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리창 중국 총리와 회담…10개월만에 최고위급 접촉
윤석열 대통령은 7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리창 중국 총리와 만나 “한·일·중 정상회담이 빠른 시일내에 한국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리 총리는 “적극 호응하겠다”고 화답해 한·중·일 정상회의 연내 개최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중 간 최고위급 인사 회담이 이뤄진 건 10개월만이다. 한·미·일 협력 격상으로 한국 대외정책의 중국 리스크가 커진 상황에서 한·중 최고위급 대화의 문을 열었다는 의미가 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현지시간) 자카르타 컨벤션 센터에서 51분간 리 총리와 만나 양국 현안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담은 윤 대통령과 리 총리가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자카르타를 찾으면서 이뤄졌다. 리 총리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측근으로 중국 권력서열 2인자이자 경제 사령탑이다.
윤 대통령은 회담에서 제9차 의장국인 한국의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에 대한 협조를 당부하고 리 총리는 적극 협력 의지를 밝혔다고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현지 브리핑에서 전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우선 과제는) 되도록 연내에 한·일·중 회담을 한국에서 여는 것”이라며 “중국이 호응하고 일본도 문제가 없으므로 일단 한·일·중 회담을 만들어놓고 이를 동력으로 한·중 간 고위급 회담과 정상회담 등을 통해 함께 할 협력사업을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중·일 정상회의가 성사되면 윤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15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뤄진 한·중 정상회담 이후 두 번째로 시 주석과 대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회담에서 “북핵은 우리에게는 실존의 문제”라며 “북핵이 해결되지 않으면 한·미·일 협력 체계는 더욱 공고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이 안보리(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다해달라”며 “북한이 한·중 관계 발전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협력하자”고 말했다. 임박한 것으로 관측되는 북·러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이날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도 “모든 유엔 회원국은 안보리 제재 결의를 준수해야 하며 그러한 결의안을 채택한 당사자인 안보리 상임 이사국의 책임은 더욱 무겁다”고 상임이사국 책임을 강조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양국 경제를 두고는 “한·중은 공히 다자주의와 자유무역질서를 지지하고 있는 만큼 그 전제가 되는 규범 기반의 국제질서 구축을 위해 협력하자”고 했다. 김 차장은 “한·중 관계는 문제가 존재할지라도 빈번하게 자주 만나 교류하며 풀어갈 수 있다는 게 윤 대통령의 입장이고 리 총리도 전적으로 호응했다”고 전했다.
리 총리는 “한·중은 가까운 이웃”이라며 “먼 친척보다 더 가까운 이웃이 협력하고 잘 지내면 훨씬 소중하고 가치있는 관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김 차장은 전했다. 미국과의 밀착 행보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리 총리는 이어 “선린우호의 원칙을 견지하며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자”면서 “한·중이 공동이익을 증진하고 상호관심사를 배려하면서 원숙한 신뢰관계를 돈독히 하자”고 제안했다.
리 총리는 회담에서 한·미·일 밀착 행보에 대해 직접적인 반응은 내놓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이 요청한 북한 문제에서의 역할에도 구체적 답은 내놓지 않았다. 한·중 관계 개선 의지를 확인하는데 방점을 두고 예민한 이슈는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최근 한·중 경제회담도 재개됐고 외교 라인의 고위급 회담도 재개되는 분위기 속에서 중국 측이 (한·미·일의) 캠프 데이비드 회담과 관련해선 말을 아끼는 게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
회담에서 리 총리는 시 주석의 ‘따뜻한 안부’를 윤 대통령에게 전하고, 윤 대통령도 시 주석에게 ‘따뜻한 안부’를 전해달라고 당부했다고 김 차장은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참석을 앞둔 시점부터 지속적으로 중국에 관계 복원 신호를 보내왔다. 지난 5일 공개된 언론 인터뷰에선 “한·일·중 3국 간 협력도 다시 궤도에 올려놓아야 한다”고 했다. 전날 리 총리와 함께 참석한 아세안+3 정상회의에선 “한·일관계 개선을 통해 한·미·일 3국 협력의 새로운 장이 열렸듯이 한·일·중 3국 협력 활성화는 아세안+3 협력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한·중·일 협력 복원을 강조했다. 한·미·일 협력 격상이 캠프 데이비드 회담으로 한 단계 마무리된 만큼 중국으로 눈을 돌려 관계 개선에 시동을 걸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중 관계는 그간 윤석열 정부 대외정책에서 ‘빈 영역’으로 남아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윤 대통령은 미·중 패권경쟁 시대에 ‘전략적 모호성’ 폐기를 선언하고 ‘안미경미’(안보도 미국, 경제도 미국) 행보를 펴왔다. 한·미·일 3각 공조로 중국을 견제하려는 미국의 인·태 전략에도 적극 부응해 왔다. ‘상호 존중과 호혜’ 정신에 입각한 대중국 정책을 표방했지만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한·중 간 고위급 인사 접촉도 드물게 이뤄지는 등 리스크가 확산됐다. 이를 두고 제1무역 대상국이자 북한 핵·미사일 문제의 주요 이해대상국인 중국과의 외교 공간을 열어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실제 관계 개선으로 이어지기까지 난관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조만간 만나 군사협력에 뜻을 모을 경우 한·미·일 대 북·중·러 냉전 구도가 강화하면서 한·중 관계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양국 관계는 미·중 간 긴장도 고조 여부에도 직·간접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자카르타 | 유정인 기자 jeongi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프고 계속 커지는 켈로이드 흉터··· 구멍내고 얼리면 더 빨리 치료된다
- “남잔데 숙대 지원했다”···교수님이 재워주는 ‘숙면여대’ 대박 비결은
- [스경X이슈] 반성문 소용無, ‘3아웃’ 박상민도 집유인데 김호중은 실형··· ‘괘씸죄’ 통했다
- ‘해를 품은 달’ 배우 송재림 숨진 채 발견
- 윤 대통령 골프 라운딩 논란…“트럼프 외교 준비” 대 “그 시간에 공부를”
- ‘검찰개혁 선봉’ 박은정, 혁신당 탄핵추진위 사임···왜?
- 한동훈 대표와 가족 명의로 수백건…윤 대통령 부부 비판 글의 정체는?
- “그는 사실상 대통령이 아니다” 1인 시국선언한 장학사…교육청은 “법률 위반 검토”
- 3200억대 가상자산 투자리딩 사기조직 체포… 역대 최대 규모
- 머스크가 이끌 ‘정부효율부’는 무엇…정부 부처 아닌 자문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