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 전 자취를 감췄던 ‘소똥구리’의 귀환
환경부·국립생태원 야생 복원
몽골 개체 도입해 4년간 증식
충남 태안군 해안사구에 방사
50년 전 한국에서 사라진 소똥구리가 경단을 만들어 굴리는 모습을 다시 볼 수 있을까.
1970년대 이후 국내에서 자취를 감춘 소똥구리가 충남 태안의 신두리 사구에 돌아온다.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국내에서 절멸된 곤충 소똥구리의 야생 복원을 위해 13일 충남 태안군 신두리 해안사구에서 증식해온 개체들을 방사할 계획이라고 이날 밝혔다.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서식하던 소똥구리는 구충제와 농약의 남용, 방목식에서 공장식으로 변화된 축산 환경, 농기계 상용화 등으로 1960~1970년대 사이 급격히 감소했다.
1970년대 이후에는 발견됐다는 공식 기록이 아예 없어 한반도에서는 절멸된 상태로 여긴다.
국립생태원은 2019년부터 몽골에서 소똥구리를 도입해 생활사와 먹이원, 서식 환경 분석 등의 기초생태연구를 진행해 왔다. 또 최적의 사육조건 규명, 인공증식 안내서 마련 등 인공증식기술 개발 및 야생 적응성 연구도 추진해 왔다.
국립생태원은 소똥구리 200마리를 증식하는 데 성공했고, 이번에 처음으로 국내 자연환경에 방사한다. 생태원은 자연 방사를 통해 소똥구리가 실제 생태계에서 서식할 수 있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방사 대상지인 신두리 해안사구에는 현재 한우가 방목 중이다. 소똥구리 번식에 유리한 모래 토양으로 구성돼 있다. 생태원은 방사된 소똥구리가 한우 분변을 활용해 성장하고 이 과정에서 분변을 분해한다면 오염물질 저감, 토양 개량뿐만 아니라 메탄가스 분해 등 온실가스 발생까지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몸길이 10~16㎜인 소똥구리의 수명은 2~3년이며, 늦봄부터 가을(4~9월)까지 활동하고 10월쯤부터는 성충 상태로 동면에 들어간다. 산란기가 되면 가축의 배설물로 경단을 만들어 땅속에 묻은 후 알을 낳는다. 국내 소똥구리류 중 3종이 경단을 굴리는데 이 중 소똥구리와 왕소똥구리는 절멸했고 긴다리소똥구리만 남아 있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석열 대통령은 남은 임기 절반 채울 수 있을까
- “이러다간 또 탄핵”… 신용한이 인수위를 떠난 까닭
- [스경X이슈] 김광수 vs 티아라 화영, 진짜 싸움 시작인가…12년 전 왕따 사건 ing
- 유승민 “역시 ‘상남자’···사과·쇄신 기대했는데 ‘자기 여자’ 비호 바빴다”
- ‘만선의 비극인가’…금성호, 너무 많은 어획량에 침몰 추정
- “머스크가 최대 수혜자?”…트럼프 당선에 테슬라 시총 1조 달러 돌파
- 북한, GPS 교란 도발…선박·항공기 등 운항 장애 발생
- 로제 ‘아파트’ 영국 싱글 차트 3주 연속 최상위권
- 억대 선인세 받고 영국서 출판되는 ‘K-라면’ 에세이
- 때로는 익숙한 풍경이 더 눈부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