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300명 이상 대·중견기업, 557만명 먹여 살린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300인 이상 대기업이 소속 전체 근로자 수는 557만7000명으로 전년 대비 31만1000명 증가해 지난해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다.
300 이상 기업이 직접 고용하는 '소속 근로자' 숫자도 전년 대비 26만 1000명이 늘었다.
전체 557만7000명의 근로자 중 공시된 기업에 직접 고용된 '소속 근로자'는 456만6000명(81.9%)으로 전년 대비 26만 1000명이 증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직접고용한 '소속근로자' 31만명↑…파견·도급 비중은 감소
‘기간제’는 전년 대비 11만명↑…"보건복지업 성장 영향"
300인 이상 대기업이 소속 전체 근로자 수는 557만7000명으로 전년 대비 31만1000명 증가해 지난해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다. 300 이상 기업이 직접 고용하는 ‘소속 근로자’ 숫자도 전년 대비 26만 1000명이 늘었다.
7일 고용노동부는 상시 근로자 300인 이상 기업 3887개 사의 고용현황 결과를 발표했다. 공시율은 99.9%에 달했다.
고용 형태 공시는 300인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2014년부터 시행돼 왔으며, 공시의무 사업주가 직접 고용한 근로자뿐만 아니라, 다른 사업주가 고용한 근로자이지만 공시의무 사업주가 해당 사업체(법인)에서 사용하는 '소속 외 근로자'(파견, 하도급, 용역)도 공시 대상이다.
공시기업(300인 이상 기업)은 대부분의 업종에서 늘어났으며, 특히 보건복지(+50개소), 건설업(+33개)에서 크게 증가해 전년 대비 200개 이상 증가했다. 이 중 1000인 이상 기업은 70개 증가한 총 956개(24.6%)였고, 1000인 미만 기업은 전년 대비 130개 증가한 총 2931개(75.4%)로 나타났다. 1000인 이상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0.6% 포인트 늘었다.
전체 557만7000명의 근로자 중 공시된 기업에 직접 고용된 ‘소속 근로자’는 456만6000명(81.9%)으로 전년 대비 26만 1000명이 증가했다. 소속 근로자 숫자의 비중은 지난해 81.7%에서 81.9%로 0.2% 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소속 외 근로자(파견·도급 등)’는 101만1000명으로 전년 대비 5만명 증가했지만, 비중은 18.1%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소속 외 근로자의 비중은 기업 규모가 클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모습을 보였다.
‘소속 외 근로자’ 비중이 가장 높은 업종은 '예술·스포츠·여가 서비스(58.0%)'였고, 그다음을 ‘건설업’이 차지했다. 건설업에서는 48.3%가 소속 외 근로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중 소속 외 근로자 비중이 가장 높은 조선업(19.4%)이었다. 공시 기업 전체의 ‘소속 외 근로자’들이 맡은 주요 업무는 청소, 경호, 행정사무, 운송 순으로 나타났다.
소속 근로자 중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정규직·무기계약직)는 339만4000명으로 74.3%로 조사됐다. 기간제 근로자는 117만2000명으로 25.7%를 차지했다. 기간제 근로자는 전년 대비 11만6000명 증가했으며, 그 비중도 1.2%포인트 늘었다. 고용부는 이에 대해 "저출생·고령화에 따라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높은 보건복지업 근로자가 지속해서 증가한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근로시간별로 분석해 본 결과 소속 근로자 중 전일제는 425만4000명(93.2%), 단시간 근로자는 31만2000명(6.8%)으로 나타났다. 단시간 근로자는 전년 대비 소폭 증가(+1만8000명)했으나, 비중은 전년과 동일했다.
특히 기간제 근로자의 비중은 여성이 더 높았고 단시간 근로자의 비중은 여성이 남성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여성들이 기간제·단시간 업무에 종사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1000인 이상 기업은 전체 기업에 비해 더 낮은 기간제 비중과 더 높은 소속 외 근로자 비중을 보였다.
이정식 장관은 “원하청 상생협력 등을 통해 격차 완화 등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과 약자 보호를 위한 지속 가능한 민간 일자리 창출 여건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예약자 1만명 어디 갔나…잘 안 팔리는 EV9, 왜?
- "30년 반도체 기술 외국에 넘길 뻔"…어느 퇴직자의 고백
- "또 완판?"…429만원 한정판 '갤Z폴드5' 톰브라운 공개 [영상]
- 여행객들 인증샷 열풍…中서 542만잔 팔린 음료 정체
- "아이폰13 충분한데"…아이폰프로 4년만에 1000달러 넘나
- '면허 취소' 이근, 차 끌고 경찰서 갔다가 입건 '대담한 행각'
- 조민 유튜브 해킹 당했다…"영상 사라질까봐 무서워"
- 김히어라, 해명에도 후폭풍ing…추가 의혹도
- 해외연수에 술 40병 적발…공항 억류된 시의원들
- 한식 조롱하던 백인들도 줄섰다…미국서 '김밥 품절 대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