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섭 “육사 정신적 뿌리, 국방경비사관학교”···신흥무관학교 부정

조문희·탁지영 기자 2023. 9. 6. 19:0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6일 국회 본회의 외교 통일 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의원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6일 “(육군사관학교의 정신적 뿌리는) 국방경비사관학교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금 육사의 정신적 뿌리는 신흥무관학교인가, 아니면 국방경비사관학교인가”라고 묻자 이같이 답했다. 전임 문재인 정부가 육사의 정신적 뿌리를 신흥무관학교로 본 것과 결이 다른 입장이다.

이 장관은 안 의원이 “우리는 헌법을 계승하고 있는데, 광복군과 신흥무관학교를 부정하는 것이야말로 반헌법적, 반국가적 발상이 아닌가”라고 재차 묻자 “지금 육사에 한정해서 말씀하신 것이지 않나”라고 맞받았다. 이 장관은 “광복군과 독립군이 우리 국군의 뿌리임에 동의하느냐”는 안 의원 질의에는 “그렇다. 국군의 정신적 뿌리 또는 정신적 토대라고 표현한다”고 했다.

안 의원은 이 장관을 향해 “대한민국에 사는데 어떻게 육사만 보고 이야기하나. 전체를 보고 이야기해야지”라며 “(육사에 있는) 흉상 5인에 대해서 홍범도 장군을 빼놓고 나머지 4인은 신흥무관학교 출신이기 때문에 그런 알레르기적 반응을 보이는 게 아닌가. 1948년도를 (대한민국) 건국일로 보는 시점이 바로 그런 시각이라서 우려가 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장관은 “그렇지 않다”며 “순수하게 육사의 정체성, 생도교육 차원에서 이해해주면 좋겠다”고 했다.

이 장관은 홍범도 장군의 흉상 이전 결정과 관련해서는 “그렇다 해서(이전한다고 해서) 저희 국방부나 육사가 독립운동이나 여기에 대한 업적에 대해 인정하지 않는다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안 의원이 “홍범도 장군이 북한을 이롭게 한 적이 있나”라고 재차 묻자 이 장관은 “북한하고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결국은 6·25 전쟁, 김일성의 6·25 전쟁을 사주한 것이 스탈린 공산당이라고 본다”며 “(홍 장군은) 스탈린이 집권한 이후 공산당 입당을 한 것”이라고 답했다.

이 장관은 ‘육사 내 홍범도 흉상 철거 주도자가 국정교과서를 집필한 뉴라이트 나종남 육사 군사사학과 교수로 확인됐다’는 경향신문 보도와 관련해서는 “나 교수 개인 성향에 따라서 결정된 것이 아니다”라며 “개인의 성향도 언론에 나온 것처럼 편향된 시각을 가진 교수는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언론에서 뉴라이트가 언급되고 (뉴라이트에) 소속된 것으로 나오지만 그것도 사실이 아니다”라고 했다.

국방부는 입장문을 내고 “오늘 대정부질의간 국방부 장관이 ‘육사의 정신적 뿌리가 신흥무관학교인지, 국방경비사관학교인지’라는 의원의 질의에 대해 ‘국방경비대사관학교로 답변한 것은 1946년 태릉에서 개교한 국방경비대사관학교가 1948년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의 전신이라는 의미로 답변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 “육군사관학교는 1945년 설립된 군사영어학교를 모체로 국방경비대사관학교, 조선경비대사관학교를 거쳐 1948년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로 정식 출범했다”면서 “1948년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개교 이전에 대한제국육군무관학교, 신흥무관학교, 임시육군무관학교 등 육사의 연원이 된 다수의 무관학교들이 있었다”고 했다.


☞ [단독]육사 홍범도 흉상 철거 주도자, 국정교과서 집필 ‘뉴라이트’ 나종남 교수였다
     https://www.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309051738001

조문희 기자 moony@kyunghyang.com, 탁지영 기자 g0g0@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