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 전 사라진 소똥구리, 태안 신두리 사구에 돌아온다

김기범 기자 2023. 9. 13. 14: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분변 등으로 만든 경단을 굴리고 있는 소똥구리 한 쌍. 국립생태원 제공.

50년 전 한국에서 사라진 소똥구리가 경단을 만들어 굴리는 모습을 다시 볼 수 있을까.

1970년대 이후 국내에서 자취를 감춘 소똥구리가 충남 태안의 신두리 사구에 돌아온다.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국내에서 절멸된 곤충 소똥구리의 야생 복원을 위해 13일 충남 태안군 신두리 해안사구에서 증식해온 개체들을 방사할 계획이라고 이날 밝혔다.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서식하던 소똥구리는 구충제와 농약의 남용, 방목식에서 공장식으로 변화된 축산 환경, 농기계 상용화 등으로 1960~1970년대 사이 급격히 감소했다. 1970년대 이후에는 발견됐다는 공식 기록이 아예 없어 한반도에서는 절멸된 상태로 여긴다.

분변 등으로 경단을 만들고 있는 소똥구리 한 쌍. 국립생태원 제공.

국립생태원은 2019년부터 몽골에서 소똥구리를 도입해 생활사와 먹이원, 서식 환경 분석 등의 기초생태연구를 진행해 왔다. 또 최적의 사육조건 규명, 인공증식 안내서 마련 등 인공증식기술 개발 및 야생 적응성 연구도 추진해 왔다.

국립생태원은 소똥구리 200마리를 증식하는 데 성공했고, 이번에 처음으로 국내 자연환경에 방사한다. 생태원은 자연 방사를 통해 소똥구리가 실제 생태계에서 서식할 수 있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방사 대상지인 신두리 해안사구에는 한우가 방목 중이다. 소똥구리 번식에 유리한 모래 토양으로 구성돼 있다. 생태원은 방사된 소똥구리가 한우 분변을 활용해 성장하고 이 과정에서 분변을 분해한다면 오염물질 저감, 토양 개량뿐만 아니라 메탄가스 분해 등 온실가스 발생까지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흔히 소똥구리 하면 떠올리는 소똥을 굴리는 모습을 관찰할 수도 있다.

분변을 분해하고 있는 소똥구리들. 국립생태원 제공.

몸길이 10~16㎜인 소똥구리의 수명은 2~3년이며, 늦봄부터 가을(4월~9월)까지 활동하고 10월쯤부터는 성충 상태로 동면에 들어간다. 산란기가 되면 가축의 배설물로 경단을 만들어 땅속에 묻은 후 알을 낳는다. 국내 소똥구리류 중 3종이 경단을 굴리는데 이 중 소똥구리와 왕소똥구리는 절멸했고 긴다리소똥구리만 남아있다. 경단을 만들지 않는 애기뿔소똥구리는 초식동물의 분변 아래로 굴을 파고 들어가 먹이를 찾고 알을 낳는다.

긴다리소똥구리는 1990년과 2013년, 2020년에 드물게 확인됐다. 2020년에는 서부 민간인 통제구역 내 경기 파주에서 민간연구기관인 DMZ 생태연구소의 생물상 조사에서 긴다리소똥구리와 애기뿔소똥구리가 멧돼지, 고라니의 배설물에서 발견됐다.


☞ [단독] 사라진 줄 알았던 '긴다리소똥구리' 민통선에 살고 있었네···7년 만에 파주서 발견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009150600001


☞ 멸종한 줄 알았는데 살아있었네... 민통선 생태보고 '둠벙'을 아시나요[살아남아고마워]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010301101001

안세창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교과서에서만 볼 수 있었던 소똥구리를 미래 세대들이 생태계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증식기술을 고도화하고 서식 환경을 개선할 것”이라며 “앞으로 단계적으로 멸종 위기 곤충인 수염풍뎅이와 닻무늬길앞잡이 등의 복원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