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스&] 중국도 못 뚫는 대만의 '실리콘 쉴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만의 반도체 회사 TSMC는 '실리콘 쉴드(반도체 방패)'라고 불린다.
여기에는 TSMC가 생산하는 반도체 덕택에 중국 등 외부의 위협에서 대만이 안전할 수 있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책에서는 대만이 미국·중국 사이에 끼어서 어려움을 겪는다는 수세적인 인식보다는 오히려 반도체를 통해서 대만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다는 자긍심이 돋보인다.
대만 입장에서는 궁극적으로 미국의 의도가 중국 반도체 뿐만 아니라 대만 반도체 생산력까지 약화시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강대국들의 패권전쟁 속
외부위협서 보호하는 힘 '반도체'
미국이 대만을 보호해야는 이유
TSMC 기반 반도체강국 전략 등
대만인 시각으로 '칩 전략' 분석
대만의 반도체 회사 TSMC는 ‘실리콘 쉴드(반도체 방패)’라고 불린다. 여기에는 TSMC가 생산하는 반도체 덕택에 중국 등 외부의 위협에서 대만이 안전할 수 있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미국이 대만을 방어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가 자국에 반도체를 절대적으로 공급하는 대만을 보존하기 위해서라는 뜻도 깔려 있다. 대만은 그동안 어중간한 국가라는 폄하를 반도체 육성을 통해 벗겨 냈다.
신간 ‘칩 대결(원제 晶片對決·Fight for the chip)’은 대만인이 대만의 관점에서 세계 반도체 산업과 무역전쟁을 기술한 책이다. 저자 인치밍(尹啓銘)은 대만 경제부 장관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양안(대만·중국)기업인서밋 사무총장을 맡고 있다.
기존에 출간된 반도체 책들이 미국·유럽을 중심으로 한데 비해 '칩 대결’은 제 3지대인 대만의 시각에서 글로벌 반도체 산업을 보게 한다. 때문에 패권국가 미국에 대한 시선이 보다 시니컬하다. 책에서는 대만이 미국·중국 사이에 끼어서 어려움을 겪는다는 수세적인 인식보다는 오히려 반도체를 통해서 대만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다는 자긍심이 돋보인다.
저자는 반도체 산업에 대한 미국의 지원과 투자에 대해 고마워한다. 더 나아가 미국이 대만을 더 중시해야 한다고 본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미국과의 반도체 동맹이 미래에도 무조건 대만을 보호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볼 때 대만은 자립을 해야 할 뿐만 아니리 글로벌 변화 속에서 대만에 대한 미국의 음모와 정치적 책략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대만은 한국과 함께 반도체 산업에서 후발주자다. 미국에서 반도체 산업이 시작된 이후 일본을 생산기지로 삼았다. 하지만 일본은 반도체 기술을 고도로 발전시키면서 오히려 미국의 산업 패권을 위협하려고 했다.1980년대 미일 경제 분쟁의 주요 이유다.
이후 반도체 생산 기지는 대만과 한국으로 옮겨갔다. 그때까지 중소기업의 나라라고 불린 대만은 미국 반도체의 하청 기지로서 출발했다. 대만은 1974년 미국으로부터 반도체 주요 기술을 처음 도입했고 이후 1990년대 대규모 투자를 통해 산업을 키웠다. 마찬가지로 한국도 이 시기에 일본을 대체하는 생산 기지였다. 한국이 D램에 집중했다면 대만은 파운드리에 중점을 뒀다.
저자는 글로벌 경제를 흔든 미중 무역전쟁은 오히려 대만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을 키웠다고 본다. 무역전쟁 과정에서 반도체 공급망이 중요해졌고 이에 대만의 가치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대만 최대 반도체 기업이자 세계 최대 반도체기업인 TSMC가 ‘실리콘 쉴드’라고 불리는 이유다.
다만 대만의 수혜는 딱 거기까지다. 미국이 자국의 이익을 위해 지나친 행동도 한다는 것이다. 미국이 중국을 견제한다는 이유로 다른 나라의 중국 거래까지 막고 있기 때문이다. 대만 반도체의 최대 고객이 중국이기도 하다.
또 반도체 생산 기지로서의 위상을 회복하기 위해 미국은 각국 기업에 미국에 투자토록 압력을 행사하고 있는데 이것도 대만에게는 부담이다. 대만 입장에서는 궁극적으로 미국의 의도가 중국 반도체 뿐만 아니라 대만 반도체 생산력까지 약화시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저자는 “글로벌화의 혜택을 누린 후에 미국 정부는 반대로 글로벌화를 파괴하는 움직임을 보여 왔다. 국가 안보와 공급망 안전을 이유로 미국은 반도체 자국화 및 중국 반도체 발전 제재운동을 일으키고 있다”고 말한다. 3만원.
최수문기자 기자 chsm@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탈퇴한다니 아킬레스건 끊어버린 중국인 보이스피싱 종책 일당
- 주유하다 담뱃불 '칙'…'당장 꺼라' 말리자 욕설한 20대男
- 유모차에 보여 엘베 잡아줬더니…배려 당연시하는 태도에 '황당' '이게 맞나요?'
- '이제 차에서 아무것도 못 하겠네'…자동차, 정치적 견해·성생활까지 모두 '수집'
- '면허취소' 이근, 무면허로 경찰서에 차 몰고 갔다가 딱 걸렸다
- 현영도 당한 600억대 ‘상품권 사기’…“돈 돌려주려했다”는 카페 운영자
- ‘길고양이들과의 전쟁’ 선포한 호주…“멸종위기 동물 피해 커”
- 출생률 3명 다시 눈앞…'애 좀 그만 낳으세요' 호소하는 이 나라
- 지하철역서 비틀대다 선로로 '툭'…60대 구하고 쿨하게 떠난 사람들
- 빌 게이츠, 트랜스젠더 협찬해 매출 급감한 맥주 회사 지분 인수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