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객들 집중력-열정 대단해… 한국영화 성장에 많은 영향 끼쳐”

최지선 기자 2023. 9. 8.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독일을 대표하는 영화감독 크리스티안 페촐트(63·사진)가 영화 '어파이어'를 들고 처음 한국을 찾았다.

페촐트 감독에게는 영화 '바바라'(2013년)에 이은 두 번째 은곰상 수상작이다.

페촐트 감독은 영화를 촬영하기 전 배우와 모든 스태프를 데리고 촬영지에서 3일 동안 워크숍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베를린영화제 은곰상’ 페촐트 감독
영화 ‘어파이어’ 홍보차 첫 방한
“영화속 지질한 예술가, 나를 닮아”
독일을 대표하는 영화감독 크리스티안 페촐트(63·사진)가 영화 ‘어파이어’를 들고 처음 한국을 찾았다. 13일 개봉하는 ‘어파이어’는 제73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은곰상(심사위원대상)을 받은 작품이다. 페촐트 감독에게는 영화 ‘바바라’(2013년)에 이은 두 번째 은곰상 수상작이다. 그는 “한국만큼 집중력이 높은 관객들을 본 적이 없다. 한국 관객들의 열정이 한국 영화의 성장에 굉장히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걸 눈으로 확인하게 돼 기뻤다”고 했다.

서울 마포구 KT&G상상마당에서 6일 만난 페촐트 감독은 눈을 반짝이며 취재진의 한국어 질문을 유심히 들었다. 그는 “한국어가 아름답게 들린다”고 했다. 그의 작품에서 항상 주목받는 부분 중 하나가 사운드다. 배우가 낭독하는 소리나 귀를 붙드는 음악이 자주 등장하기 때문이다. ‘어파이어’에도 집 안에 울려 퍼지는 음악과 비행기 소리 등 사운드에 집중한 장면이 많다.

영화 ‘어파이어’에서 레온(토마스 슈베르트·왼쪽)과 친구들이 멀리서 난 산불을 걱정스러운 눈길로 바라보고 있다. 엠엔엠인터내셔널 제공
‘어파이어’는 소설가인 레온(토마스 슈베르트)이 작품 집필에 집중하기 위해 친구인 펠릭스(랭스턴 우이벨)와 함께 바닷가 마을로 떠났다가 나디아(파울라 베어)를 만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레온은 자신의 글쓰기만 중요하다고 여기며 주변 사람들의 일이나 능력을 평가 절하한다. 하지만 그의 작품은 졸작에 가깝다. 영화는 레온을 통해 인간의 어리석음과 오만함을 풍자한다.

독일의 역사와 고독한 인간을 묘사했던 ‘바바라’(2012년), ‘피닉스’(2014년), ‘운디네’(2020년) 등 전작들과는 결이 다르다. 한층 가볍고 실소가 터져 나오는 장면도 있다. 페촐트 감독은 “원래 디스토피아적인 사회에 대한 각본을 쓰고 있었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렸다. 고열에 시달리면서 여러 꿈을 꿨고, (몸이 아파) 미래에 대해 두려운 마음도 생겼다. 그러면서 당시 쓰고 있던 각본에 대한 흥미를 잃었다”고 했다. 이어 “그때 삶을 찬미하는 에릭 로메르 감독의 영화를 보면서 삶과 여름에 대한 그리움이 생겼고 이 각본으로 이어졌다”고 했다. 그는 지질한 예술가인 레온에 대해 “자전적인 이야기라고 말하고 싶진 않지만 어쩔 수 없이 저의 많은 부분이 레온이라는 인물에 투영돼 있는 것 같다”고 했다.

페촐트 감독은 영화를 촬영하기 전 배우와 모든 스태프를 데리고 촬영지에서 3일 동안 워크숍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우리는 각본을 읽고 난 뒤 같이 영화를 보고 음악을 듣는다. 또 촬영하게 될 모든 장소를 함께 둘러본다. 그러면 배우들은 자기만의 상상을 머릿속에 꾸려가고 집에 돌아가서는 새로운 감정을 가진 상태로 대본을 볼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이 과정을 통해 배우와 나 스스로 (촬영에 대한) 두려움을 덜 수 있다”고 했다.

예술 영화를 찍는 페촐트 감독은 팬데믹으로 인한 영화계 침체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이라며 “함께 영화를 보고 꿈꿀 수 있는 영화관이란 공간은 삶에 꼭 필요한 곳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지선 기자 aurinko@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