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생활권인데…서울시 ‘무제한 티켓’ 일방발표에 인천·경기 반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월 6만5000원으로 서울 시내 지하철·시내버스 등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통합 환승 정기권 '기후동행카드' 도입을 발표하자 인접한 인천시와 경기도가 반발하고 나섰다.
서울시는 이날 오전 친환경 교통 정책 중 하나로 서울지역 지하철,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 등 모든 친환경 대중교통을 횟수에 상관없이 월 6만5천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월 6만5000원으로 서울 시내 지하철·시내버스 등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통합 환승 정기권 ‘기후동행카드’ 도입을 발표하자 인접한 인천시와 경기도가 반발하고 나섰다.
인천시는 11일 보도자료를 내어 “서울시의 통합 환승 정기권 ‘기후동행카드’ 운영 취지에는 공감하나 일방적인 발표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경기도도 서울시 발표 뒤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 인천, 경기 등 3개 지자체가 참여하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고 협의체를 통해 도입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날 오전 친환경 교통 정책 중 하나로 서울지역 지하철,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 등 모든 친환경 대중교통을 횟수에 상관없이 월 6만5천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서울시는 내년 1∼5월 시범사업을 거쳐 하반기에 제도를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서울시의 교통 정책이 인천시와 경기도가 반발하고 나선 이유는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여있는 수도권의 특성 탓이다. 수도권 3개 지자체는 2004년 수도권 통합환승제 도입 등을 계기로 별도 협의체를 구성해 시내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 요금을 인상할 때 관련 내용을 협의해왔다. 특히 수도권은 광역버스 등 다양한 교통수단이 연결돼있어 서울에서만 적용되는 기후동행카드를 도입했을 때 혜택을 적용받지 못하는 대중교통도 있다. 인천시는 기후동행카드를 도입했을 때 기본요금이 다른 광역버스는 이용이 불가능하고, 서울 이외 지역에서 지하철을 이용할 때도 이용이 제한되는 것은 문제라고 했다.
인천시와 경기도는 범정부적으로 추진하는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인 ‘K-패스’ 제도와의 중복문제 등도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준성 인천시 교통국장은 “국비·지방비를 공동으로 투입해 범정부적으로 추진하는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인 K-패스 사업이 내년도 전국적으로 시행을 앞둔 상황”이라며 “기후동행카드 도입 여부는 수도권 3자 협의체를 통해 K-패스 제도와의 중복문제 해결, 추가 소요 예산 등을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김상수 경기도 교통국장도 “경기도 역시 주민의 교통비 부담 경감을 위해 통합 환승 정기권 도입 방안을 실무 차원에서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며 지난달 정부와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가 발표한 K-패스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라고 했다. K-패스 사업은 지하철과 버스를 한 달에 21번 이상 이용한 사람들에게 교통비의 20∼53%에 해당하는 금액을 환급해주는 대중교통 활성화 지원 정책이다.
이승욱 기자 seugwookl@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북·러 “곧 정상회담” 공식 발표…이르면 12일 푸틴과 회담
- 모로코 지진, ‘72시간 골든타임’ 다가온다…머나먼 구조 손길
- 전주 빌라 사망 여성 7월에 ‘위기의심’ 감시망 포착…연락 안 됐다
- 홍범도 흉상은 치우더니...서울에 ‘국가상징공간’ 만든다는 정부
- “임기 보장해야 방송 독립”…법원, ‘막무가내’ 언론 장악에 제동
- 이재명 대표, 12일 검찰 다시 출석…단식 강행 의지
- 국힘 “뉴스타파, 인용보도 방송사까지 포털서 퇴출” 총공세
- 국힘 “뉴스타파, 인용보도 방송사까지 포털서 퇴출” 총공세
- 593도 초고압 밸브 폭발 4명 사상…준공 2년 화력발전에 무슨 일
- 재학생 32만, 재수생 16만…수능 ‘n수생’ 비율 28년 만에 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