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협력' 기반 인태 바짝 다가선 尹…아세안·G20 연대 강화(종합)
인도·인니 등 신시장 확충 주력…우크라 지원·기후변화 등 기여 구체화
경쟁국 이탈리아 포함 40여개국 접촉하며 부산 엑스포 유치에도 진력
(뉴델리=연합뉴스) 안용수 정아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벌인 외교전을 마무리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을 끝으로 지난 5일부터 시작한 인도네시아·인도 5박 7일 방문을 마치고 귀국길에 오른다.
윤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와 인도 뉴델리에서 각각 개최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연달아 참석했다.
지난달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한미일 정상회의 후 처음 밟는 다자회의 무대였다.
윤 대통령은 아세안을 통해 국제사회에 공고해진 한미일 협력을 각인시키고, 이를 토대로 아세안과 협력 확장을 도모하는 데 주력했다.
무기 거래를 논의하기 위한 북러 정상회담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러시아에는 연일 경고 메시지를 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와 중국을 겨냥해 북한의 도발에 대한 '책임 있는' 행동도 요구했다.
다만 시진핑 주석 대신 온 중국의 리창 총리와 만나서는 대북 역할에 대한 압박과 동시에 한일중 협력 복원 의지도 밝히기도 했다.
선진국·개발도상국 협의체인 G20에서는 '글로벌 중추 국가'(GPS) 비전을 바탕으로 인류 과제에 대한 책임·기여 외교 방안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모두 20건의 양자회담을 포함해 40명이 넘는 정상급 인사들과 다양한 형태로 접촉하며 "인류 과제 해결책을 함께 모색하는 플랫폼"이라며 2030세계박람회(엑스포) 부산 유치에 대한 지원을 요청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캠프 데이비드 후 첫 다자회의…북러 무기거래 가능성에 공개 경고
윤 대통령은 6일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미일 3국은 아세안이 주도하는 지역 구조에 대한 전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각국의 인태 전략을 조율하고, 신규 협력 분야를 발굴해 나아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캠프 데이비드 이후 첫 다자회의에서 3국 협력의 제도화 성과를 공유하면서, 중국의 전략적 '뒷마당'으로 불리는 아세안과 사이버, 해양안보 등에 대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의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를 계기로 발표된 한미일 공동성명이 '캠프 데이비드 원칙'의 토대가 됐다는 점에서도 이번 아세안은 의미가 있다.
김은혜 홍보수석은 이날 인도 출국 전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은 한미일 협력체계 공고화가 3국만의 배타적 이익이 아닌, 인태 지역과 나아가 글로벌 사회공익에 기여할 것임을 밝힌 바 있다"고 밝혔다.
이어 "캠프 데이비드 '원칙'과 '정신'은 자카르타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와 G20 뉴델리 정상회의에서 합의를 이행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3국의 인태 지역에 대한 공동의 기여 협력, 즉, 구체적으로 개발협력, 해양 안보, 디지털 첨단 기술의 성장 토대를 함께 구축하기로 한 것이 그렇다"고 부연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정상회담 가능성에 윤 대통령은 한·아세안 비공개회의에서 "북한과 군사협력 시도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경고했다.
다음 날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도 러시아를 겨냥해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무거운 책임"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가상자산 탈취, 해외노동자 송출, 해상 환적 등 불법 행위 차단 등 북한 핵·미사일 개발 자금원이 되는 불법행위 차단 필요성도 여러 차례 강조했다.
지난 4월 한미, 8월 한미일 정상회의로 이어지면서 공고해진 결속력을 앞세워 인태 지역 국가들의 협력을 촉구한 셈이다.
인도는 중국의 확장을 견제하는 미국 주도의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 4개국 안보 협의체) 회원국으로서 인태 지역 연대에 주력하는 현 정부에도 핵심 전략적 파트너 국가이기도 하다.
다만 윤 대통령은 6일 아세안+3(한일중) 정상회의에서 "한일중 협력이 활성화돼야 한다"며 3국 협력 복원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윤 대통령은 북한 도발과 관련,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와 중국을 향해 동시에 '책임'을 거론하며 압박했지만, 중국에는 동시에 협력의 끈을 이어가자며 '투트랙' 스탠스를 취한 셈이다.
