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공원 3년새 30% 급감…접근성 좋은 ‘도심 허파’ 구상

안세희 기자 2023. 9. 11. 19:5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를 국가도시공원으로 시즌2 <2> 녹지 절대면적 확충

- 부산 1인당 공원 면적 12.6㎡
- 상당수 외곽·산지에 지역 편차도
- 공원 접근거리 서울의 배 웃돌아
- 도시공원 수·면적 증가세 주춤
- 주택보급률은 100% 넘어 대비

- 市, 2040년까지 체감 녹지 확대
- 1인당 공원 면적 ‘19.8㎡ ’ 목표
- 기존 녹지 연계 접근성 강화 총력

부산시와 시민사회가 추진 중인 낙동강하구 일대의 국가도시공원 조성은 ▷대규모 녹지와 생태계 보존 ▷기후변화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탄소중립 실현 ▷시민 녹지공간 확충 및 삶의 질 향상까지 여러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전략이다. 특히 도심 속 소공원과 달리 국가도시공원은 300만㎡ 이상 면적을 갖추는 것이 요건이라, 지정되면 ‘도시의 허파’ 기능을 맡을 대규모 녹지를 중앙정부의 안정적인 지원 아래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길이 열리게 된다. 부산의 공원녹지 수준 또한 한 단계 도약이 기대된다.

11일 부산진구 부산시민공원과 재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범전동 일대. 시민공원 주변 3면은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돼 6개 구역으로 나뉘어 개발될 계획으로, 65층 이하 아파트 9000여 세대가 공원 주변에 들어설 예정이다. 전민철 기자 jmc@kookje.co.kr


▮도시공원 수·면적 증가세 미미

도시가 대규모 녹지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은 실정에서, 생태적 가치가 높으면서도 너른 낙동강하구를 가진 부산으로서 ‘제1호 국가도시공원’ 조성 도전은 기회자 녹지 플랜의 큰 걸음인 셈이다. 지난해 기준 부산의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은 12.6㎡로 전국 평균(11.3㎡)을 웃돌아 양호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상당수가 도시 외곽이나 산지에 분포돼 접근성이 떨어지고 지역별 편차도 크기 때문이다. 실제 부산 전체 공원 면적의 상당부분이 산지에 위치했고, 생활권공원 접근 거리는 2.06㎞로 서울(1.02㎞)의 두 배를 웃돈다.

특히 서울의 월드컵공원(346만㎡) 올림픽공원(144만㎡) 용산공원(243만㎡), 울산의 울산대공원(364만㎡), 인천의 인천대공원(266만㎡) 등 대표적인 주요 도시 평지공원과 비교하면 평지공원이 아쉬운 부산시민공원은 면적이 47만㎡에 그친다.

도시공원 수와 면적 증가세도 미미하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부산의 도시공원은 1032개, 면적은 43.27㎢다. 20년 전인 2003년 433곳, 53.99㎢에서 10년 후인 2012년 895개, 58.29㎢로 늘었지만, 2020년 이후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되면서 면적이 약 30% 줄어든 상태다. 반면 주택공급량의 증가세는 공원 증감과 대조적이다. KB부동산 통계를 보면 부산 아파트 입주 물량은 2013년 한 해(2021년 1만9178세대)를 제외하고 매년 꾸준히 2만 세대 이상씩 새롭게 늘고 있는데, 부산의 주택보급률 역시 2011년(100.1%) 이후 100%를 웃돌고 있다.

부산시민공원을 둘러싸고 진행 중인 재개발 현장은 부산의 아파트와 공원의 미래를 가늠케 한다. 시는 2007년 노후·불량 주택이 밀집하고 도로·공원 등 기반시설이 열악한 부산진구 범전동 시민공원 주변(옛 하야리아부대 주변)의 환경개선을 위해 일대를 6개 구역으로 나눠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했는데, 그에 따라 시민공원의 3면은 65층 이하 아파트 9000여 세대가 에워싸게 된다. 조망권과 함께 시민의 공원 접근성에도 우려가 나오는 실정이다.

▮2040년까지 1인당 공원 면적 확대

시는 우선 절대적으로 부족한 녹지 면적 확충에 주력해 오는 2040년까지 1인당 공원 면적을 지난해 기준 12.6㎡에서 19.8㎡로 올리기로 했다. 또 녹지축 간의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흩어지고 단절된 녹지를 연결시켜 시민 생활권 내 체감 녹지 면적을 크게 올린다는 목표다. 이는 10년마다 시가 수립하는 ‘2040 부산공원녹지 기본계획’에 주요 내용으로, 지난 3월 시민공청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했고 오는 11월 부산시의회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을 앞두고 있다.

공원 면적의 확충은 크게 이미 조성된 공원의 관리 효율과 가치를 높이고, 다양한 자원을 공원화하는 방법으로 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단순 녹지 확충에서 나아가 노인친화공원 반려동물공원 방재공원 도시생태공원 등의 유형을 특화시킨다는 구상이다.

이를테면 노인생활권 내 있는 마을의 보호수나 빈집 등의 자원을 소규모 공원으로 만들거나, 방재공원을 조성해 재해나 재난 발생시 일정 기간 안전 확보를 위한 거점 역할을 부여하고 평소에는 녹지로 이용하면서 기능을 강화하는 식이다. 생태적으로 복원이나 보존이 필요한 곳은 도시생태공원으로 조성해 자연학습과 여가를 위한 곳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신규공원 확충을 위해선 ▷하천 및 산림, 해안자원 43곳 ▷역사·문화자원 80곳 ▷공공시설 이전 등에 따른 대상부지 및 빈집 144곳 ▷도시 내 도로 쌈지공원 84곳 ▷재개발 등 주거환경정비사업 추진에 따라 의무적으로 확보가 필요한 곳 63곳 등 구체적인 공간도 제시했다.

시 관계자는 “절대적인 녹지 면적을 확충해 나가면서도 기존 녹지를 연결하고 아우르는 연결축을 구성해 ‘녹지 체계’를 구축, 연결성과 접근성을 강화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 세계 주요 도시 1인당 녹지면적 (2019년 기준)
서울 18.9㎡
파리 9.8㎡
도쿄 19.9㎡
뉴욕 20.9㎡
시드니 29.0㎡
싱가포르 30.0㎡
홍콩 34.6㎡
런던 68.2㎡
베를린 112.9
※자료 : Husqwarna, HUGSI
◇ 부산 주택보급률 ※자료 :통계청
2015년 102.6%
2016년 102.3%
2017년 103.1%
2018년 103.6%
2019년 104.5%
2020년 103.9%
2021년 102.2%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