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수백년 만에 돌아오는 ‘이것’…“전세계 단 20점뿐”
1년 노력 끝에 일본에서 환수
4만5000개 자개로 무늬 장식
고려시대 미술의 정수로 꼽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관리 예정
고려시대의 뛰어난 공예 수준을 보여주는 유물이자 그동안 존재가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귀한 나전칠기가 고국에 돌아왔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인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를 지난 7월 일본에서 환수했다고 6일 밝혔다.
나전칠기는 무늬가 아름다운 전복이나 조개, 소라 껍데기를 갈아 얇게 가공한 자개로 무늬를 장식하고, 칠을 한 공예품으로 ‘공예 기술의 집약체’로 통한다. 특히 공예 고려 나전칠기는 청자, 불화와 함께 고려 미술의 정수로 꼽히지만, 현재 전 세계에 남은 유물이 20점에 불과할 정도로 희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13세기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번 유물은 가로 33㎝, 세로 18.5cm, 높이 19.4cm 크기의 상자 형태로 고려 나전의 특징적 문양인 국화넝쿨과 모란넝쿨 무늬가 골고루 들어있다. 뚜껑과 몸체에는 약 770개의 국화넝쿨무늬 자개가 감싸고, 뚜껑 윗면 테두리 좁은 면에는 약 30개의 모란넝쿨무늬가 화려한 예술미를 보여준다. 바깥쪽에는 점이나 작은 원을 구슬을 꿰맨 듯 연결한 연주(連珠)무늬 약 1670개가 촘촘히 둘러쌌다. 상자에 사용된 자개만 약 4만5000개에 달한다.
각 문양을 표현한 방법은 ‘공예 기술의 집약체’라 불리는 나전칠기 중에서도 최고 수준으로 평가된다. 국화꽃무늬를 감싼 넝쿨줄기는 C자 형태 금속선으로 정교하게 표현했다. 국화꽃무늬 중심원은 지름이 약 1.7㎜, 꽃잎 크기가 약 2.5㎜로 작은데 꽃잎 하나하나에도 음각선이 새겨질 정도로 정교하다.
무엇보다 약 800년의 세월을 거슬러 국내 소장된 다른 고려나전보다도 뛰어난 보존 상태가 돋보인다.
문화재청과 재단은 약 1년간의 노력 끝에 유물을 환수할 수 있었다. 일본의 한 개인 소장가 창고에서 100년 이상 보관해 왔는데, 3년 전 이를 사들인 고미술 관계자가 지난해 재단 측에 연락하며 그 존재가 드러났다. 재단은 여러 차례 조사와 협상을 거쳐 복권기금으로 구입했다.
문화재청과 재단은 유물을 매입하기 전 국내에 들여와 지난 5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X선 촬영 등 재료와 기법의 과학적 조사를 거쳐 목재에 직물을 입히고 칠한 목심저피칠기(木心苧被漆器)로 우리 전통의 칠기 제작기법을 확인했다. 이 유물은 앞으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보관·관리하며 정밀 조사할 예정이다.
고려나전은 여러 문헌으로 당대 최고 예술품으로 인기가 높았다. 12세기 고려 사신으로 왔던 송나라의 서긍(徐兢)은 ‘고려도경(高麗圖經)’에서 “나전 솜씨가 세밀하여 가히 귀하다(螺鈿之工 細密可貴)”고 밝혔고, ‘고려사(高麗史)’에도 이미 11세기에 고려 조정이 송(宋)과 요(遼) 등 외국에 보내는 선물 품목에 나전칠기가 있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서민 피눈물 나게 한 430억 전세사기범 “풀어달라”…이유 들어보니 - 매일경제
- 중국산 깐양파, 냉동 부대전골 회수…“이 제품 먹지 마세요” - 매일경제
- “나와 맞는 상사랑 일할래요”…MZ세대 90% ‘상사선택제’ 원해 - 매일경제
- “삼성전자 없었으면 어쩔 뻔”…경제공헌도 2위~5위 더한 것보다 커 - 매일경제
- ‘2천만원’으로 서울 내 집 마련?…소액 계약금에 중도금 무이자 도입 사업장 눈길 - 매일경제
- 한창 뛰어놀 나이인데 어두운 표정…‘백두혈통’ 김주애 지쳤나 - 매일경제
- [단독] 780조 운용 ‘빈살만 금고지기’ 한국온다…이 회사 사장 만난다는데 - 매일경제
- “주소지 옮기면 150만원 드려요”…지방소멸 위기 얼마나 심각 하길래 - 매일경제
- “진짜 단식 맞나” 의구심 커지자…이재명 “보온병 물 마셔봐라” - 매일경제
- 오타니 에이전트 “수술 불가피...이도류 포기 않을 것”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