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내년 상반기 모빌리티 특화 생성형 AI 개발”

우수민 기자(rsvp@mk.co.kr) 2023. 9. 8. 16: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넥스트 모빌리티 2023 개최
“자율주행·로봇·디지털트윈 등
기존 AI기술도 플랫폼에 통합”
MMS·UAM기체·LG로봇 전시
카카오모빌리티는 8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NEXT MOBILITY: NEMO 2023’을 개최하고 한국 모빌리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고도화를 선도해나갈 생성형 AI 기술 기반 플랫폼 비전을 선보였다.
카카오모빌리티가 모빌리티에 특화한 생성형 AI 기술로 국내 모빌리티 산업의 세계화를 이끌겠다는 비전을 공개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8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NEXT MOBILITY : NEMO 2023’을 열고 인공지능(AI)이 주도할 미래 모빌리티 청사진을 공유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경로 배정(Routing), 운송관리시스템(TMS)와 같은 모빌리티 엔진부터 자율주행, 로봇, 디지털트윈에 이르기까지 이미 보유한 모빌리티 AI 기술을 플랫폼과 결합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2024년 상반기까지 모빌리티에 특화한 생성형 AI 엔진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 신규 엔진을 활용해 국내외 모빌리티와 물류 배송 AI 플러그인도 구현하기로 했다.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생성형 AI가 고도화하며 이동의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진일보한 AI가 도입될 시기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수요 측면에서는 여객, 물류, 서비스와 같은 모든 이동 영역에서 AI가 맥락을 이해하고 정보를 처리해 수요를 발현시킬 것”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공급 영역에선 이미 자율주행 운송과 로봇 배송처럼 플랫폼과 결합해 이동서비스를 제공하는 AI가 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대비해 카카오모빌리티는 다양한 파트너와 연동해 수요 통합을 진행하고 있다. 먼저 영국 스플리트를 인수해 전세계 다양한 이동 수요를 통합하고 고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 라스트 마일 물류 분야에선 지난달 개발자 센터를 열어 다양한 물류 시스템과 쉽게 연동 가능한 준비를 마쳤다는 설명이다. 이를 통해 20여개 이상 파트너가 카카오모빌리티 물류 API를 활용해 배송을 요청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카카오모빌리티가 8일 개최한 테크 컨퍼런스 NEMO 2023에서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CTO, 올리버 레츠버그 구글 AI 및 데이터 제품 담당 부사장,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이사가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올리버 레츠버그 구글 AI·데이터 제품 담당 부사장은 ‘혁신적인 생성형 AI 경험을 주도하는 데이터 분석’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그는 “데이터와 AI는 비즈니스의 가장 큰 경쟁 요소가 되고 있으나 기업이 데이터에서 가치를 추출하고 차별화 요소로 전환하는 경우는 드물다”며 “이는 많은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가 AI 시대에 맞게 설계돼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생성형 AI를 통해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를 모두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전했다.

레츠버그 부사장은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에서 생성형 AI 기술을 실제로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려면 모든 워크로드에 포괄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AI 지원 데이터 플랫폼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데이터 플랫폼에 통합되는 AI 기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는 기조연설을 통해 ‘모빌리티와 생성형 AI의 만남’을 주제로 카카오브레인의 다양한 언어모델을 시연했다. 이때 카카오브레인이 연내 공개 예정인 차세대 언어모델의 중간 학습 버전이 공개됐다. 요약, 번역과 같은 기본적인 작업 외에도 수능문제 풀이, 서울대 입시 논술시험과 같은 고차원 추론 능력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했다.

김 대표는 카카오브레인 언어모델에 모빌리티 서비스를 결합해 가능할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 미래를 제시했다. 먼저 ‘퍼스널 컨시어지’는 주어진 일정과 조건에 따라 맞춤형 추천 여행경로를 짜주는 서비스다. “제주도에서 2박 3일 일정으로 3개월, 1살 아이를 동반할 가족여행 코스를 알려줘”라고 요청하자 날씨에 따른 유의사항부터 숙박지 추천, 가족사진 찍기 좋은 장소에 이르는 상세한 여행 정보가 생성되는 식이다.

‘카카오 T’에 카카오브레인 언어모델을 접목해 구현할 수 있는 심리스한 이동 시나리오도 제시했다. 단체대화방에서 대화를 나누며 자연스럽게 대화 맥락에 맞는 최적화된 모임장소를 추천받고, 식당 예약은 물론 식당까지 가는 추천 이동경로 확인, 택시 호출을 마치는 여정이다.

이날 행사에선 그랩(Grab), LG전자, 스튜디오 갈릴레이, 한국교통연구원도 참여해 민관학 관점에서 AI 기술과 데이터에 담긴 가치를 재조명했다.

또한 행사장에는 ‘이동 빅데이터 -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 AI 기술 간의 연계성’을 시각화한 ‘AI 랩’ 테마관이 마련됐다. 측위와 센서 퓨전 기술이 접목된 ‘모바일 맵핑 시스템(MMS)’ 모듈로 지상과 상공에서 디지털 트윈을 생성하는 ‘아르고스(ARGOS)’ 시리즈, 영국 기체제조사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의 eVTOL 기체 ‘VX4’를 1/10 크기 실물로 구현한 목업(Mockup)과 카카오모빌리티 고정밀지도(HD map) 구축 기술로 협력하고 있는 ‘LG전자 통합자율주행 로봇’이 전시됐다. LG전자 로봇은 마치 사람이 물품을 내리듯 자연스럽게 물품을 전달하는 ‘자동 하역기술’을 시연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