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푸틴의 ‘위험한 만남’, D-2에도 잠잠한 까닭?

임일영 2023. 9. 10. 18: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19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침잠하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사회의 '왕따'가 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 무대로 거론되는 동방경제포럼(EEF)이 10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3박4일 일정으로 개막했다.

서방세계에 의해 철저하게 고립된 북러 정상이 유엔이 금지하는 무기 거래를 논의할 정상회담 'D데이'로는 푸틴 대통령이 EEF 본회의에 참석하는 12일이 꼽히지만 이틀을 남겨놓은 이날까지 크렘린궁도, 현지 언론도, 국경 지대도 비교적 조용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정권 수립 75주년인 지난 9일 ‘9ㆍ9절’ 행사 참가자들과 기념사진을 찍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0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사진 촬영 현장에서 “존엄 수호, 부국강병을 위한 우리 공화국의 성스러운 발전 행로에는 위업의 정당성과 불패성에 대한 확신에 넘쳐 어머니 조국을 굳건히 떠받든 인민의 불굴의 투쟁정신과 혁혁한 공훈이 자랑스럽게 빛나고 있다”고 말했다. 2023.9.10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2019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침잠하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사회의 ‘왕따’가 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 무대로 거론되는 동방경제포럼(EEF)이 10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3박4일 일정으로 개막했다.

서방세계에 의해 철저하게 고립된 북러 정상이 유엔이 금지하는 무기 거래를 논의할 정상회담 ‘D데이’로는 푸틴 대통령이 EEF 본회의에 참석하는 12일이 꼽히지만 이틀을 남겨놓은 이날까지 크렘린궁도, 현지 언론도, 국경 지대도 비교적 조용하다. 미국의 거듭된 경고·압박에도 ‘위험한 브로맨스’를 꿈꾸는 북러가 보안을 위해 발표를 늦추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지만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의 일정 노출에 민감한 북측이 시간이나 장소를 조정하기 위해 러시아 측과 막판 조율 중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대통령궁(크렘린) 대변인은 9일(현지시간) “푸틴 대통령이 11일부터 이틀 일정으로 동방경제포럼 참석차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해 12일 전체회의에서 연설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페스코프 대변인은 김 위원장 방문에 대해서는 “할 말이 없다”며 언급을 피했다.

이와 관련, 일본 NHK는 10일 러시아 현지 지방정부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김 위원장이 전용 열차로 11일 (평양을) 출발할 것 같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열차로 이동하는 경우 전용 방탄열차의 무게와 열악한 북측의 철로 사정을 감안하면 평양역부터 블라디보스토크역까지 약 20시간 가량 걸린다. 12일 정상회담을 하려면 늦어도 11일에는 출발해야 한다는 얘기다. NHK는 또 “블라디보스토크역에서 크레인을 이용해 역사 벽을 다시 칠하거나 얼룩을 제거하는 청소가 이뤄졌다”고 전했다.

일본 민영방송 FNN도 독자 입수한 영상을 통해 “러시아와 북한 국경에 있는 하산역에서 지난 8일 청소가 진행됐다”고 밝혔다. 러시아 현지 관계자는 FNN에 “하산역에서 김 위원장을 맞이하고자 준비를 하고 있다. (김 위원장이 러시아로 출발하는) 11일까지 끝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2019년 4월 김 위원장은 3박4일 일정의 러시아 방문 당시 하산역에서 열린 환영행사에 참석한 뒤 인근 ‘러시아·조선 우호의 집’을 방문했다. 북측이 김 위원장에 대한 경호와 보안을 이유로 육로 이동을 선호한다는 점에서 이번에도 같은 경로로 움직일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 바 있다. 2011년 12월 집권한 김 위원장이 지금껏 해외 방문 중 항공편을 이용한 것은 2018년 5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다롄을 방문했을 때와 2018년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1차 북미 정상회담이 전부다.

일각에서는 정상회담 일정이 재조정되거나 성사되지 않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국회 정보위원회 간사인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7일 국가정보원 관계자를 인용해 “언론에 선제적으로 (정상회담 일정이) 공개됐기 때문에 기존 예상과 다른 경로로 깜짝 행보를 보일 가능성도 있다”라고 말했다.

존 에버라드 전 주북 영국대사는 9일 미국의소리(VOA) 인터뷰에서 “극비리에 추진됐어야 할 회담 계획이 노출된 데다, 북한은 의전에 집착하는데 러시아에서 정상회담이 열리는 것은 의전상 관례에도 어긋난다”며 “2019년 두 사람이 마지막으로 만난 곳이 러시아기 때문에 이번에는 푸틴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할 차례”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신뢰할 만한 러시아인들로부터 ‘정상회담이 없을 것’이라는 말을 전해 들었다고 덧붙였다.

서울 임일영 기자·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