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혈증 환자 10명 중 3∼4명 사망…‘골든타임’ 내 치료 10%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에서 중증감염 질환인 패혈증에 걸린 환자 10명 가운데 3~4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이 '세계 패혈증의 날'(매년 9월13일)을 앞둔 12일 공개한 조사 결과를 보면, 국내에선 응급실 방문 환자 10만명당 613명꼴로 패혈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국내 패혈증 환자의 사망 비율이 국외보다 높은 건 조기 발견과 치료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중증감염 질환인 패혈증에 걸린 환자 10명 가운데 3~4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패혈증 환자 10명 중 2명이 사망하는 미국·독일 등 국외보다 패혈증 환자 사망 비율(치명률)이 높은 편이다.
질병관리청이 ‘세계 패혈증의 날’(매년 9월13일)을 앞둔 12일 공개한 조사 결과를 보면, 국내에선 응급실 방문 환자 10만명당 613명꼴로 패혈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입원 중 패혈증 발병은 10만명당 104명 정도였다. 국내 패혈증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9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전국 15개 의료기관에서 수집한 환자 자료 1만3879건을 분석한 결과다. 패혈증은 미생물 감염에 대응해 전신에 일어난 염증 반응으로 주요 장기가 손상되는 중증감염 질환이다.
패혈증으로 인해 숨진 비율은 응급실을 찾은 환자의 경우 29.4%, 입원 환자는 38.2%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2017년 22.8%)이나 독일(2016년 24.3%) 등보다 사망한 환자 비율이 높다. 전문가들은 국내 패혈증 환자의 사망 비율이 국외보다 높은 건 조기 발견과 치료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패혈증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려면 젖산농도 측정과 혈액 배양 검사, 항생제·수액·승압제(혈압을 높이는 약) 투여까지 묶음 치료가 재빨리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패혈증 환자를 살릴 수 있는 ‘골든타임’인 1시간 안에 묶음 치료가 완료된 경우는 10.1%에 그쳤다. 쇼크가 동반되지 않으면, 발병 3시간 내 묶음 치료를 통해 사망 위험을 줄일 수 있지만, 발병 3시간 내 묶음 치료 수행률도 53.6%에 그쳤다. 대한중환자의학회장인 서지영 삼성서울병원 교수(중환자의학)는 한겨레에 “응급실이나 중환자실에서 상태가 갑자기 나빠지는 환자를 빨리 발견해 즉시 적절한 조치가 들어가야 한다”며 “(낮은 패혈증 묶음 치료 수행률은) 조기에 인지하고 치료할 인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에 질병청과 대한중환자의학회는 올해 안에 국내 지역별·의료기관별 상황을 반영한 패혈증 진료지침서를 마련해 올해 안에 의료 현장에 배포할 예정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7년 5월 세계보건기구 총회에서 패혈증을 전 세계적인 보건 과제로 선정해 국가적인 관리를 하라고 각 회원국에 촉구한 바 있다.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문 전 대통령, 부친에 “친일파” 발언한 박민식 장관 고소
- 홍범도 ‘국민 특사’ 조진웅 “목숨 걸고 지킨 땅에 우린 당당한가”
- 살겠다고 오른 배에, 일본은 밀쳐냈다…강제동원 광부의 비극
- 뉴욕에 도쿄 자유의 여신상이?…9월 모의평가 문제 오류
- 일본 오염수 7800t 또 쏟아붓기…10월 전후 2차 방류 가능성
- 북 김정은 방러 수행단, 군부 실세에 포탄·위성 책임자까지
- 천연수소 10%만 추출해도 수천년 소비량…미국이 뛰어들었다
- 김건희 일가 ‘연루’ 의혹 증발시킨 검찰…‘공흥 특혜’ 공무원 별도 기소
- 총리·장관이 나서도 해군이 ‘홍범도함’ 이름 안 바꾸는 이유
- 마약을 음식물 쓰레기통 옆에…‘신종 던지기’ 수법 적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