. 모두 버려지는 것들을 활용해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의자, 사이드 테이블 등으로 만들었다. 워터젯을 사용해 돌을 깎고, 녹인 플라스틱을 이어붙여 탄생한 작품들이다. ‘Mimic’은 제주의 느낌이 물씬나는 돌과 재활용 플라스틱, 아크릴 소재를 섞어 만들었다. 채 디자이너는 “어떤 것이 자연의 것이고, 어떤 것이 인간이 만들어낸 것인지 모호해진 오늘날의 경계를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대리석을 다루는 공장에 가면 한켠에 ‘잔석’이 가득해요. 처분해야 하는 돌들을 가져간다고 하니 되레 좋아하셨죠. 하하. 정말 최소한의 비용으로 지속가능한 작품을 만들었어요.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조화롭게 만드는 과정이 힘들기도 했지만 즐거웠습니다.”

윤 디자이너는 국내에서도 ‘지속가능성’이라는 주제가 많이 다뤄지는 것 같아 뿌듯한 마음이 든다고 했다. 윤 디자이너는 “유럽에서는 이미 오랜 시간 미술이나 디자인 분야에서 지속가능성이 관심을 받아왔다”며 “앞으로 지속가능성이 어느 분야에서나 당연한 주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 나이브 사이드의 ‘Mimic’(사진=스피커).

이윤정 (younsim2@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