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만명 몰린 드림아카데미…이들은 왜 K팝 스타가 되려 할까

김민지 기자 2023. 9. 13. 09: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브루클린, 마농, 렉시, 칼리, 일리야, 소피아, 사마라, 나영, 라라, 셀레스테, 아델라, 다니엘라, 히나리, 메간, 우아, 에밀리, 에즈렐라, 마키, 메이, 윤채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하이브와 게펜 레코드가 진행하는 걸그룹 오디션 프로그램 '더 데뷔: 드림아카데미'에 지원자가 12만 명 몰렸다.

여느 오디션처럼 방송 프로그램으로 중계하지 않는데다, 투표도 팬덤 라이프 플랫폼 위버스(Weverse)와 유튜브를 통해서만 진행되고, 팝 본고장 미국 회사도 아닌 한국의 기획사가 주도하는 이 행사에 왜 글로벌 팬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을까. 전문가들은 드림아카데미 인기 요인으로 K팝, 제작 시스템, 꿈의 실현 세 가지를 꼽는다.

우선, K팝은 주류 팝 시장에서 그 자체로 하나의 장르로 자리매김했다. 스포티파이 등 해외유명 음원 서비스에서는 K팝을 R&B나 힙합처럼 별도의 플레이리스트로 분류해서 제공한다. 권위를 자랑하는 음악상 시상식인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에서는 아예 K팝 아티스트 상이 신설됐다. 그 정도로 독립된 장르가 됐다는 의미다.

루미네이트 리포트에 따르면 글로벌 스트리밍(음원+영상) 기준 톱 10,000위 음원의 언어 비중에서 한국어는 3.1%로 4위를 기록하고 있다. 전세계 80억 인구 중 한국어를 쓰는 인구의 비율이 0.6%임을 감안하면 전세계 음악 시장에서 한국의 영향력을 가늠할 수 있다. K팝이 지정학적 의미를 넘어 하나의 인기있는 음악 장르로 정착한 상황에서 K팝 아티스트를 선발한다고하자 참가자가 몰렸다는 분석이다.

둘째,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더 데뷔: 드림아카데미'를 착수한 이유에서 밝힌 'K팝 방법론'에 대해 글로벌 음악 시장이 주목하고 있다. K팝 회사들은 가능성 높은 유망주를 발굴해 전문가들의 지도하에 체계적인 트레이닝을 거쳐, 보컬·댄스부터 인성 교육까지 ‘완성형 아이돌’로 길러낸다. 이어 전문가들의 협력으로 제작된 앨범으로 데뷔시키고, 팬덤이 형성될 수 있는 커뮤니티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된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팝 장르나,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제작 시스템 덕분에 K팝은 단순히 음악이라는 콘텐츠가 아닌 하나의 문화이자 방법론으로 확대됐다. 참가자가 몰린 현상은 이같은 방법론이 성공 가능성을 높여준다는 신뢰감이 작용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드림아카데미는 보고 즐기며 동경하던 K팝을 직접 실연하며 스타가 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장(場)으로 평가 받는다. 실제 이번 경연에 참가 중인 셀레스테(아르헨티나)는 자기 소개 영상에서 방탄소년단 콘서트를 관람했던 후기를 들려주며 "K팝을 처음 접하고 감명받았다, 언젠가 나도 이런 일을 하고 싶다는 꿈을 갖게 됐다"라고 밝힌 바 있다. 사마라(브라질)는 "피부색이나 출신은 중요하지 않다"며 K팝 스타가 되는 데 대한 기대감을 표했다. 하이브 관계자는 "해외에서 K팝 커버 댄스 행사가 열리면 수만명이 몰릴 정도로 잠재적인 K팝 스타 지망생들이 많았다"며 "드림아카데미가 수많은 예비 스타들에게 꿈을 실현할 기회를 제공하면서 관심이 급증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K팝이 지닌 다양성과 무궁무진한 확장성도 매력 포인트다. K팝의 전체 글로벌 음악 시장 점유율은 3~4% 수준으로 아직 낮지만, 다양한 세대와 인종을 결집할 수 있는 콘텐츠로써 가능성을 높게 평가받고 있다. 예컨대 블랙핑크의 리사(태국)나 트와이스의 모모, 미나, 사나(일본), 쯔위(대만)의 모국 팬들은 K팝 아티스트로서 세계 무대를 주름잡고 있는 이들을 보고 뿌듯해 한다. 팬들은 마치 올림픽에 출전한 국가대표 선수를 바라보듯 자국 출신 멤버를 응원하고, K팝은 쉽게 넘볼 수 없던 주류 팝 시장으로 가는 지름길이 됐다.

아시아권뿐 아닌 북남미 지역에서도 비슷한 기류가 있다. 미국 콘텐츠 산업동향 보고서(2023년 3호/KOCCA)를 살펴보면 현지에서 가장 다양한 인종, 다양한 민족을 대표하는 Z 세대의 K팝 소비 비중이 크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미국의 Z 세대는 다른 세대들과 비교했을 때 80% 더 K팝을 듣는다고 답했다.

하이브 관계자는 "다양성을 포용하는 시대적 흐름과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음악과 퍼포먼스,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해외 젊은 층의 정서가 드림아카데미와 일치하는 측면이 많다"며 "앞으로 공개될 미션 퍼포먼스 등 영상은 이같은 글로벌 트렌드를 만족시키는 콘텐츠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breeze52@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