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씨앗' 웹소설, 587만 명이 본다…산업 규모 1조 원 넘겨

김정인 기자 2023. 9. 7. 10: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웹소설이 웹툰, 드라마, 영화 원작으로 자주 쓰이며 '지적재산(IP) 씨앗'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전체 산업 규모가 1조 원을 넘겼다는 정부의 첫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웹소설 창작자의 한 해 총수입은 평균 3천487만 원으로, 이 가운데 웹소설 연재로 벌어들이는 돈은 전체 수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플랫폼과 콘텐츠제작사, 전자책 출판사 등 공급자의 평균 매출액은 9억 9천100만 원이며, 이 가운데 웹소설 관련 매출은 6억 1천100만 원이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웹소설이 웹툰, 드라마, 영화 원작으로 자주 쓰이며 '지적재산(IP) 씨앗'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전체 산업 규모가 1조 원을 넘겼다는 정부의 첫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과 함께 '2022 웹소설 산업 현황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웹소설 시장 규모는 약 1조 390억 원으로 추산됩니다.

이는 네이버, 카카오페이지, 리디 등 11개 웹소설 플랫폼 매출을 기준으로 추정한 건데 단기간에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2020년까지만 해도 전체 시장 규모가 6천4백억 원으로 추정됐는데 약 2년 만에 62% 늘었기 때문입니다.

앞서 2013년 전체 시장이 100억∼200억 원 규모로 추산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10년 남짓한 기간 동안 최대 100배가량 성장한 셈입니다.

국내 웹소설 이용자 수는 587만 명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모바일 웹소설 애플리케이션 21곳의 이용자 수를 집계한 뒤 점유율을 고려해 추산한 것입니다.

웹소설을 적어도 한 달에 한 번 이상 본 이용자 599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최근 1년간 매일 이용했다는 응답이 34.5%로 가장 많았고, 일주일에 3∼4번이 31.3%, 일주일에 1∼2번이 20.9%로 뒤를 이었습니다.

웹소설 이용 시간을 보면 하루 평균 30분 이상에서 1시간 미만 이용한다는 응답이 주중 기준으로는 35.6%, 주말에는 28.6%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들은 평균 8.3개의 작품을 즐겨보고 있으며 이 가운데 완결작은 4.3개, 연재 중인 작품은 4.1개로 조사됐습니다.

이용자 가운데 77.8%는 유료 결제 경험이 있으며, 1회 평균 결제액은 1만 4천476원입니다.


웹소설 창작자의 한 해 총수입은 평균 3천487만 원으로, 이 가운데 웹소설 연재로 벌어들이는 돈은 전체 수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작품 한 편당 평균 원고료는 10만∼100만 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27.8%로 가장 많았고, 100만∼300만 원이 19.8%, 10만 원 미만이 14.8%입니다.

작업 시간은 하루 5.5시간씩, 일주일에 4.3일을 할애 중이며 창작자의 75.0%가 모든 과정을 단독으로 진행한다고 답했습니다.

웹소설 완성 기간과 창작 활동 비용을 고려할 때 작품당 원고료가 상당히 낮은 편으로 나타났고, 웹소설 작가 가운데 상당수가 이른바 '투잡' 형태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기타 수입원을 묻는 말에 다른 회사에 다니거나 프리랜서로 일해 수입을 충당한다는 응답이 53.5%, 일용직과 파트타임 근로자까지 포함하면 64.2%에 달했습니다.

불공정행위 사례와 표준계약서 관련 조사 결과에서는 창작자의 30.8%가 계약서 내용을 세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고충을 털어놨습니다.

또 웹소설 관련 거래에서 55.0%가 불공정을 경험했다고 답했고 웹소설 분야 별도 표준계약서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83.8%로 높았습니다.

플랫폼과 콘텐츠제작사, 전자책 출판사 등 공급자의 평균 매출액은 9억 9천100만 원이며, 이 가운데 웹소설 관련 매출은 6억 1천100만 원이었습니다.

사업체에 소속된 작가 수는 평균 16.4명, 이 가운데 독점 작가는 평균 3.7명입니다.

이들 기업은 2021년 기준 신규 웹소설 28.7개를 등록했으며, 판매 수익의 37.9%는 작가, 34.3%는 플랫폼, 27.8%는 CP·에이전시가 나눠 갖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와 작가, 기업이 모두 참여하는 민관합동 웹소설 상생협의체가 내일 출범합니다.

이 협의체에서는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웹소설 표준계약서 내용을 깊이 있게 논의하고 불법유통 근절과 고유 식별체계 도입 등 현안을 논의합니다.

(사진='2022 웹소설 산업 현황 실태조사' 보고서 발췌, 연합뉴스)

김정인 기자 europ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