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년간 오색 영롱 빛 간직한 ‘고려 나전상자’…일본서 환수 후 첫 공개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robgud@mk.co.kr) 2023. 9. 6. 16: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고려 나전은 3점뿐
환수 나전 13세기 작품 추정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환수 언론공개회’에서 공개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사진 = 문화재청]
고려시대의 뛰어난 공예 수준을 보여주는 유물이자 그동안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던 귀한 나전칠기가 돌아왔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6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올해 7월 일본에서 환수한 고려 나전칠기인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를 공개했다.

나전칠기는 무늬가 아름다운 전복이나 조개, 소라 껍데기를 갈아 얇게 가공한 자개로 문양을 만들어 붙여 장식하고, 칠을 한 공예품을 뜻한다.

고려의 나전칠기는 청자, 불화와 함께 고려 미술의 정수이자 최고 공예품으로 꼽힌다. 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유물은 전 세계에 20건도 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에 돌아온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13세기 중반에서 후반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추정된다.

유물은 가로 33.0㎝, 세로 18.5cm, 높이 19.4cm 크기의 상자 형태로, 뚜껑과 몸체에는 약 770개의 국화넝쿨무늬 자개가 감싸고 있다. 뚜껑 윗면 테두리의 좁은 면에는 약 30개의 모란넝쿨무늬를 장식해 화려함을 더했다.

바깥쪽에는 점이나 작은 원을 구슬을 꿰맨 듯 연결한 연주(連珠) 무늬 약 1670개가 촘촘히 둘러싸고 있다. 상자에 사용된 자개만 해도 약 4만5000개에 달한다.

각 문양을 표현한 방법은 ‘공예 기술의 집약체’라 불리는 나전칠기 중에서도 최고 수준으로 평가된다.

뚜껑 윗면의 세부 모습. 안쪽부터 국화넝쿨무늬, 연주무늬, 모란넝쿨무늬 등이 확인된다. [사진 = 문화재청]
국화꽃무늬를 감싼 넝쿨줄기는 C자 형태의 금속선으로 정교하게 표현했다. 국화꽃무늬는 중심원의 지름이 약 1.7㎜, 꽃잎 하나의 크기가 약 2.5㎜일 정도로 매우 작은데 꽃잎 하나하나에도 음각으로 선을 새겼다.

약 800년의 세월이 흘렀으나, 유물의 상태는 좋은 편이라고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측은 설명했다.

이번 공개로 화려한 자태가 뽐낼 수 있게 됐지만, 환수 과정은 쉽지 않았다. 문화재청과 재단은 약 1년간의 노력 끝에 유물을 환수할 수 있었다.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일본의 한 개인 소장가 창고에서 100년 이상 보관해 왔다. 그러다 3년 전 이를 사들인 고미술 관계자가 지난해 재단 측에 연락하면서 존재가 드러났다.

재단은 여러 차례 조사와 협상을 거쳐 복권기금을 활용해 유물을 살 수 있었다.

문화재청과 재단은 유물을 매입하기 전 국내에 들여와 지난 5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X선 촬영 등 유물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목재에 직물을 입히고 칠을 하는 우리 전통의 칠기 제작기법이 쓰인 점을 확인했다.

130년이란 시간을 고려하면 소장가는 1890년을 전후해 유물을 취득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소장가 집안이 언제, 어떻게 고려 나전칠기를 갖게 되었는지는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았다.

조사 과정에선 상자 윗면 모서리 등 일부를 복원했다는 점도 밝혀졌는데, 용도를 변경하려는 목적에서 부분적으로 손본 뒤 그 상태를 유지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견해다.

문화재청은 혹시 새로 만든 유물이거나 보존·수리 과정을 많이 거친 유물일 수 있다는 생각에 두 달 정도 낱낱이 분석했다. 유물을 사기 전에 이렇게 조사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유물은 앞으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보관하며 정밀히 조사한 뒤 활용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