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이르면 내주 방러…우크라戰 ‘무기 빅딜’ 조율 전망

이선정 기자 2023. 9. 6.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이 이르면 다음 주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미국 정부는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부 장관의 방북에 이어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서한을 교환하는 등 북한과 러시아 간 무기 거래 협상이 진전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자리에 김 위원장이 러시아와의 군사협력 강화를 제안하며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요청하자 쇼이구 장관이 김 위원장의 방러를 맞제안했다는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NYT, 美정부 관계자 인용 보도

- 10~13일 푸틴과 정상회담 유력
- 北 탄약 주고 첨단기술 받는 거래
- 북중·북러 관계 개선 속도낼 듯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이 이르면 다음 주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할 것으로 보인다. 이 자리에서 우크라이나전에 투입할 무기 거래 문제가 논의될 전망이다.

2019년 4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만난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욕타임스(NYT)는 4일(현지시간) 미국 정부 관계자 등을 인용, 김 위원장이 러시아를 방문할 계획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오는 10~13일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에서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만날 수 있다는 내용으로, 김 위원장은 열차를 이용해 블라디보스토크로 이동한 뒤 푸틴 대통령과 회담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2019년 4월 열차를 타고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한 바 있다.

앞서 북한 정부 대표단 20명이 지난달 말 기차로 평양에서 출발해 블라디보스토크로 이동한 뒤 비행기로 갈아타고 모스크바로 향해 김 위원장의 방러에 더 무게가 실린다. 회담이 모스크바에서 열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번 북러 정상회담에서는 전쟁 중 무기 부족 사태를 빚는 러시아에 북한이 상당한 수량과 다양한 유형의 탄약을 공급하는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점쳐진다. 미 국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러시아가 원하는 탄약과 대전차 미사일 등을 공급하는 대가로 위성, 핵 추진 잠수함 등과 관련한 첨단기술 이전과 식량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 정부는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부 장관의 방북에 이어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서한을 교환하는 등 북한과 러시아 간 무기 거래 협상이 진전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위원장의 방러 추진은 지난 7월 쇼이구 국방 장관의 방북 때 처음 제안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 자리에 김 위원장이 러시아와의 군사협력 강화를 제안하며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요청하자 쇼이구 장관이 김 위원장의 방러를 맞제안했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러시아 순방길에서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하는 것 외에도 블라디보스토크의 러시아태평양함대사령부 33번 부두와 보스토치니 우주기지를 찾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이 성사되면 2019년 4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푸틴 대통령과 만난 이후 약 4년 반만의 외국행이 된다. 북한은 2020년 코로나19 확산 이후 국경을 걸어 잠갔고, 대면 정상외교도 피했으며, 최근에야 외국과 인적교류를 재개하는 등 국경 봉쇄를 제한적으로 풀기 시작했다. 잇단 미사일 도발로 더 고립된 북한은 푸틴 대통령과의 만남을 통해 대면 정상외교를 재개하면서 ‘신냉전’ 구도 속에 북중 및 북러 관계 개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미·일 3국 간 안보 공조를 격상시킨 지난 8월 한·미·일 정상회의에 대한 북·중·러 진영의 맞대응이 시작됨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동방경제포럼에 참석, 북·중·러 정상이 한 자리에 모일 가능성도 거론된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