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맞먹는 고통' 대상포진 무서워…'60만원 백신' 맞으러 우르르
[편집자주] 한번 걸리면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대상포진은 요즘 같은 환절기를 잘 노린다. 큰 일교차에 면역력이 떨어지기 쉬운 틈을 타 침입하기 좋아서다. 최근 백신 수요가 높아진 배경이다. 다행히 지난해 12월 항체 생성률이 높은 백신 1종이 추가 승인되고 제약업계에서 대상포진 후 신경통 치료제 개발에도 속도를 내면서 대상포진 예방·치료법이 진화하고 있다. 문제는 대상포진 백신 접종 비용이 최고 60만원에 이를 만큼 비싸졌다는 것. 그런데도 병·의원에선 '남는 게 없다'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몸값 높아진 대상포진 백신의 무료 적용 가능성과 대상포진 후 신경통 치료제 개발 현황, 예방법 등을 짚어본다.
6일 의약품 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대상포진 백신 접종횟수는 40만5163도즈(1회 접종분)로 전년 동기 20만312도즈 대비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상반기 접종횟수인 37만5800도즈보다도 많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대상포진 백신인 스카이조스터(제조·판매 SK바이오사이언스)와 '싱그릭스'(제조 GSK, 판매 GC녹십자·광동제약), '조스타박스'(제조 MSD, 판매 HK이노엔)의 접종횟수를 더한 수치다.
분기별 대상포진 백신 접종량을 보면 2019년 2분기 18만7227도즈에서 4분기 26만7783도즈까지 증가했지만 코로나19 발생 직후인 2020년 1분기 11만7831도즈로 급감했다. 이후 2021년 3분기 8만4480도즈까지 줄었다가 올해 들어 1분기 20만8186도즈, 2분기 19만6977도즈로 증가했다.
제약업계에선 코로나19가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에 가까워지면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등으로 감소했던 대상포진 백신 접종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GSK가 배우 마동석을 기용해 '당신도 대상포진 대상자'라고 광고하는 등의 영향으로 백신 접종 인지도가 늘고 대상포진 환자수가 많아진 점도 수요 증가 요인이 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7년 71만1442명이었던 대상포진 환자수는 2019년 74만4516명, 2021년 72만5831명으로 늘었다.
일부 지자체들이 65세 이상 노인들에 무료로 대상포진 백신을 접종시켜주는 사업을 하는 점도 원인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잠잠해진 올해부터 대상포진 백신 수요가 늘면서 공급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지자체에 공급하기로 한 물량은 병의원 도매상의 물량을 바탕으로 전체 공급량을 추산하는 아이큐비아 통계에 잡히지 않아 실제 대상포진 접종량은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매출 기준 올 상반기 대상포진 백신 시장이 약 45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3% 증가했다. 시장 확대에 따라 제약사 간 경쟁도 치열해졌다. 지난해 12월 국내에 출시된 싱그릭스는 50만~60만원(행사 시 40만원대)에 달하는 가격에도 5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항체생성률이 97.2%에 이른다는 점이 장점으로 작용해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다. 매출 기준 올해 2분기 점유율이 47.2%(매출 111억원)로 1위에 올랐다. 올해 1분기까지만 해도 매출 점유율 1위는 43.4%(매출 95억원)인 스카이조스터였다.
접종량 기준 2분기 점유율은 스카이조스터(39.3%, 7만7314도즈)가 여전히 1위다. 이어 싱그릭스(31.1%, 6만1270도즈), 조스타박스(29.6%, 5만8393도즈) 순이다. 통계에 잘 잡히지 않는 지자체 대상포진 백신 접종 물량을 감안하면 스카이조스터와 조스타박스 접종량은 더 많을 수 있다. 스카이조스터와 조스타박스는 50세 이상 항체생성률이 60~70%가량으로 비교적 낮아 가격도 각각 15만원 내외, 17만원 내외로 싱그릭스보다 저렴하다. 2회 접종해야 하는 싱그릭스와 달리 1회만 접종해도 되고 접종 후 통증이 덜해 지자체에서 주로 이 두 개의 백신을 사용하고 있다.
올 하반기에도 대상포진 백신 수요 증가세는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대상포진 백신 접종 인식이 확산하고 있고, 통상 백신 접종이 가장 활발한 시기가 면역력이 떨어지는 7~9월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대상포진 백신 시장 규모도 2021년 27억8000만달러(약 3조6800억원)에서 2028년 63억5000만달러(약 8조4000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미주 기자 beyond@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환자 가고 비밀스레…'꽈추형' 홍성우 "운동선수·연예인 수술 많이해" - 머니투데이
- "명절에 상간남과 해외여행 간 아내"…더 큰 반전 있었다 - 머니투데이
- "대변 묻어도 물 안 내리고 샤워는 3분…이 남자랑 결혼해도 될까요?" - 머니투데이
- "강호동, 여배우 가슴 터뜨렸다?"…신동엽이 언급한 루머 뭐길래 - 머니투데이
- 김치·찌개에 꼬불꼬불한 털…"시母 밥상 비위 상해" 며느리 넋두리 - 머니투데이
- 김호중은 실형 받았는데…박상민, 3번째 음주운전에도 '집행유예' - 머니투데이
- "이젠 머스크가 백악관 실세"…광고주들 X로 복귀 준비 - 머니투데이
- "18살 첫 출산→아이 셋 아빠 다 달라"…11살 딸, 막내 육아 '충격' - 머니투데이
- '이혼 소송 중 열애' 괜찮아?…변호사 "황정음 따라하면 큰일나" - 머니투데이
- 한동훈이 외친 '특별감찰관 추천', 표결 없이 합의?…친윤계 반발 변수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