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디브 대선은 인도 vs 중국 대리전?
친인도냐 친중국이냐. 오는 9일(현지시간) 치르는 몰디브 대선은 인도와 중국이 인도양에서의 영향력을 겨루는 간접 승부가 될 전망이다.
6일 로이터통신·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이번 몰디브 대선은 상위 후보 간 외교 지향점이 극명히 대조를 이루고 있다.
먼저 재선을 노리는 이브라힘 모하메드 솔리 현 대통령은 몰디브에 지리적으로 인접한 ‘인도 우선’ 정책을 펼쳐 왔다. 그는 2018년 집권한 이후 중국의 영향력을 축소하고 인도와 군사적·경제적으로 협력하는 노선을 걸었다.
반면 야권 대표인 모하메드 무이주 후보는 ‘인디아 아웃’(인도는 나가라) 캠페인에 한창이다. 그는 친중국 행보를 보여왔으며, 몰디브에 주둔해 있는 인도 군대를 내보내겠다고 공언했다.
작은 섬나라 몰디브는 인도와 중국의 ‘인도양 진출 거점’으로 꼽히며 양국의 각축장이 돼왔다. 몰디브는 남아시아에서 인구가 가장 적고 국토도 가장 작은 나라지만, 섬 1200개 사이사이 주요 무역 항로를 보유한다.
인도는 몰디브와 지리적으로 인접한다는 이점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문화 및 안보 분야에서까지 몰디브와 연결돼 있다. 2013년 집권한 압둘라 야민 전 몰디브 대통령이 중국으로 기울기 전까지는 인도가 몰디브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반면 중국은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하나로 몰디브에 운송 및 에너지 네트워크를 투자하며 인심을 얻었다. 중국은 몰디브와 스리랑카 등 남아시아 항구를 개발하는 소위 ‘진주 목걸이’ 전략으로 인도와 미국을 견제해왔다.
그동안 몰디브는 정권에 따라 친인도·친중국 전략을 오갔다. 이는 각각 부작용을 가져왔다. 중국이 제공한 대출과 원조는 몰디브의 대외 부채를 급격히 증가시켰다. 2019년 말 기준 몰디브의 대외 부채 중 53%를 중국이 차지한다. 부채는 현재 몰디브의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몰디브가 2026년까지 상환해야 하는 부채는 10억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인도와의 관계 확장에서는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힌두민족주의가 걸림돌이다. 몰디브는 인구의 98% 이상이 무슬림이다. 인도 정부가 몰디브에서 자국 문화인 요가를 홍보하자 반발이 일기도 했다. 인디안익스프레스에 따르면 2020년 몰디브에서 ‘인디아 아웃’ 시위가 시작됐으며, 몰디브에 인도군 주둔을 반대하는 정서가 만연하다.
이번 대선을 통해 몰디브는 다시 중국과 인도 사이에서 선택을 내린다. 솔리 대통령은 인도를 “위기 시 최초로 대응해 줄 국가이자 행운의 순간에는 가장 큰 지지를 보내는 국가”라고 치켜세운 반면, 무이주 후보는 “인도의 압도적인 영향력은 주권에 위협이 되고 있으며 인도가 몰디브에 영구 주둔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닛케이아시아는 “몰디브는 인도와 중국의 경쟁에 휘말린 약소국으로서 외부세력의 간섭을 매우 의식하고 있다. 이러한 의식이 몰디브 국가 정체성의 기반을 형성한다”고 보도했다.
이번 대선에는 후보 8명이 출마했다. 지난달 여론조사에서 솔리 대통령의 지지율은 21%, 무이주 후보는 14%로 나타났다. 응답자 53%는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고 답했다. 과반을 득표한 후보가 없으면 이달 30일 2차 투표를 치른다. 이번 대선 유권자는 약 28만명이다.
김서영 기자 westzer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들이 이제 비자 받아 잘 살아보려 했는데 하루아침에 죽었다”
- 윤 대통령 ‘외교용 골프’ 해명에 김병주 “8월 이후 7번 갔다”···경호처 “언론 보고 알아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남잔데 숙대 지원했다”···교수님이 재워주는 ‘숙면여대’ 대박 비결은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이재명, 김혜경 선고 앞두고 “희생제물 된 아내, 죽고 싶을 만큼 미안”
- “집주인인데 문 좀···” 원룸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20대 구속
- 뉴진스 “민희진 미복귀 시 전속계약 해지”…어도어 “내용증명 수령, 지혜롭게 해결 최선”
- 또 아파트 지하주차장 ‘벤츠 전기차 화재’에…주민 수십명 대피
- [단독]“일로 와!” 이주노동자 사적 체포한 극우단체···결국 재판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