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성보다 안정…부산 공기관 임원에 줄줄이 퇴직 공무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산시 산하 공공기관의 주요 임원 자리를 시 퇴직 공무원이 잇따라 채우면서 박형준 시장의 공공기관장 임명 기준이 바뀌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 시장은 취임 초 부산도시공사 사장에 자신의 측근이 지원했다가 비판 여론에 떠밀려 철회한 일을 겪으면서 공공기관장의 전문성을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평판 무난한 공무원 쪽으로 선회
- 市와 원활한 소통 위함도 한 몫
- 조직 역할 확대 한계 등 우려도
‘전문성 보다는 무난한 게 낫다?’
부산시 산하 공공기관의 주요 임원 자리를 시 퇴직 공무원이 잇따라 채우면서 박형준 시장의 공공기관장 임명 기준이 바뀌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취임 초에는 공공기관장의 전문성을 강조했으나 갑질과 먹튀 등 논란이 이어지자 평판이나 능력 면에서 무난한 공무원 쪽으로 선회했다는 지적이다.
6일 국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부산시설공단 상임감사에 백운현 전 부산시 정무특보가 임명됐다. 백 전 특보는 행정고시 출신으로 시 기획관 행정관리국장 기획관리실장 등을 역임했으며, 2012~2014년에는 시 정무특보로 일했다. 부산진구청장 예비후보로 등록한 이력도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신발피혁연구원장을 맡았다.
시설공단 감사는 함께 뽑은 이사장 못지않게 관심을 모은 요직이다. 시설공단은 부산지방공단 스포원을 흡수·통합하면서 조직 규모가 커지자 감사직을 신설했으며, 공모 접수 결과 이사장보다 많은 인원이 서류를 넣은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시설공단 출신을 비롯해 언론인 기업인 정치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도전장을 던졌으나 공무원 출신인 백 전 특보가 자리를 꿰찼다.
이에 앞서 부산의 대표 공기업인 부산교통공사의 신임 사장에도 이병진 전 행정부시장이 내정됐다. 이 전 부시장은 지방고시 1기로 공직에 입문해 예산담당관 대변인 기획조정실장 등 주요 보직을 역임했으며, 2021년 1월부터 행정부시장직을 수행하다가 지난 1월 퇴직했다. 아직 부산시의회의 인사청문회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최종 임명될 경우 공직을 떠난 지 불과 8개월 만에 다시 ‘친정’으로 돌아오게 된다. 지난달에는 유규원 전 시 관광마이스국장이 부산사회서비스원장에 임명됐다. 부산복지개발원의 업무를 이관받아 새롭게 출범한 부산사회서비스원은 신임 대표를 누가 맡을지 관심이 높았으나 사회복지 분야와 큰 연관성이 없는 유 전 국장이 임명돼 업계가 반발하기도 했다.
이처럼 시 산하 공공기관의 주요 자리를 퇴직 공무원이 맡는 것을 두고 박 시장의 인사 기준이 변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박 시장은 취임 초 부산도시공사 사장에 자신의 측근이 지원했다가 비판 여론에 떠밀려 철회한 일을 겪으면서 공공기관장의 전문성을 강조했다. 이에 시의회의 부정적인 입장에도 철도 전문가인 한문희 전 교통공사 사장과 도시개발 경력이 풍부한 김용학 부산도시공사 사장을 임명했다. 하지만 한 전 사장이 코레일 사장 지원을 위해 임기 도중 사퇴하면서 ‘먹튀’ 논란이 일었고, 정부기관의 기관장을 지낸 시설공단 전 이사장이 갑질 논란에 휩싸이면서 조직을 무난하게 이끄는 퇴직 공무원 낙점으로 기류가 변했다. 특히 박 시장이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에 올인하고 있는 만큼 시와 소통이 원활한 공무원 출신을 선택했다는 분석도 있다.
반응은 엇갈린다. 일각에서는 조직 안정과 시와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공무원 출신이 도움이 된다는 반면, 퇴직 고위 공무원이 산하 공공기관까지 모두 장악하면 조직의 전문성과 역할 확대 등에 한계가 있다는 비판적 시각도 많다.
시 관계자는 “각 기관마다 현안이 산적해 시와 소통하며 조직을 안정화하는 게 필요하다는 측면이 고려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