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는 자원 개발서 생산까지 협력 가능한 국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 호주가 핵심 광물부터 청정에너지, 나아가 바이오·방산 등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미래 협력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최정우 한-호 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호주는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첨단기술 연구, 국가안보, 먹거리, 친환경 소재 등 우리 일상과 맞닿은 모든 분야에서 미래지향적 협력을 할 수 있는 국가"라며 "실제로 국가 간 협력단계까지 가는 것은 기술격차나 사회문화적 환경 차이로 쉽지 않지만, 한국과 호주는 자원개발부터 생산까지 전 단계에서 협력이 가능한 사이다"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정우 위원장 “미래지향적 협력”
“공급망 골든타임 놓치지 말아야”
한국과 호주가 핵심 광물부터 청정에너지, 나아가 바이오·방산 등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미래 협력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8일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 호텔에서 호주AKBC(호-한 경제협력위원회)와 ‘제44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를 개최했다.
대면회의로 진행되는 이번 제44차 회의에는 최정우 한-호 경협위원장(포스코그룹 회장), 존 워커 AKBC(호-한 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로저 쿡 서호주 주(州)총리, 한기호 의원(한·호주 의원친선협회 회장), 배상근 전경련 전무, 캐서린 레이퍼 주한호주대사 등이 참석했다.
최정우 한-호 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호주는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첨단기술 연구, 국가안보, 먹거리, 친환경 소재 등 우리 일상과 맞닿은 모든 분야에서 미래지향적 협력을 할 수 있는 국가”라며 “실제로 국가 간 협력단계까지 가는 것은 기술격차나 사회문화적 환경 차이로 쉽지 않지만, 한국과 호주는 자원개발부터 생산까지 전 단계에서 협력이 가능한 사이다”고 전했다.
존 워커 AKBC 위원장 역시 “호주의 세 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이자, 세 번째로 큰 수출시장인 한국은 자원과 기술이라는 양국 간 상호보완적인 장점을 기반으로 미래 첨단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핵심광물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경협위에서는 ‘한-호 협력을 통한 혁신적 미래 탐색’을 주제로 첨단기술 연구개발(R&D) 협력, 핵심광물, 방위·항공우주, 식품 및 바이오, 청정에너지(수소) 등 5개 분야에 대한 양국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강진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박사는 “우리나라 연구개발 협력은 미국, 일본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2010년께 이후 일본과의 협력 비중은 줄어들고 중국과 호주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언급했다.
이차전지 등 친환경배터리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광물 협력에 힘써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경섭 포스코홀딩스 전무는 “친환경 핵심산업인 이차전지의 공급망 구축의 골든타임을 향후 3년으로 본다”며 “IRA(미국 인플레감축법)와 CRMA(유럽연합 핵심원자재법) 등으로 인해 중국을 제외한 배터리 공급망 구축 협력이 필수적인 상황에서, 한국과 호주가 협력해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방산과 식품 등 분야에서도 양국 기업간 협력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틴 리플 ANCA 최고경영자(CEO)는 “역내 안정을 위해서 각 분야의 리더급들이 모여 파트너십을 맺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세호 롯데상사 상무는 “롯데상사는 메탄가스 절감을 위해 한국의 IT 기술을 접목해 지속가능하고 우수한 축산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국과 호주가 수소를 중심으로 청정에너지 협력 기반을 넓혀가는 가운데 이를 위한 양국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류재길 고려아연 팀장은 호주가 자국내 생산한 그린수소의 글로벌 공급 시장 선점을 돕기 위한 지원책을 마련한 것에 대해 “한국도 국내 기업들이 해외에서 직접 생산하고 도입하는 그린 수소 프로젝트에 대해 정부가 제도와 재정 지원을 제공해, 안정적인 수소 공급원과 장기적인 에너지 안보를 선제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지헌·김성우 기자
raw@heraldcorp.com
zzz@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히어라가 일진? 최대 악행은 급식실 새치기”…동창생들 옹호글 등장
- 김건희 여사 ‘흰색 원피스’ 어디서 봤나했더니…“스페인 그 옷”
- 정우연, 김히어라·이아진 성희롱 논란에…"불쾌감 안 느꼈다"
- “모텔 대실 우습게 봤더니” 급여만 4억원…낯익은 ‘얼굴’ 누군가 했더니
- 김윤아 “나라서 앙코르 못하게 해”…전여옥 “개딸 못지않네”
- 무려 400만원대! 사고 싶어도 못 사…삼성 ‘역대급’ 명품폰 등장
- [영상] 두 차선 막고 불법 주차한 벤츠女…‘빵’하자 손가락 욕 [여車저車]
- “폭우에 진짜 이 정도까지?” 합성처럼 믿기 힘든 이 사진들 [지구, 뭐래?]
- 프레디 머큐리 피아노 30억 낙찰…퀸 멤버 “너무나 슬픈 일” 왜?
- “하루 5시간 일하고 월 300만원 번다” 직장인 '꿈의 부업' 뭐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