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미 빅테크 후방지원 ②중 R&D 진두지휘...③한국만 헤매는 AI전략

김지현 2023. 9. 9. 04: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中, 美 보란 듯 생성 AI 훈위안도 공개
美, 초격차 유지 위해 압도적 민간투자
中, 정부 주도 R&D…전세계 특허 60%
게티이미지뱅크

중국의 화웨이가 미국의 고강도 수출 통제에도 불구하고 첨단 반도체 공정 프로세서가 내장된 스마트폰을 출시하면서 미국과 중국의 하이테크 전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중국이 반도체 기술 자립에 성공한다면 인공지능(AI), 우주산업, 양자컴퓨팅 등 신흥 첨단 기술 패권 판도까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당장 반도체 이후 미중 패권 핵심 전장인 AI 산업계가 긴장한 모습이다. 8일 중국 텐센트가 미국 오픈AI의 '챗GPT'에 대항할 초거대AI인 '훈위안'을 보란듯이 공개했다. 초격차를 유지하려는 미국을 특허 강국인 중국이 바짝 뒤쫓는 가운데 전략이 모호한 한국의 입지가 쪼그라든다는 우려가 나온다.

연관기사
• AI 싸움 뛰어든 중국 텐센트, 거대 생성형 AI '훈위안' 공개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90816110005517)

민간투자는 美, 연구 논문은 中 앞서

다우손 통 텐센트 수석 부사장이 중국 선전에서 열린 '글로벌 디지털 에코 시스템 서밋' 행사에서 초거대 AI '훈위안'을 발표하고 있다. 텐센트 제공

미국의 AI 전략은 명확하다. 미국이 보유한 빅테크인 마이크로소프트(MS)가 컴퓨터 운영체제(OS) 시장을, 애플이 모바일 생태계를 점령했던 것처럼 AI 기술도 초격차를 유지해 생태계를 확실하게 장악하는 것. 구글, MS, 아마존, 애플 등을 중심으로 대규모 민간 투자가 이뤄지는 배경이다. 실제 미국의 지난해 AI 분야 민간투자 규모는 무려 474억 달러(약 63조7,000억 원)로 중국(134억 달러), 영국(44억 달러), 이스라엘·인도(32억 달러) 등에 비해 압도적이다. 한국은 31억 달러로 6위지만 미국의 6.5%, 중국의 23%에 불과했다.

중국은 정부가 더 적극적이다. 2015년 AI를 국가 중점 육성산업으로 지정한 뒤 투자, 인력 양성, 데이터 개방·공유 등을 정부가 나서서 이끌고 있다. 이 때문에 연구개발(R&D) 분야에 강하다. 과학기술 연구조사기관인 클래리베이트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2018∼2022년) 생성형 AI 분야에서 발표된 논문(총 5만4,899건) 가운데 중국이 1만9,318건으로 미국(1만1,624건)보다 많았다. 우리나라는 2,682건으로 인도, 영국에 이어 5위였다. 전 세계 AI특허 신규 신청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2년 13%에서 지난해 60%까지 늘었다.

중국의 추격이 거세지면서 미국이 AI 전략을 수정한 모습도 감지된다. 미국 빅테크들은 시장 선점 효과를 노리고 디지털 생태계를 형성하는 혁신 기술을 과감하게 공개해왔는데 최근 들어 원천 기술 보호에 필사적이다. 구글이 최근 초거대AI 거대언어모델(LLM) '팜(PaLM)2'의 기술 정보를 제한적으로 공개한 게 대표적 사례다. 반면 중국 알리바바의 계열사인 알리바바클라우드는 LLM인 '쿠안-7B'(Qwen-7B)를 오픈소스로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이에 대해 정보기술(IT) 업계 관계자는 "중국은 아직 미국의 AI 초격차 기술을 복제 학습하는 단계지만 두 국가의 기술 격차가 점점 좁혀지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봤다.


초거대AI 보유하고도… 한국 AI 전략은 모호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지난달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 를 소개하고 있다. 네이버 제공

한국은 미국, 중국, 이스라엘과 함께 전 세계에서 초거대AI를 보유한 'AI 선도국'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한국 정부의 AI 전략은 여전히 모호하다. 정부가 나서서 투자 확대, 인프라 확보, 인재 유치 등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인지, 아니면 뒤에서 확실하게 민간을 밀어줄 것인지 기조도 분명하지 않다.

빅테크인 네이버, 카카오가 구글, 애플 등과 달리 '뉴스 플랫폼'을 독점하는 사업자이다 보니 정치권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란 해석이 많다. 당초 공정거래위원회를 중심으로 플랫폼 규제를 강화하는 '온라인플랫폼공정화법'(온플법) 입법이 추진됐으나 당정이 '자율규제' 기조를 내세우면서 최근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한 관계자는 "정부가 미래산업인 AI 등의 킬러 규제 완화를 무기로 플랫폼이 독과점한 뉴스 유통 시장 기강을 세워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발상이 문제"라며 "플랫폼 산업이 커져 분야별 규제로 접근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김지현 기자 hyun1620@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