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지리가 확보한 르노코리아 지분 34%...알고보니 ‘기술사용료’

이재덕 기자 2023. 9. 6. 18:4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르노코리아가 볼보의 CMA 플랫폼을 활용해 내년에 출시할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티저이미지. 르노코리아 제공.

르노코리아가 지난해 중국 지리그룹에 2640억원을 내고 신차 제작을 위한 기술사용권을 매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르노코리아가 지난해 지리에게 넘긴 지분 34%(2640억원)가 사실상 기술사용권 대금이었던 셈이다. 결국 르노그룹이 르노코리아에 대한 적극적 투자 대신, 지분을 중국에 팔아 필요한 기술을 사온 모양새여서 논란이 예상된다.

6일 르노코리아의 2022년 감사보고서를 보면, 르노코리아는 지난해 저장지룬오토모빌과 저장리안콩테크놀로지에 각 1320억원씩 총 2640억원을 지불하고 신규 자동차 개발과 관련된 기술사용권을 취득했다. 저장지룬오토모비과 저장리안콩테크놀로지는 지리그룹 계열사로 지리와 볼보, 폴스타 등 지리그룹 내 자동차 브랜드의 기술 특허 등을 관리하는 곳이다.

르노코리아가 2640억원을 주고 구입한 기술은 볼보의 중·소형 전기차 플랫폼(CMA) 관련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르노코리아는 지난해 5월 “지리오토모빌홀딩스가 자사의 지분 34.02%를 인수해 2대 주주가 됐다”며 지리그룹과 협력모델(오로라 프로젝트)을 개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지리오토모빌홀딩스가 지분 인수를 위해 투자한 금액이 정확히 2640억원이다. 지리그룹이 CMA 플랫폼 기술 사용권리를 르노그룹에 제공하는 대가로 결국은 별도로 한푼도 들이지 않고 르노코리아 2대 주주에 오른 셈이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지리가 사실상 기술 제공만으로 르노코리아 지분을 34%나 사들였다는 건 상당히 의외”라며 “전기차 기술이 약한 르노가 기술 확보에 굉장히 절실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CMA 기술사용권을 얻기 위해 지리그룹에 지급한 2640억원이 적정한 가격이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는 르노코리아가 2020~22년 3년간 플랫폼 사용료 등 로열티 개념으로 르노와 닛산에 지급한 2568억원을 넘어서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이런 논란에 대해 르노코리아 관계자는 “기술사용권은 지리그룹에 지분을 팔아 구매한 게 아니라, 유보금을 이용해 구매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르노·닛산이 제공하지 못하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보니 볼보의 CMA 플랫폼을 이용하기로 하고 로열티를 매년 지급하는 방식이 아닌, 사용권을 한번에 구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르노그룹이 한국에 투자는 인색한 채 르노코리아의 자산을 팔아 사업하는 데 관심을 보인다는 지적도 나온다. 올해 국내 완성차 5개 업체 중 르노코리아는 유일하게 신차를 출시하지 않았다. 르노코리아의 연구개발(R&D) 거점인 경기 용인의 기흥연구소 부지도 매각 절차가 진행 중으로, 기능 일부는 부산 공장으로 이전된다.

르노코리아의 연구개발비는 2019년 2141억원에서 2020년 1582억원, 2021년 1116억원, 지난해 1079억원으로 계속 줄어들었다. 업계 관계자는 “요즘은 서울로 모신다고 해도 연구원들이 갈까 말까인데 부산으로 이전하면 누가 가려 하겠냐”고 말했다.

한편, 르노코리아는 이달 QM6 판매가격을 최대 200만원 내린 데 이어, 이날 QM6 LPG 모델에도 최대 390만원 할인혜택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 싼타페(완전변경모델), 기아 쏘렌토(부분변경모델) 등 신차와 경쟁할 수 있는 모델이 없다 보니 가격을 낮춘 것으로 풀이된다.

이재덕 기자 du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