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은 틈 비집고 종횡무진…벌레 닮은 이 로봇, 용도는?

이정호 기자 2023. 9. 10. 09: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 연구진, 벌레 닮은 로봇 개발
몸통 찌그러뜨려 좁은 틈 진입
재난 현장 인명수색 활용 기대
미국 콜로라도 볼더대 연구진이 최근 개발한 벌레를 닮은 로봇. 몸체에 신축성이 있다. 건물 붕괴 현장의 좁은 틈으로 비집고 들어가 인명 수색에 활용할 수 있다. 콜로라도 볼더대 제공

몸통을 자유자재로 찌그러뜨리면서 진짜 벌레처럼 좁은 틈을 비집고 들어가는 소형 로봇이 개발됐다. 건물이 무너져 잔해가 켜켜이 쌓인 재난 현장에 이 로봇을 투입하면 지금보다 신속하게 인명 수색작업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미국 콜로라도 볼더대 연구진은 최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인텔리전트 시스템스’에 벌레처럼 생긴 소형 로봇을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위에서 내려다본 이 로봇의 형태는 대체로 정사각형이다. 몸통 가운데가 뻥 뚫려 있다. 다리는 4개다. 전원을 넣으면 다리가 빠르게 움직인다. 몸통 안에 두뇌 역할을 하는 회로 기판도 있다. 중량은 약 2.7g이다.

클라리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어딘가에 눌려 압박을 받으면 몸통이 정사각형에서 마름모 모양으로 찌그러진다는 점이다. 몸통 모서리 부위에 신축성이 있어서다. 연구진이 인터넷에 공개한 동영상을 보면 클라리가 전진하던 도중 좁은 틈으로 진입하자 자연스럽게 몸통 폭은 좁아지고 길이는 늘어난다.

클라리는 정사각형 형태일 때에는 폭이 3.4㎝다. 하지만 모서리가 압박을 받아 찌그러지면 폭이 2.1㎝까지 줄어든다. 몸통이 길쭉한 화살촉처럼 변한다는 뜻이다. 이렇게 자신의 몸을 신축성 있게 찌그러뜨려 좁은 틈으로 들어가는 건 바퀴벌레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연구진은 클라리가 건물 붕괴 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콘크리트 잔해가 쌓여 사람이나 수색견이 진입할 공간이 없는 곳에 클라리를 투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클라리에 카메라나 센서를 장착한 뒤 이런 임무를 부여하면 매몰된 실종자가 어디에 있는지 신속히 알 수 있다.

클라리는 모듈식 구조를 띤다. 연구진은 “필요에 따라 로봇 2대를 연결해 다리 8개가 달린 클라리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