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친구] 다성 초의선사 유적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의 다례인을 거론할 때 가장 많이 꼽히는 인물 가운데 하나이며 1828년 지리산 칠불암에 머물면서 지은 차서(茶書)인 다신전과 동다송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내용은 찻잎 따기, 차 만들기, 차의 식별법, 차의 보관, 물을 끓이는 법, 차를 끓이는 법, 차를 마시는 법, 차의 향기, 차의 색 등 20여 가지 목차로 상세하게 다룬 책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다례인을 거론할 때 가장 많이 꼽히는 인물 가운데 하나이며
1828년 지리산 칠불암에 머물면서 지은 차서(茶書)인 다신전과 동다송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내용은 찻잎 따기, 차 만들기, 차의 식별법, 차의 보관, 물을 끓이는 법, 차를 끓이는 법, 차를 마시는 법, 차의 향기, 차의 색 등 20여 가지 목차로 상세하게 다룬 책이다. 그 외 저서로 '초의집(草衣集)' 등이 있다.
(출처 : 나무위키)
초의선사(茶聖 艸衣 )
성은 장(張)씨이고 이름은 의순(意恂)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법호는 초의(艸衣)이며 당호는 일지암(一枝庵)인 초의선사(1786~ 1866)는 조선 후기의 대선사로서, 우리나라 다도를 정립한 분이다.
그래서 초의를 다성(茶聖)이라 부른다.
1786년(정조10년)에 태어난 선사는 5세 때에 강변에서 놀다가 급류에 떨어져 죽을 고비에 다다랐을 때 부근을 지나는 승려가 건져주어 살게 되었다.
그 승려가 출가할 것을 권하여 15세에 남평 운흥사(雲興寺)에서 민성(敏聖)을 은사로 삼아 출가하고 19세에 영암 월출산에 올라 해가 지면서 떠오르는 보름달을 바라보고 깨달음을 얻었다.
사진가 이야기(Yiyagi)
Copyright © 포토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