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8명 “코인 거래는 도박” [심층기획-가상자산 ‘가려진 진실’]

안승진 2023. 9. 6. 06:0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회) 대국민 가상자산 인식조사 <끝>
실물과 달리 실체 없는 점 꼽아
블록체인 기술 이해 5.9% 그쳐
국내 투자자 대부분 ‘크립토 윈터’ 쓴맛… 5명 중 1명만 수익
손해 본 65%가 원금의 절반 이상 잃어
공직자 가상자산 투자 “부적절” 우세
국민 76% “가상자산도 세금부과 필요”
“2024년 비트코인 상승” 21% “하락” 16%
가상자산 거래에 대해 국민 10명 중 8명은 투자보다 도박에 가깝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적인 측면이나 발전 가능성을 고려해 투자하기보다 널뛰는 변동성에 의지해 단기간 고수익을 노린 투자자들이 많다는 것이다. 가상자산 투자를 통해 수익을 올렸다는 이들은 20%에 불과했다.

5일 세계일보가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 퍼블릭에 의뢰해 지난달 3~8일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가상자산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를 진행해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79.5%가 가상자산 거래가 투자보다 도박에 가깝다고 답했다. 도박에 가깝다고 답한 이들의 절반(53.2%)은 실물 화폐와 달리 가상자산의 실체가 없다는 점을 그 이유로 꼽았다. 21.8%는 “발행사의 일방적인 사업종료(먹튀, 러그풀)가 우려되기 때문”이라고 답했고, ‘시세조종 우려’(15.6%), ‘금융당국의 약한 규제’(5.0%), ‘해킹 위험’(1.6%) 등이 뒤를 이었다.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가상자산 거래에 나선 경우도 많았다. 가상자산 거래 경험이 있는 370명 중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답한 이들은 5.9%에 불과했다. “어느 정도 알고 있다”(52.4%)를 합하면 10명 중 6명가량(58.4%)만 블록체인 기술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투자했던 것이다. 반면 블록체인 기술을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가상자산을 거래했다는 응답자는 41.6%였다. “블록체인 기술을 모르는 편”이라는 응답이 38.4%, “전혀 모른다”는 답변이 3.2%였다.
가상자산 거래 경험은 성별로는 남자(45.7%)가 여자(30.3%)보다 많았고, 연령별로는 30대(50%)와 19세∼20대(45.7%)의 투자 비율이 높았다. 연령과 성별을 조합해 보면 거래 경험은 30대 남성(62.5%)과 19세~20대 남성(57.0%)에서 높게 나타났다. 한국 사회 ‘2030세대’ 남자들은 절반 이상이 가상자산 거래를 했던 셈이다.

가상자산 거래 경험이 있다고 한 응답자 다수는 그 이유로 “단기수익(단타)을 위해서”(40.5%)라고 답했다.

단순히 호기심과 재미로 가상자산에 뛰어든 이는 22.2%였고, 미래에도 가치가 있을 것 같아 가상자산을 거래한 이는 20.3%를 차지했다. 13.5%는 인생역전 기회를 기대하며 가상자산 투자에 뛰어들었다고 했다.

투자의 끝은 대개 쓴맛이었다. 가상자산 투자를 통해 수익을 올렸다는 이는 21.6%에 불과했고 51.1%는 “손해를 봤다”고 답했다. 나머지(27.3%)는 “원금을 유지하고 뺐다”고 했다. 손해를 본 이들 중 64.5%는 원금의 50% 이상 손실을 봤다. 반면 수익을 올린 이들 중 55.1%는 수익 규모가 원금의 2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이어지고 있는 ‘크립토 윈터’(Crypto Winter·가상자산 시장 가격 하락 현상)가 국내 투자자 손실로도 이어진 셈이다.
◆국민이 바라본 가상자산 이슈

올해 가장 뜨거웠던 국내 가상자산 이슈는 무소속 김남국 의원의 60억원대 가상자산 보유 논란이었다. 공직자 가상자산 투자에 대한 의견도 물어보았는데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지만, ‘상관없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았다. 응답자 중 56.8%는 공직자 가상자산 투자에 “부적절하다”고 답했고, 43.2%는 “상관없다”였다. 응답자 중 46.5%는 공직자가 가상자산 투자를 했을 때 이해할 수 있는 금액의 범위에 대해 “투자금액은 상관없다”고 답했다. 이어 1000만~5000만원 미만 19.9%, 1000만원 미만 17.4%, 5000만~1억원 미만 10.6% 순이었다.

국민 대다수는 가상자산도 주식, 채권 등 전통 금융시장과 비슷한 수준의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42.2%가 “규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고 50.9%는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답했다. 가상자산의 규제가 불필요하다고 생각한 이는 6.9%에 불과했다. 국민 75.7%는 “가상자산에도 세금부과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 세계 수조원대 가상자산 투자 피해를 초래한 테라폼랩스 권도형 대표의 처벌 국가에 대해서는 국내에서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는 답변(50.5%)이 많았다. 해외에서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는 답변은 13.9%였다. 어디서든 상관없다, 잘 모르겠다는 답변은 각각 27.4%, 8.2%로 집계됐다.

내년 비트코인 시세에 대한 전망은 엇갈렸다. 현상유지를 예상한 이들이 26.7%로 가장 많았고, 21.3%는 상승을 점쳤다. 하락을 전망한 이들은 16.3%를 차지했고, 나머지 35.7%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상승을 점친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내년 4월에 예정된 비트코인의 반감기(채굴량 절반으로 감소·25.4%)를 가장 많이 꼽았다. 22.1%는 가상자산의 사용처 확대를, 20.7%는 글로벌 금리 인하를 각각 상승 이유로 들었다.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심리, 가상자산 규제 기대감으로 상승을 전망한 이들도 각각 18.3%, 12.2%를 차지했다.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안승진 기자 prod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