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24시] CFD 재개 찜찜한 이유
4월 24일 무더기 하한가 사태의 발단이 된 차액결제거래(CFD)가 9월 1일 재개됐다. 다시 서비스를 시작한 증권사는 메리츠, 교보, 유안타, 유진 4곳이다. 많은 증권사는 사업 재개를 저울질 중이다. 물론 회의적인 곳도 있다. SK증권은 사업을 접었다. 미래에셋증권은 CFD와 처음부터 거리를 두고 있고 다시 사업을 시작할 계획도 없다고 한다.
CFD는 전문투자자들의 영역이다. 전문투자자는 자금이 넉넉하고 투자 지식도 풍부한 걸로 간주된다. 모험적 투자를 해서 큰 수익을 거두거나 손실을 본다고 이들을 탓할 수는 없다. 물론 CFD가 주가 조작에 이용되지 않는 걸 전제로 한다. 무더기 하한가 사태 이후 공시 강화 등 CFD 제도 개선이 많이 이뤄졌다. 하지만 CFD로 선의의 일반 투자자들이 겪게 될지도 모르는 심각한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바로 증권사 통합 한도 관리다.
제도 개선 전이나 후나 CFD로 발생한 빚(레버리지)은 한 증권사 안에서만 한도 관리가 이뤄진다. 하지만 한 사람이 여러 증권사에서 신용 거래를 하고 CFD를 이용하는 경우 통합 한도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한 증권사에서 발생한 문제가 여러 증권사로, 그리고 주식시장 전체로 확산될 소지가 남아 있다는 뜻이다.
전문투자자들이 CFD에 투자했다가 큰 손실을 보는 게 문제의 본질이 아니다. 이들이 마진콜에 대응하지 못해 반대매매가 쏟아지고 주가 폭락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선의의 개인투자자들이 피해를 입는 게 정말 큰 문제다. 해법은 이미 나와 있다. 적어도 신용융자와 CFD에 대해서는 증권사 통합 한도 관리를 하는 방안이다. A증권사에서 신용과 CFD를 많이 쓰고 있다면 B, C증권사에서는 추가 레버리지를 막는 방식이다.
자본시장 전체로 봤을 때 CFD가 무슨 효용이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이 많다. 투기를 조장하는 제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도를 없애지 않고 유지하려면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게끔 정밀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문지웅 증권부 jiwm80@mk.co.kr]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위험 산모보다 촬영이 먼저?”…드라마 제작사 민폐 촬영 사과 - 매일경제
- “세상 모든 사람이 알게 될 거야”…대전 교사 가해자 신상 폭로 - 매일경제
- “교사 사과없이 병가내 아이 고통”…대전 ‘악성민원’ 엄마 입장은 - 매일경제
- 치마 입은 여직원에 “사진 찍어도 돼?”…한전 직원, ‘감봉’ 불복 - 매일경제
- [속보] 강남 한복판 깊이 3m 땅꺼짐…교보타워→차병원 전면통제 - 매일경제
- 아바타, 현실이 되나…NASA “바다·생명체 존재 가능성, ‘슈퍼지구’ 발견” - 매일경제
- 폭우에 악어 75마리 탈출한 동네 ‘비상’…당국 “집에 머물러라” - 매일경제
- 일본 여행만 인기인 줄 알았는데…요즘 뜬다는 베트남 ‘이곳’ - 매일경제
- 아파트가 샤넬백보다 싸다고요?…1채 630만원에 팔렸다 - 매일경제
- 한층 더 탄력받게 될 한국 스포츠 외교 [이종세의 스포츠 코너]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