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부추긴 ‘오염수 진영 대결’…시민들은 극한 난타전

이유진·김세훈 기자 2023. 9. 5. 21: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 기업 후원받은 쯔양·우려글 올린 김윤아 등에 댓글 공격
“윤 대통령 ‘싸울 수밖에’ 등 협치 실종 발언, 양극화 부추겨”
“국민의 건강·안전 지킵니다” 박성훈 해양수산부 차관(가운데)이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정부 일일 브리핑에 참석해 우리 해역과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안전 관리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시국에 굳이 수산물 먹방을….” “반일 선동하지 마라.”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시작한 이후 정부 대응에 찬성·반대하는 측이 각자 성향에 맞지 않는 유튜버나 연예인을 공격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협치는 없다”는 식의 정부 태도가 이 같은 싸움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치의 양극화가 시민들의 양극화로 전이되었다는 것이다.

구독자 868만명의 먹방(먹는 방송) 유튜버 ‘쯔양’(본명 박정원)은 지난달 25일 새우장과 연어장 먹방 영상에 이어 지난 2일 서울 송파구 가락시장에서 킹크랩을 먹는 영상을 유튜브 채널에 올렸다. 새우장·연어장 먹방에는 일본 주류업체 산토리가 후원사로 참여했다. 일부 누리꾼들은 지난달 24일부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를 언급하며 “이런 시점에 일본 기업 후원을 받는 게 맞느냐” “오염수에 절인 수산물 먹방을 하지 말아라” 등의 댓글을 달았다. 이를 온라인 매체 등이 보도하면서 유튜브 댓글창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찬성하는 측과 반대하는 측이 서로를 비난하는 싸움터가 됐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우려를 표한 연예인을 향해 비난이 쏟아지기도 했다. 밴드 자우림 보컬 김윤아씨는 오염수 방류 당일인 지난달 24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RIP 地球(지구)’라고 적힌 이미지를 올리면서 “며칠 전부터 나는 분노에 휩싸여 있었다. (중략) 오늘 같은 날 지옥에 대해 생각한다”는 글을 남겼다. 관련 보도가 나오자 친여 성향 누리꾼은 물론 전여옥 전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의원, 최순실씨(개명 후 최서원)의 딸 정유라씨 등이 일제히 김씨를 비난했다. 전 의원은 7년 전 한 방송에서 김씨가 오사카 한 식당을 찾아 식사하는 장면을 캡처해 올리고는 “2016년과 2019년 김윤아는 ‘일본먹방러’로 끝내줬다”고 조롱했다. 배우 장혁진씨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당일 “오늘을 기억해야 한다. 오염수 방출의 날. 이런 만행이라니 너무나 일본스럽다. 맘 놓고 해산물 먹을 날이 사라짐. 다음 세대에게 죄지었다”는 내용의 글을 SNS에 쓴 뒤 ‘악성 댓글 세례’를 받았다.

극우 성향 유튜브 채널 ‘신의한수’(구독자 147만명)는 지난달 25일 ”최근 며칠 사이 대한민국에 후쿠시마 처리수 방류와 관련해 극심한 반일 선동을 하는 연예인들이 있다”며 “자우림의 김윤아, 배우 장혁진 이 두 인물에 대해 일본 외무성 차원에서 일본에 대한 영구 입국금지 조치를 취해주시길 바란다”는 내용의 e메일을 일본 외무성에 보냈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설득·토론·타협 대신 진영 대결로 오염수 문제를 몰아가는 정부 태도가 편 가르기를 부추긴다고 지적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도대체가 ‘과학이라는 건 1+1을 100’이라고 하는 사람들, 이런 세력들하고 우리가 싸울 수밖에 없다”며 “엉뚱한 생각을 하고 우리는 앞으로 가려고 하는데 뒤로 가겠다고 하면 그건 안 된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정치의 양극화가 시민의 갈등을 부추긴다고 말한다. 김윤태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5일 통화에서 “합리적인 토론을 내놓아야 할 정치인과 정부가 지지층 결집을 위한 이벤트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정치가 진영화되다 보니 민주적인 공론장이 아니라 진영논리에 따라 상대방을 무조건 비난하고 악마화하는 혐오문화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이유진·김세훈 기자 yjle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