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베트남과 ‘최고 관계’로 격상…대중 봉쇄 남방으로 확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을 방문해 양국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했다.
베트남이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맺은 국가는 중국, 러시아, 인도, 한국에 불과한데, 이번에 미국과 최고급 관계를 맺은 것이다.
앞서 지난 4일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묻는 말에 "미국은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에서 제로섬 게임의 냉전적 사고를 버리고 국제관계의 기본 준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을 방문해 양국 관계를 중국과 같은 반열의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했다. 한·미·일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를 통해 북방에서 대중국 봉쇄망을 다진 데 이어, 이 결정으로 남방에서 포위망 구축에 나선 모습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10일 하노이를 방문해 베트남 권력 서열 1위인 응우옌푸쫑 베트남공산당 서기장과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관계를 ‘포괄적 동반자 관계’에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오늘 우리는 두 나라가 갈등에서 벗어나 관계를 정상화하고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이 지역의 번영과 안보 강화에 힘이 될 수 있는 새 (관계) 격상에 이르게 된 50년간의 관계 진전에 대해 말할 수 있다”면서 양국 관계를 “베트남의 가장 높은 수준의 동반자 관계를 뜻하는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방문은 양국 관계뿐 아니라 인도·태평양 지역에 있어서도 역사적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응우옌푸쫑 서기장도 “베트남과 미국은 서로의 차이를 극복하고 과거가 아닌 미래를 향해 눈을 돌릴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이날 언급대로 1973년 1월 파리 평화협정을 통해 미군이 베트남에서 철수한 뒤 지난 반세기 동안 양국 관계는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1995년 7월 빌 클린턴 대통령 때 국교가 정상화됐고, 버락 오바마 행정부 때인 2013년 7월 ‘포괄적 동반자 관계’를 맺었다. 이후 10년 만에 베트남 기준으로 가장 높은 ‘포괄적 전략 동반자’로 양국 관계의 위상이 단번에 2단계나 격상됐다. 베트남이 이 관계를 수립한 나라는 중국·러시아·인도·한국 등 4개국에 불과하다. 베트남이 미국과 협력관계를 중국과 같은 반열에 올린 셈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아시아 순방을 통해 남방에서도 대중국 포위망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돌파구를 만들어냈다. 베트남과 관계를 격상한 것은 물론 9일엔 올해로 10년째가 되는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에 맞서 인도~중동~유럽을 해운·철도로 잇는 ‘경제 회랑’ 건설 계획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9일 이 계획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에서 “이번 사업은 일자리를 만들고, 무역을 늘리고,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게임을 바꿀 수 있는 지역적인 투자”라고 의미를 강조했다.
베트남이 미국과 관계를 최고 수준으로 격상한 것도 남중국해에서 갈등이 커지고 있는 중국 견제를 위한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전쟁 직후 두 나라는 1979년에 전쟁을 치렀으며 최근에도 남중국해 난사제도(스프래틀리군도)의 영유권을 놓고 날카롭게 대립하고 있다.
하지만, 이날 결정으로 중국-베트남 관계가 단번에 악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응우옌푸쫑 서기장은 지난해 11월 베이징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양국 간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층 더 심화시키는 내용을 포함한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지난주 팜민찐 총리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국제회의에서 리창 중국 총리와 회담했다. 뉴욕타임스도 바이든 행정부가 베트남이 중국과의 협력을 포기할 것으로 기대하지 않고, 시간을 두고 더 많은 대안을 제공하려고 한다고 분석했다.
미국과 베트남이 관계를 강화하는 것은 ‘중국 견제’라는 안보적 이유만이 아니다. 미국은 베트남을 중국에 과도하게 의존했던 공급망을 다변화할 수 있는 주요 후보지로 높게 평가하고 있다. 이를 보여주듯 두 나라는 반도체와 희토류 등을 놓고 경제적 관계도 강화하기로 했다. 베트남의 대미 수출은 2019년 613억3천만달러(81조5934억원)에서 지난해 1093억9천만달러로 약 79% 늘었다. 베트남은 2019년 발효한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회원국이기도 하다.
정의길 선임기자,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Egil@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홍범도 흉상은 치우더니...서울에 ‘국가상징공간’ 만든다는 정부
- “임기 보장해야 방송 독립”…법원, ‘막무가내’ 언론 장악에 제동
- 이재명 대표, 12일 검찰 다시 출석…단식 강행 의지
- 같은 생활권인데…서울시 ‘무제한 티켓’ 일방발표에 인천·경기 반발
- 전주 빌라 사망 여성 7월에 ‘위기의심’ 감시망 포착…연락 안 됐다
- 593도 초고압 밸브 폭발 4명 사상…준공 2년 화력발전에 무슨 일
- 재학생 32만, 재수생 16만…수능 ‘n수생’ 비율 28년 만에 최고
- [단독] 기아 조지아공장·한화큐셀 중국 법인, 랜섬웨어 공격에 피해
- “납북됐다 돌아온 어부 숨진 뒤 경찰이 관 열어 확인까지”
- ‘왕릉뷰 아파트’ 유네스코가 “우려” 공식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