한미일이 밀착하면서 반작용으로 북중러와의 대결 구도가 뚜렷해질 경우 역내 긴장감이 더욱 고조될 것으로 보이는데다 경제적 갈등도 커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인도네시아·인도 등 新시장 확충…책임·기여 외교 구체화
윤 대통령은 인구 대국이자 핵심 자원 보유국인 인도네시아와 인도를 중심으로 신시장 확충을 위한 토대 구축에 집중했다.
한·인도네시아 정상회담에서는 8조원대 전투기 공동개발 사업의 성공적 마무리를 위한 정상 차원 의지를 재확인하는 한편, 2045년까지 40조원이 투입되는 신수도 이전사업에 한국 기업들의 참여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순방에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 등 대기업 총수들도 출동해 니켈, 희토류 등 첨단산업 발전을 위한 자원 공급망 다변화도 추진했다.
세계 최대 할랄식품 시장인 인도네시아와 관련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중국을 넘어선 세계 1위 인구 대국으로 지난해 6%대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신흥 경제강국인 인도 모디 총리와도 정상회담을 하고 방산을 포함한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방산 계약은 핵심 협력국 간의 신뢰를 기본 전제로 하는 만큼 인도네시아, 인도와의 관계를 보여주는 상징적 단면인 셈이다.
윤 대통령은 인구 1억1천만 명에 니켈과 코발트 생산량이 각각 세계 2위, 4위의 핵심 광물 보유국인 필리핀과도 아세안을 계기로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서명식을 진행했다.
윤 대통령은 G20에 참석한 조 바이든 대통령과 9일 하루에만 3차례 환담하며 친분을 드러냈으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도 '6개월 새 6번째' 만나 정상회담 열어 결속력을 과시했다.
G20에서는 한국 주도로 2013년 출범한 믹타(멕시코·인도네시아·한국·튀르키예·호주) 출범 10년을 기념하는 정상 간 회동과 공동언론발표문 채택도 진행됐다.
윤 대통령은 G20에서 기여·책임 외교 기조 아래 구체적인 방안을 밝혔다.
첫날인 9일 '하나의 지구' 세션에서는 "기후변화 취약국을 위한 '녹색 사다리' 역할을 하겠다"며 녹색기후기금(GCF)에 3억 달러(한화 약 4천억원) 공여, 글로벌 녹색해운항로 구축 노력 등의 계획을 공개했다.
이어 10일 '하나의 미래' 세션에서도 새로운 미래 규범 수립 필요성을 언급했다.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오는 2024년 3억 달러(한화 약 4천억 원), 2025년 이후 중장기적으로 20억 달러 이상을 추가로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 글로벌 디지털 윤리규범 정립을 위한 한국의 책임 있는 역할 수행을 천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계기로 캄보디아, 라오스, 튀르키예, 아르헨티나, 방글라데시, 나이지리아, 코모로, 독일, 모리셔스 등 각국 정상과 회담하며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한 지원과 관심을 당부했다.
여러 양자 회담장에는 홍보 슬로건 '부산 이즈 레디'가 적힌 부산엑스포 홍보 책자들이 놓였다.
특히 순방 마지막 날인 10일에는 '엑스포 경쟁국'인 이탈리아의 조르자 멜로니 총리와 회담하며 엑스포 유치전 과정에 대한 이탈리아와 협력을 요청하기도 했다.
aira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성매매업소 장부에 적힌 '착한 놈'…법원, 현직 경찰 "무죄" | 연합뉴스
- "친애하는 한강님 나와주세요" 노벨상 시상식서 한국어로 호명한다 | 연합뉴스
- "해외계좌서 130억 찾아가라"…황당 메일에 속아 마약 운반 | 연합뉴스
- 동네 후배 참혹 살해하곤 자수 직전 성매매하러 간 60대 | 연합뉴스
- 차는 불타고 운전자는 사라져…경찰 "주변 수색 중" | 연합뉴스
- '버스 유리 파손' 이주형 항변 "제가 한 거 아닌 거 같은데…" | 연합뉴스
- 헌인릉서 드론 띄워 국정원 넘본 중국인…경찰, 현행범 체포(종합) | 연합뉴스
- '쾅쾅쾅' 불기둥 치솟아…포스코 화재에 "전쟁·지진 난 줄"(종합) | 연합뉴스
- 빙그레 "바나나맛우유 용기, 국가문화유산 등재 추진" | 연합뉴스
- "굿해야 엄마 살아" 거액 받은 무당…종교 행위일까 사기일까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