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 탑승할 때만 올라오는 ‘자동안전발판’ 서울지하철 72개역 설치

손덕호 기자 2023. 9. 10. 13: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열차가 지하철역에 도착해 출입문이 열리고 승객이 탑승하기 전 자동으로 올라오고, 승객이 모두 탑승해 출입문이 닫히면 내려가 열차가 충돌 위험 없이 출발할 수 있는 '접이식 자동안전발판'이 2025년까지 서울지하철 72개 역에 설치된다.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10일 지하철역 승강장 발빠짐 사고 예방을 위해 지하철 1~8호선 72개 역 585곳에 접이식 자동안전발판을 2025년까지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8호선 승차위치 중 17.6% 열차와 승강장 간격 10㎝ 넘어
이어폰 착용한 상태거나 스마트폰 보다가 발빠짐 사고 많아
서울지하철 2호선 시청역에 시범설치된 접이식 자동안전발판. /서울교통공사

열차가 지하철역에 도착해 출입문이 열리고 승객이 탑승하기 전 자동으로 올라오고, 승객이 모두 탑승해 출입문이 닫히면 내려가 열차가 충돌 위험 없이 출발할 수 있는 ‘접이식 자동안전발판’이 2025년까지 서울지하철 72개 역에 설치된다.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10일 지하철역 승강장 발빠짐 사고 예방을 위해 지하철 1~8호선 72개 역 585곳에 접이식 자동안전발판을 2025년까지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지하철 1~8호선 275개역 전체 승차위치 1만9256곳 중 열차가 정차했을 때 승강장 사이 거리가 10㎝를 초과하는 곳은 3395곳(17.6%)이다. 곡선이 많은 2호선, 3호선 등의 역사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열차와 승강장 사이에 간격이 생기는 것은 곡선 승강장에 직사각형인 열차가 운행하기 때문이다. 서울 지하철 열차 1량의 길이는 20m로, 곡선 승강장에서 열차 양 끝 부분의 간격은 9㎝이지만 중간 부분은 곡선 반경에 따라 최대 21.5㎝까지 간격이 발생한다.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승강장과 열차 사이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먼저 고정형 고무발판을 설치했다. 2021년 1~8호선 275개 역의 전체 승차 위치 1만9256곳 중 연단 간격이 10㎝ 이상이거나 환승역사 등 이용객이 많은 6492곳을 추린 뒤 고정형 고무발판 설치가 가능한 134개 역 3739개소(57%)에 발판을 달았다.

고정형 고무발판 설치 후 승강장과 열차 사이 간격은 평균 8.3㎝로 줄었다. 덕분에 승장장 발빠짐 사고는 2018년 104건에서 지난해 79건으로 줄었다. 하지만 승강장 틈이 10㎝를 초과하는 3395개소(전체의 17%)는 열차가 이동할 때 승강장에 가깝게 진입해 고정형 고무발판과 충돌할 위험이 있다. 이 때문에 자동안전발판 설치가 필요하다.

곡선승강장에서 열차와 승강장 간격이 넓어지는 원인. 그 사이를 자동안전발판이 메우게 된다. /서울교통공사

접이식 자동안전발판은 안전성을 확보한 제품이 2020년과 2021년 개발됐다. 현재까지 승강장과 열차 사이 간격이 10㎝ 이상이면서 승객 발빠짐 사고가 발생한 2호선 시청역, 3호선 충무로역·동대입구역,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등 5개 역 승강장 25곳에 시범 설치해 운영 중이다. 올해 4월부터 시범 운영을 하면서 얻은 정보로 발판 폭을 조정하고 반응 속도를 높여 안전성을 더 강화했다.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자동안전발판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72개 역 585곳에 대해 내년부터 2025년까지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승강장 사이가 넓고 설치 대상이 많은 1~4호선부터 시작해 2025년에는 5~8호선까지 완료할 방침이다.

승강장 자동안전발판 설치에 약 2년이 걸리는 만큼 지하철 이용객이 전동차를 타고 내릴 때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에 틈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고를 당한 승객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이어폰을 착용해 발빠짐에 주의하라는 안내방송 등 주변 소리를 잘 듣지 못하거나 탑승 시 스마트폰을 보느라 연단 간격을 인식하지 못한 것이 주된 원인이었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자동안전발판 안전성을 개선해 확대 설치하고 승강장 발빠짐 사고 제로화를 위해 다각도로 방법을 검토하겠다”며 “시민들도 지하철 탑승 시 스마트폰은 잠시 넣어두고 안전한 지하철 이용에 협조해달라”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