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4대강 사업? 파국을 막아야 할 의무 [취재 뒷담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어느 정부의 정책인지'에 국가 정책의 지속성이 걸려 있는 걸까.
김다은 기자가 홍수로 제방 및 둔치가 무너진 낙동강 상주보와 구미보를 다녀왔다.'포스트 4대강 사업'을 보면 국가 정책이 정치 프레임에 갇혔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에 다녀온 낙동강 상주보와 구미보는 준설 사업인 4대강 사업이 홍수위를 낮출 수 있다 해도 또 다른 위험 요소가 된다는 점을 보여주는 현장이다.
'포스트 4대강' 같은 정책이 친환경으로 둔갑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어느 정부의 정책인지’에 국가 정책의 지속성이 걸려 있는 걸까. 윤석열 정부는 MB 정부 인사를 중용하는 것도 모자라 정책마저 따라간다. 4대강은 대표적이다. 김다은 기자가 홍수로 제방 및 둔치가 무너진 낙동강 상주보와 구미보를 다녀왔다.
'포스트 4대강 사업'을 보면 국가 정책이 정치 프레임에 갇혔다는 생각이 든다.
정치권에서 다시 4대강 이야기가 나왔을 때 ‘이건 망령이구나’ 싶었다. 사업의 후과와 무관하게 정치적 목적에 따라 죽지 않고 되살아나는 거다. 특히 현 정부의 ‘덮어놓고 준설’ 정책은 효과적인 치수 대책이 아닌데도 합리적 논의가 불가능한 분위기다. 4대강 준설 문제에만 방점을 맞춰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번에 다녀온 낙동강 상주보와 구미보는 준설 사업인 4대강 사업이 홍수위를 낮출 수 있다 해도 또 다른 위험 요소가 된다는 점을 보여주는 현장이다.
기사에 못 쓴 현장 분위기를 전해준다면?
강바닥 위 썩어서 올라온 메탄가스와 갈 곳 잃은 물고기 사체가 기억난다. 정적 때문에 내가 있는 곳이 강이 맞는지 헷갈렸다.
이미 오래 논쟁한 이슈다 보니 피로감도 느껴진다. 그럼에도 우리가 관심 가져야 하는 이유는?
전문가들은 가속화되는 기후변화를 우려하지만 여전히 인간의 노력으로 이 파국을 막을 수 있다고 말한다. 아직 인간의 영역이기도 하니 힘을 내봐야 한다. ‘포스트 4대강’ 같은 정책이 친환경으로 둔갑하고 있다. 이런 부분을 눈여겨봐야 한다. ‘기후위기 피로감’은 우리가 가장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장일호 기자 ilhostyle@sisain.co.kr
▶좋은 뉴스는 독자가 만듭니다 [시사IN 후원]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