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단골 후보…"등단 40년 한국서 축하해주니 뜻깊다"

안시욱 2023. 9. 8. 18: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에서도 문학상 하나 못 받았는데 무슨 노벨상입니까. 이번에 한국을 방문한다고 하니 주변 문인들이 '드디어 한국에 상을 받으러 가냐'고 묻더라고요. 하하."

위화는 노벨문학상을 받은 모옌, 루쉰문학상을 받은 옌롄커와 함께 중국 현대문학의 3대 거장으로 꼽힌다.

위화는 "중국에서 해적판으로 영화를 봤는데, 하정우 감독이 이를 두고 화낼 것 같진 않다"며 "한국과 중국 사이 문화적 차이를 한국적으로 잘 녹여내 촬영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Zoom In
한국 찾은 중국 현대문학 거장 위화
'인생' '허삼관 매혈기' 등 작품
풍자·해학으로 민초의 삶 그려
영화 '허삼관' 해적판 봤지만
하정우 감독이 화내진 않을 듯
한·중 문화 차이 잘 녹여 촬영

“한국에서도 문학상 하나 못 받았는데 무슨 노벨상입니까. 이번에 한국을 방문한다고 하니 주변 문인들이 ‘드디어 한국에 상을 받으러 가냐’고 묻더라고요. 하하.”

8일 서울 효자동에서 만난 중국 소설가 위화(余華·63·사진)는 장난기 가득한 모습이었다. 인터뷰 내내 웃음이 가시지 않았다. <인생> <허삼관 매혈기> 등에서 20세기 격변의 세월을 사는 중국인의 비참한 삶을 그리면서도 풍자와 해학으로 ‘웃으며 살아갈 힘’을 전한 그다운 모습이었다.

이번 방한은 그의 등단 40주년을 기념해 마련됐다. 중국에선 기념행사를 하지 않아 한국에서 맞이하는 이번 행사가 더 뜻깊다고 말했다. “만약 중국에서 40주년 기념회를 했다면 주변 사람들이 내가 연로해서 죽은 것으로 착각했을지 몰라요. 80주년 기념행사를 하게 되면 다시 한국에 와서 해야겠습니다.”

위화는 노벨문학상을 받은 모옌, 루쉰문학상을 받은 옌롄커와 함께 중국 현대문학의 3대 거장으로 꼽힌다. 매년 노벨상 후보로 거론될 정도로 인지도 높은 작가지만 다작과는 거리가 있다. 1991년 <가랑비 속의 외침>을 시작으로 지금껏 쓴 장편은 여섯 편뿐이다. 그는 “지난 40년 동안 쓴 작품이 많지 않은 것을 보면 그다지 노력하는 작가는 아닌 것 같다”며 “중국에 돌아가면 작품활동을 성실히 하겠다”며 웃었다.

그의 장편은 하나하나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대표작은 대약진운동, 문화혁명 등 중국의 현대사를 거쳐 간 한 가족의 이야기를 그린 <인생>이다. 작품은 세계 42개 언어로 번역돼 누적 2000만 부 이상 팔렸다. 출간된 지 31년이 지난 지금도 매년 160만 부 이상 판매되는 스테디셀러다. 장이머우 감독의 동명 영화로도 제작돼 칸국제영화제에서 심사위원 대상을 받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허삼관 매혈기>가 많은 사랑을 받았다. 한국에서 <인생> 판매량(10만 부)을 넘어선 25만 부가 팔렸다. 문화혁명 시기 피를 팔아 생계를 이어가는 한 남자의 삶을 조명한 이 작품은 배우 하정우가 연출·주연을 맡아 영화로도 제작됐다. 위화는 “중국에서 해적판으로 영화를 봤는데, 하정우 감독이 이를 두고 화낼 것 같진 않다”며 “한국과 중국 사이 문화적 차이를 한국적으로 잘 녹여내 촬영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지금껏 그의 작품은 대부분 대약진운동, 문화혁명 등 중국 현대사 속 민초의 삶을 그렸다. 주인공은 고단하고 힘든 인생을 사는 평범한 사람들이다. 차기작에 대한 질문에 “지난해 코로나19에 걸리고 집필을 중단한 두 편의 소설 중 하나는 코믹한 내용으로 분위기 변화를 시도 중”이라면서도 “나머지 한 작품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어렵게 사는 인물의 어두운 인생을 그렸다”고 답했다.

위화의 방한 일정은 오는 14일까지다. 그는 서울국제작가축제 개막 강연을 시작으로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 연세대 등에서 한국 독자들과 만날 예정이다.

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