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매출 1조원인데 장애 대응 ‘불합격’ 미국 빅테크들
지난 5월4일 전자책 구독 서비스 업체 ‘밀리의 서재’에서 페이스북 계정을 통한 로그인에 오류가 발생했다. 사측은 사고 발생 직후 “페이스북에 확인하다 보니 처리가 지연되고 있다”고 공지했다. 그러나 한 달이 지나도록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결국 6월22일 페이스북 로그인 서비스를 중단하고 다른 플랫폼 계정으로 로그인 수단을 바꿨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최근까지 한국 지사에 서비스 장애 대응 전담 조직을 운영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 넷플릭스, 메타(옛 페이스북) 등이 국내에서 거두는 합계 매출액은 연간 1조원 이상이지만 이에 상응하는 책임은 방기하고 있는 것이다. 서비스 장애가 발생해도 국내 인력이 충분치 않아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 보니 피해는 고스란히 이용자들에게 전가되고 있다.
12일 무소속 박완주 의원실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해마다 이용자 수와 인터넷 트래픽 양을 기준으로 부가통신사업자 5곳에 서비스 안정성 확보 의무를 부여한다. 트래픽 양을 기준으로 구글, 넷플릭스, 메타의 점유율은 각각 28.6%, 5.5%, 4.3%에 달하기 때문에 관련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세 기업의 점유율 순위는 1~3위로 전체 트래픽 양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서비스 장애 대응 수준은 형편없다. 메타는 2021년 9월 인스타그램 접속 및 업로드 장애가 17시간 지속됐고, 구글은 지난해 9월 5시간 동안 플레이스토어 접속 장애가 발생했다.
반면 전체 트래픽 양의 1.7%를 쓰는 네이버와 1.1%를 쓰는 카카오는 장애 모니터링 접수, 전파, 지원 등을 담당하는 ‘장애 관리 전담 조직’과 ‘ 인프라 전담 조직’을 운영 중이다. 구글, 넷플릭스, 메타는 박 의원실이 서비스 장애 대응 조직 운영 여부를 문의하자 부랴부랴 전담조직 구성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이후 과기정통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넷플릭스를 제외한 구글과 메타의 국내 서비스 장애 책임자는 한국 지사가 아닌 미국 본사에 근무하는 직원이었다.
그간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유령 법인을 국내 대리인으로 지정하는 변칙적 방식으로 책임을 회피한다는 비판이 있었다. 이 때문에 반드시 한국 지사를 국내 대리인으로 지정하도록 하는 내용의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지난 5월부터 시행됐다. 하지만 이런 조치에도 국내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장애 대응을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취해지지 않고 있다.
박 의원은 “빅테크 기업들의 책임 회피를 막고 서비스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회에서 여러 차례 같은 지적을 했지만 해당 기업들은 여전히 주어진 책무를 다하지 않고 있다”면서 “국내 지사에 상주 인력을 두는 등 서비스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구교형 기자 wassup01@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강혜경 “명태균, 허경영 지지율 올려 이재명 공격 계획”
- “아들이 이제 비자 받아 잘 살아보려 했는데 하루아침에 죽었다”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수능문제 속 링크 들어가니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 메시지가?
- 윤 대통령 ‘외교용 골프’ 해명에 김병주 “8월 이후 7번 갔다”···경호처 “언론 보고 알아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집주인인데 문 좀···” 원룸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20대 구속
- 뉴진스 “민희진 미복귀 시 전속계약 해지”…어도어 “내용증명 수령, 지혜롭게 해결 최선”
- 이재명 “희생제물 된 아내···미안하다, 사랑한다”
- ‘거제 교제폭력 사망’ 가해자 징역 12년…유족 “감옥 갔다 와도 30대, 우리 딸은 세상에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