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세상] 시빅 데이터...불평등 완화의 해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보건당국의 정책목표는 백신 접종률 제고였다.
당국은 스마트폰에 백신패스를 설치하면서 톡톡이 효과를 봤다.
하지만 더 많은 데이터가 더 나은 정책을 만들지는 않는다.
정책 결정에서 배제되고 소외돼 그동안 귀를 기울이지 않았던 이들의 불편과 부담을 데이터화하는 일, 바로 '시빅 데이터'를 만드는 일이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보건당국의 정책목표는 백신 접종률 제고였다. 당국은 스마트폰에 백신패스를 설치하면서 톡톡이 효과를 봤다. 하지만 통화·문자용으로만 스마트폰을 쓰거나, 스마트폰이 없는 사람들은 QR코드를 찍지 못해 식당에 들어가지 못했다. 어디 백신패스뿐일까. 기차역이나 터미널에서도 비슷한 상황은 벌어진다. 승차권을 구매하려면 키오스크나 모바일앱을 이용해야 하는데 디지털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들은 좌절하기 일쑤다. 창구 담당자·관리자 감축 등 행정비용은 줄어들었겠지만 이를 과연 이용자의 복지 증대로 볼 수 있을까. 기술 학습능력 격차에 따른 불평등 확산은 효율성 증대로 정당화할 수 있는 문제일까.
데이터를 이용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정부 혜택을 받도록 하는 미국의 시빅테크(civic tech) 단체 ‘코드 포 아메리카’에서 데이터 과학자로 일하는 저자는 ‘데이터는 정부라는 기계를 움직이는 기름’이라고 정의한다. 하지만 더 많은 데이터가 더 나은 정책을 만들지는 않는다. 데이터를 활용하는 정부 서비스가 시민이 아닌 정부와 공무원들의 편의 위주로 설계·운용되면 소용이 없다. 시민의 편의를 중심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게 저자의 주장. 가령 넷플릭스가 알고리듬으로 영화를 자동 추천하듯이, 육아 복지 지원 서비스를 신청하는 가난한 젊은 부부에게 육아복지·주택복지를 같이 지원하라고 자동으로 추천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얘기다.
정부가 해야 할 일은 구호로서의 디지털 정부가 아니다. 정책 결정에서 배제되고 소외돼 그동안 귀를 기울이지 않았던 이들의 불편과 부담을 데이터화하는 일, 바로 '시빅 데이터'를 만드는 일이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이는 성숙한 민주주의 국가, 선진국으로 가는 길의 다름 아니다.
이왕구 문화부장 fab4@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300억 빼돌린 은행 부장, 부인 시켜 김치통에 4억 감췄다
- 아버지 위치 추적해 살해 후 시신 훼손… 20대 아들에 무기징역
- 윤 대통령, G20 정상회의 개최지 인도 도착...北 비핵화 협력 촉구
- “지하 1㎞ 동굴에 갇힌 탐험가를 구하라”…전세계 구조대가 나섰다
- [단독] "얼굴 봐놨어, 찔러 죽여버린다"... 신림역서 만취해 경찰 때린 20대
- 5번째 소환 앞둔 이재명.... 검찰, 이화영 진술 번복에도 혐의 입증 자신
- "사형해달라"던 연인 보복살해범, 1심 무기징역에 항소
- "오염수라 부르면 가짜뉴스" "오염수라고 잘못 말한 것 사죄"...강경한 일본 장관들
- 신호 위반 구급차, 트럭과 충돌... '펑' 소리 나며 전복 [영상]
- "가짜 병가 아냐?" 9월 4일 연가 소명자료 내라는 경기교육청… 학교현장 '시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