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6만5천원, 서울 대중교통 무제한…한국판 ‘49유로 티켓’ 나온다

손지민 2023. 9. 11. 14: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내년 1~5월 시범 운영…7월 정식 출시
지난 3월20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바라본 시내가 뿌연 가운데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첫날인 이날 마스크를 쓰고 버스에 탄 시민들의 모습. 연합뉴스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한겨레 h730’을 쳐보세요.

내년 1월 서울에 한 달 6만5000원으로 서울 시내 지하철과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권이 처음 나온다. 평일에 대중교통으로 출근하는 시민들은 한 달에 약 3000원에서 3만원 정도의 대중교통비를 아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1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따릉이와 리버버스(수상버스)까지 염두에 둔, 모든 대중교통을 아우르는 통합체계를 만들겠다”며 이런 내용의 ‘기후동행카드’를 시범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로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고 기후위기에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기존에도 대중교통 정기권은 있었지만 지하철만 이용 가능해 버스 등을 이용할 땐 추가 요금을 내야 했고, 이용횟수도 제한됐다. 할인, 환급 방식이 아닌 무제한 이용권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후동행카드는 내년 1~5월 시범 운영을 거친 뒤 이르면 내년 7월부터 정식 도입할 예정이다. 3000원을 내고 실물카드를 구입하거나, 휴대전화 앱을 설치해 이용할 수 있다.

시범 도입이 서울 시내에서 이뤄지는 만큼 경기·인천 등 다른 지역에서 탑승하는 경우에는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없다. 서울에서 출발해 다른 지역에 하차하는 경우엔 이용 가능하다. 지하철 노선은 서울 시내에서 승·하차하는 지하철 1~9호선과 경의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신림선이 해당한다. 예를 들어 4호선 오이도역에서 승차해 서울역에서 내린다면 서울 시내 승차가 아니기 때문에 기후동행카드 적용 대상이 아니다. 반대로 4호선 서울역에서 출발해 오이도역에서 내릴 땐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기본요금이 다른 신분당선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버스 역시 서울 시내 안에선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모두 이용할 수 있지만 경기·인천 등 다른 지역 버스나, 기본요금이 더 비싼 광역버스는 서울 지역이라도 사용이 제한된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광역버스 요금이 경기는 2800원, 서울은 3000원으로 6만5000원짜리 기후동행카드를 광역버스에 적용하게 되면 10번만 타도 금액이 꽉 찬다”며 “독일의 ‘도이칠란드 티켓’(일명 ‘49유로 티켓’)도 광역자치단체 간 운송수단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지하철과 버스 외에 기후동행카드로 따릉이도 ‘1시간 이용권’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으며, 추후 내년에 도입될 리버버스 등도 기후동행카드 체계에 포함될 예정이다.

평일에 대중교통으로 통학·통근하는 시민들은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 한 달에 3000원에서 3만원 정도의 대중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가 예시로 제시한 사례를 보면 여의도에서 고속버스터미널까지 9호선을 타고 출·퇴근하는 경우 평일 대중교통비가 6만8200원(1550원씩 44회 이용) 정도 나온다.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 3200원을 아낄 수 있다. 한 달 대중교통비가 8만1400원 정도인 은평뉴타운~교대역 출·퇴근 직장인은 1만6400원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윤 실장은 “6만5000원의 손익분기점은 40회 이용”이라며 “40회를 넘게 이용하면, 경제적 이득을 볼 수 있다. 서울 시내 대중교통 한 달 평균 이용이 50회 정도”라고 말했다. 매월 6만5000원 이상의 대중교통비를 지불한 서울시민은 90만명 이상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11일 오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후동행카드 도입시행 기자설명회에서 기후동행카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각에서는 지하철·버스의 적자를 이유로 올해 대중교통 요금을 올린 상황에서, 기후동행카드 대신 같은 예산으로 대중교통비 인상을 억제했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윤 실장은 이에 대해 “재정 문제만 생각하면 기후동행카드를 도입할 수 없다. 재정보다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제도라 본다”며 “대중교통비를 할인하는 효과 외에 자가용을 대중교통으로 전환하는 등 부수적인 사회경제적 효과가 크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다섯 달의 시범 도입 기간 소요되는 예산을 750억원 정도로 보고 있다.

다만, 자가용 이용자들이 교통수단을 대중교통으로 전환할 유인이 크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후동행카드 도입 소식을 들은 시민들은 대중교통비 절감에 도움이 되겠지만, 자가용 이용과는 별개라는 반응을 보였다. 평일엔 대중교통, 주말엔 자가용을 이용하는 신아무개(33)씨는 “평일에 몇만 원 더 아낄 수 있어 살림살이에는 조금 보탬이 될 것 같다”면서도 “대중교통으로 갈 수 없거나, 불편할 때 자가용을 이용하는데 기후동행카드가 생긴다고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할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앞서 독일에서는 지난해 6~8월 한화 약 1만2000원으로 한 달 동안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9유로 티켓’을 시범 운영하고, 올해 5월 한 달 49유로로 가격을 조정한 도이칠란드 티켓을 내놓았다. 약 5000만장 팔린 9유로 티켓은 대중교통 이용 25% 증가, 이산화탄소 180만톤 저감, 물가상승률 0.7% 감소 등의 효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손지민 기자 sjm@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