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요소 중국 의존도 17.4%…비료용 연간 수요량의 77% 확보”
환경부, “국내 차량용 요소수 60일분 확보”
기재부, "주중대사관 파악 결과 중국 정부, 공식적 수출 통제 조처 안해”
국내 수입 요소 가운데 중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올 7월 기준 17.4%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내 비료업계는 연간 예상 수요량의 77%를 확보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차량용 요소 재고량 또한 60일분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1년 65%에 달하던 중국산 요소의 수입비중을 17% 수준으로 낮춰 유사시 대체 공급망 확보에 대비해왔다”고 8일 밝혔다.
앞서 블룸버그 통신이 7일 “중국 정부가 자국 비료업체에 요소 수출을 중단했고 실제 일부 업체가 이달 초부터 신규 수출 계약을 하지 않았다”고 보도한 지 하루만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 동향을 전하면서 “세계 최대 요소 생산국인 중국의 수출 제한은 글로벌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고 지적한 바 있다.
농식품부는 설명자료를 통해 “2021년 폭등했던 국제 요소 가격은 이후 2년간 하향 안정화 추세”라면서 “그동안 수입선 다변화를 통해 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국가 수입비중이 51%에 달한다”고 밝혔다.
요소 가격은 중국산 기준 2021년 8월 1t당 439달러에서 중국이 수출을 전면 제한한 지 한달 만인 그해 12월 960달러로 2배 이상 급등했다.
하지만 올 8월엔 378달러로 2021년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올 9월 1주차 가격은 375달러였다.
중동산은 좀 더 낮다. 2021년 8월 451달러에서 그해 12월 933달러로 치솟았다. 올 8월 396달러, 9월 1주차 360달러에 머물렀다.
국가별 수입비중은 올 7월 현재 카타르(41.1%), 중국(17.4%), 베트남(13.4%), 사우디아라비아(10%) 순이다. 특히 중국산은 2021년 65.4%에서 2022년 8월 18.3%, 올 7월 17.4%로 크게 낮아졌다.
농식품부는 국내 비료업계 사정도 전했다. 비료용 요소는 연간 예상 수요량이 39만t인데 현재 77%(30만t)를 확보하고 있다는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금과 같은 판매 추이가 계속된다면 내년 1월까지 공급할 수 있는 물량”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 요소 수출 제한이 있다고 하더라도 국내 비료 수급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덧붙였다.
환경부 또한 국내 차량용 요소수 부족 현상이 재연될 가능성은 적다고 밝혔다. 8일 보도설명자료를 통해 “8월 말 기준 국내 차량용 요소 재고량은 공공비축분과 민간 재고량을 합쳐 60일분 이상을 확보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9월 중 추가 수입도 이뤄질 예정으로 현재까지 수급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부연했다.
정부는 중국 정부 차원에서 요소 수출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는 데도 주력한다. 기획재정부는 8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주중 대사관 등 외교 라인을 통해 확인해 결과, 중국 정부는 공식적인 비료용 요소의 수출 통제 조처를 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강종석 기재부 경제안보공급망기획단 부단장은 "중국 화학비료 업체 중 한 곳에서 비료용 수출 물량 축소 방침을 발표한 정도"라며 "현재 중국과 관계도 안정적이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포괄적인 수출 제한 조치는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 부단장은 “비료 완제품 재고량도 25만9000t에 달해 과거 추이를 고려하면 연말까지 수급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정부는 예상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선 주유소에선 요소수 사재기에 대비해 구입량을 한사람당 2통으로 제한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화물차가 많이 오가는 서울 양천구의 한 주유소는 9일 “중국 소식을 전한 뉴스가 나온 7일 밤 10ℓ짜리 요소수 6통을 사가는 사람도 있었다”면서 “한꺼번에 너무 많이 사 갈 것을 우려해 어제(8일)부터 최대 구입량을 2통으로 제한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