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부르면 오는 부산의 콜버스 '타바라' 직접 타보니
버스가 택시처럼 부르면 달려오고, 원하는 목적지까지 최소한의 동선으로 이동한다면, 어떨까요? 부르면 오는 버스, 이름하여 ‘타바라(TABARA)’가 부산 기장에서 1년간 시범 운행 됩니다.
도시 외곽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이라면 긴 배차 시간, 돌아가는 노선 등 대중교통에 대한 불편함을 겪어본 경험이 있을 텐데요. 운수 사업자도 빈 버스를 운행하기에는 유류비나 인건비로 부담이 된다는 입장으로 딜레마에 놓인 상황이었습니다.
부산시가 이를 해소할 방안으로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DRT(Demand Responsive Transit)를 구축했습니다. DRT는 수요응답형버스로 일반 시내버스와 달리 수요에 따라 경로와 운행 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정 운행하는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입니다. 버스와 택시의 특징이 동시에 드러나 콜버스라고도 불리는 이 DRT는 그간 대중교통 수요가 많지 않은 관광지나 농어촌 지역에 많이 도입됐습니다.
부산 사투리 ‘타 봐라’를 소리 나는 대로 부른 ‘타바라‘는 기장 일대에서 내년 9월까지 1년간 시범 운행될 예정인데요. 15인승 버스 총 5대와 롯데월드, 해동용궁사 등 기장의 주요 관광지 15개 정류장이 마련돼 있습니다. 부산에서는 최초로 도입된 DRT 타바라가 기장 대중교통 불편을 해소하는 사례가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타바라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DRT 전용 스마트폰 앱이 필요합니다. ‘타바라’ 앱 설치 후 로그인을 하면 버스를 호출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오는데요. 탑승객 수, 출발지, 도착지를 입력한 후 버스를 호출하면 근처에 있는 버스 두 대를 보여줍니다. 두 대의 추천 버스 중 하나를 선택해 버스가 도착하면, 교통카드로 요금을 지불하고 정해진 좌석에 앉습니다.
요금은 일반 시내버스와 동일하고, 다른 대중교통과 환승도 가능한데요. 1인 승차도 가능한데다 다른 승객이 없을 땐 정차도 없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택시를 탄 느낌이었습니다.
DRT와 시내버스의 가장 큰 차이점은 불필요한 노선을 거치지 않고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최적의 거리로 이동한다는 점입니다. 노선과 배차시간이 정해진 시내버스의 경우에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려면 노선에 따라 돌아가야 하지만 DRT라면 출발지와 도착지가 수요에 따라 변동되므로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목적지로 가는 중 비슷한 방향의 다른 탑승객이 있으면 함께 태우고 가기 때문에 도착 시간이 유동적일 수는 있습니다. 그래도 이용자는 시내버스 요금만 지불하면 정해진 노선 없이 택시처럼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고, 버스는 수요가 있을 때만 최소한으로 운행하므로 인건비 등 비용 절감에도 도움될 것으로 보입니다.
[부산시 공공교통정책과 관계자] “(수요응답형버스는) 운행 호출할 때만 비용이 발생하잖아요. 그런 유류비라든가 타이어비 이런 부분도 감소하겠지만 타바라는 최적 경로로 가기 때문에 이용자들이 이동하는 시간 자체가 많이 줄어들어요. 버스는 정류장마다 서잖아요. 시간이 꽤 많이 걸리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사실은 저희가 노리고 있는 부분은 비용의 감소보다는 이용자들의 서비스 증대 정도로 이해를 해주시는 게 맞을 거 같아요.”
아쉬운 점도 있었습니다. DRT가 접근성, 이동성 측면에서 택시의 장점을 가진 것은 맞지만, 결정적으로 타바라 전용 정류장에서만 타고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버스로서의 한계를 완전히 뛰어 넘지는 못했습니다. 또 타바라 정류장 인근을 제외하고는 홍보가 잘 되지 않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국제신문 영상팀 이지수 인턴] “수요응답형 버스를 이용한다는 것 자체가 잘 가지 않는 곳을 환승하지 않고 갈 수 있다는 건데 승하차할 수 있는 곳이 15곳 밖에 없어서 타바라 정류장을 일일이 찾아다녔다는 점이 아쉽습니다. 만약에 승하차할 수 있는 곳이 조금 더 늘어난다면 타바라만의 장점을 살릴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밖에도 아무데서나 내릴 수 없다는 점, 스마트폰 앱을 통한 예약 시스템 특성상 노인이 이용하기 어렵다는 점 등 몇 가지 한계들이 보였는데요. 부산시는 개선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부산시 공공교통정책과 관계자] “이게 관광 DRT이기 때문에 사실은 젊은 분들이 많이 이용을 해요. 그래서 저희가 ICT 기술을 병합한 휴대전화 앱으로만 하고 있는데 또 노약자라든가 이런 분들이 사실은 어플리케이션에 많이 취약하잖아요. 그래서 그분들을 위해서 콜센터도 운영할 계획을 가지고 있고...]
부산시는 승하차장 확대 및 축소, 개선점 등에 대해 11월까지 진행될 교통 분석이 끝나면 검토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또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전용 앱 서비스도 출시해 다양한 관광, 축제 정보와 수요응답형(DRT)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부산은 10여년 간 40%에 머문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을 60%까지 올리고 15분 이내에 생활권을 조성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는데요. 아직까지는 관광용 DRT인 타바라가 교통 취약지까지 확대되어 대중교통 친화도시로의 한 걸음을 내딛을 수 있을까요?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