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에게 더 치명적인 비만, 개인 의지 문제 아닌 ‘질병’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아청소년에게 치명적인 비만을 만성질환으로 인식하고 자체에 대한 적극적인 해결 및 예방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비만은 소아·청소년에게 더 치명적으로 알려져 있다.
홍용희 대한비만학회 소아청소년위원회 이사(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교수)에 따르면, 6세~11세 탄산음료 주 1~2회 가량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소아청소년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진다"며 "제2형 당뇨병이 15년 새 4배 이상 증가하는 현상을 주목해야 한다"고 우려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김양균 기자)소아청소년에게 치명적인 비만을 만성질환으로 인식하고 자체에 대한 적극적인 해결 및 예방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십년 사이 비만유병률은 남녀 모두 증가하고 있고, 남자는 전 연령에서 늘어나고 있다. 비만으로 인해 당뇨, 고혈압, 대사성질환 뿐만 아니라 암 발생도 높인다는 연구가 보고되며 비만 예방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비만은 소아·청소년에게 더 치명적으로 알려져 있다. 홍용희 대한비만학회 소아청소년위원회 이사(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교수)에 따르면, 6세~11세 탄산음료 주 1~2회 가량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채소섭취율도 매년 줄고 있다.
홍 이사는 “십대들이 비만을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환경”이라며 “식사의 질은 비만을 유발하며 악화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소아청소년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진다”며 “제2형 당뇨병이 15년 새 4배 이상 증가하는 현상을 주목해야 한다”고 우려했다.
김경곤 대한비만학회 부회장(가천대의대 가정의학과 교수)도 “급속한 환경 변화와 이로 인한 생활습관의 문제이지 개인의 의지 부족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비만이 미용과 성형도 아닌 그렇다고 질환도 아닌 애매하게 분류되어 있다”며 “질병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인식에도 보건당국은 그렇게 받아들이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박철영 대한비만학회 이사장은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빨리 퍼져가고 있음에도 무감각한 실정”이라며 “비만 해결 및 예방을 위해 관련 보험·법제·정책 등과 연결해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고 강조했다.
서정숙 국민의힘 의원은 “비만의 개인의 문제로 축소해서는 안 된다”며 “우리사회가 해결해야 할 질환으로 비만을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비만은 비급여 대상이지만 비만과 관련된 고혈압, 당뇨병 등 합병증에 대한 진료는 요양급여 대상이다. 특히 비만수술 및 이와 관련된 진료도 요양급여 대상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비만수술 청구 현황에 따르면, 2019년 비만 수술을 한 환자 수는 2천133명이었고, 작년은 2천237명 등으로 2천명 대를 유지하고 있다.
김양균 기자(angel@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분건강] 비만이 무서운 이유 알려드립니다
- 비만치료, 대사질환 개선과 체중감량 한 번에 해결돼야
- 10년간 어른·아이 할 것 없이 비만 급증했다
- 초중고 5명 중 1명 이상 ‘비만’…코로나19 유행 영향 대책 수립 시급
- 덴마크의 만성질환 관리법 눈길…"당뇨보다 비만 치료가 더 쉽다”
- '스무돌' 맞이한 지스타 2024…주요 게임사 대표 모였다
- "하필 수능날 날벼락"…경기 지역서 나이스 먹통, 1시간여 만에 복구
- 세금신고·복지신청, 한 곳에서...공공서비스 더 똑똑하고 편리해진다
- 경계 사라진 비즈니스...엔비디아·어도비 등 ‘빅테크 혁신 팁’ 푼다
- 이석우 두나무-마이클 케이시 DAIS 협회장 "블록체인 산업, 외부 의존도 낮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