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판 퀴리 가문의 100년 집념, 위고비 낳다

김효인 기자 2023. 9. 9. 03:0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루이비통 시총 제친 노보노디스크
노보노디스크의 공동 창립자인 노벨 생리학상 수상자 아우구스트 크로그와 그의 아내 마리. 의사 과학자였던 마리는 2형 당뇨를 앓고 있었기 때문에 크로그 부부는 당뇨병 치료에 관심이 많았다./노보노디스크 홈페이지 캡처

1920년 모세혈관 연구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덴마크 의사 아우구스트 크로그는 1922년 아내 마리와 함께 미국 동부 순회 강연을 떠났다. 남편만큼 유명한 의사였지만 당뇨병 환자였던 마리는 여행 중 크로그에게 “인슐린을 처음으로 추출해낸 캐나다 토론토대의 프레더릭 밴팅을 만나고 싶다”고 했다. 세 사람의 만남은 다음 해 덴마크 ‘노디스크 인슐린 연구소’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당뇨 환자를 구해야 한다’는 신념으로 자신의 인슐린 특허권을 단돈 1달러 50센트에 토론토대에 넘긴 밴팅은 크로그 부부에게도 돈을 받는 대신 다른 조건을 내걸었다. “인류 공공의 선을 위해 사용하라”는 것이었다.

노디스크 연구소는 이후 제약업체 ‘노보 테라퓨틱스’와 합병해 노보노디스크가 됐고, 기대 수명 15개월의 극악한 질병이었던 당뇨병과의 전쟁 판도를 완전히 바꿔놓았다. 1978년 유전자 재조합으로 사람 인슐린을 세계 최초로 생산했고, 1985년에는 세계 최초의 펜 형태 인슐린 주사를 출시했다. 현재 세계 당뇨병 치료제 업계에서 노보노디스크의 점유율은 32%에 이른다. 노보노디스크와 미국 일라이릴리, 프랑스 사노피 등 3개 제약사가 전 세계 인슐린 치료제의 90%를 공급한다.

그래픽=이철원

◇100년 한 우물이 가져온 행운

레고, 칼스버그 같은 다른 덴마크 기업들과 달리 일반인 사이에서 노보노디스크의 인지도는 높지 않다. 다른 제약사와 달리 당뇨라는 특정 질환에만 집중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보노디스크는 올해 전 세계 산업계의 가장 큰 화제가 되고 있다. 탁월한 효능을 가진 비만 치료제 ‘위고비’ 열풍 덕분이다. 덴마크 경제부는 지난달 31일(현지 시각) “많은 이웃 국가들이 경기 침체, 심지어 퇴보를 경험하고 있고 덴마크 경제도 이 둔화 국면을 피하지는 못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노보노디스크가 이끄는 제약 산업의 성장에 기인해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0.6%에서 1.2%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위고비라는 약 하나가 국가의 경제 전망까지 바꿔 놓은 것이다.

위고비는 100년간 당뇨 치료제 한 우물을 판 노보노디스크가 우연히 얻은 행운이다. 노보노디스크의 2형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 사용자들 사이에서 탁월한 체중 감량 효과가 나타나자, 아예 같은 성분의 용량만 바꿔 위고비로 출시한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심혈관 질환, 알츠하이머, 1형 당뇨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심장 치료제로 개발되던 화이자의 비아그라가 획기적인 발기부전 치료제가 된 것과 비슷한 일이다. 뉴욕타임스는 “위고비의 성공으로 다이어트와 성인 건강식품 산업의 판도가 완전히 바뀌고 있다”고 했다.

수년 전만 해도 글로벌 10위권 제약사였던 노보노디스크는 이제 존슨앤드존슨, 화이자 등을 제치고 일라이릴리에 이은 2위 제약사가 됐다. 노보노디스크 시총은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를 밀어내며 유럽 기업 가운데 가장 높아졌고, 덴마크 국내총생산보다 많다.

그래픽=이철원

노보노디스크는 덴마크 국민주이다. 덴마크 개인투자자 가운데 20% 이상이 노보노디스크 주식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덴마크에서는 노보노디스크를 경제 상황 분석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나온다. 한 기업의 성공이 국가 경제와 시장 분석을 왜곡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덴마크 단스케 은행의 경제학자 옌스 네르빅 페데르센은 최근 뉴욕타임스에 “덴마크에서 단일 기업이 이렇게 큰 역할을 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며 “제약 산업이 없었다면 경제가 거의 성장하지 않은 수준이어서 별도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했다.

◇세계 최대 자선 재산으로 기여

창립자인 크로그 부부는 인류에 기여해야 한다는 밴팅과의 약속을 잊지 않았다. 이들은 ‘아우구스트 앤드 마리 크로그 재단(현 노보노디스크 재단)’을 설립해 의료 연구 등에 막대한 자금을 지원했다. 희소병 치료, 생명과학 발전, 병원 건립 등에 매년 수조원을 쏟아붓고 있다. 특정한 소유주가 없는 공공 재단인 노보노디스크 재단은 노보노디스크 주식 28%를 보유하고 있는 최대 주주이다. 순자산은 2020년 기준 1202억달러(약 160조3000억원)로 대표 자선 재단인 빌 앤드 멀린다 게이츠 재단의 자산 규모(502억달러)를 두 배 이상 앞선다. 과학계에서는 창업자 부부의 연구가 인류에게 미친 기여, 부부의 딸과 사위까지 모두 저명 과학자였다는 점에서 크로그 가문을 ‘덴마크의 퀴리 가문’이라고 부른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