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연금' 낼 사람 없는데 수급자는 산더미… 2027년 100조원 육박

윤지영 기자 2023. 9. 5. 20: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공적연금 의무지출 규모가 갈수록 급격히 상승해 오는 2027년에는 100조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지난해 전망 당시에는 공적연금 의무지출 규모가 2024년 73조3000억원, 2025년 80조3000억원, 2026년 85조8000억원으로 추산됐다.

공적연금 의무지출에 따른 의무지출 증가로 정부의 정책적 의지에 따라 투입 규모가 결정되는 재량 지출 비중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적연금 의무지출 증가로 재량 지출 비중이 줄어들어 향후 정부의 재정 정책 운신폭이 우려된다. 사진은 주호영 위원장이 지난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공적연금 의무지출 규모가 갈수록 급격히 상승해 오는 2027년에는 100조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의무지출 증가로 재량 지출 비중이 줄어들어 향후 정부 재정 정책 운신의 폭이 좁아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5일 뉴시스에 따르면 국가재정운용계획(2023~2027년) 내 올해 공적연금 의무지출은 67조7000억원으로 추산된다. 2024년에는 77조6000억원, 2025년 83조6000억원, 2026년 89조5000억원, 2027년 96조원으로 점점 오를 전망이다. 의무지출은 고령화·저출산으로 인한 복지분야 법정지출과 국채이자, 4대 공적연금(국민·공무원·사학·군인) 등을 의미한다. 정부가 임의로 규모를 조절할 수 없는 지출이라는 뜻이다.

지난해 전망 당시에는 공적연금 의무지출 규모가 2024년 73조3000억원, 2025년 80조3000억원, 2026년 85조8000억원으로 추산됐다. 하지만 1년이 지나 재추계한 결과 매년 3조~4조원 가량 불었다. 4대 공적연금 의무지출 연평균 증가율은 9.1%로 예측됐다. 고령화의 빠른 진행으로 인해 은퇴 후 연금을 받는 인구의 증가 속도가 연금 납입금을 내야 하는 인구 속도를 앞선 영향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인구 중 유소년인구는 11.5%, 생산연령인구는 71.0%, 고령인구는 17.5% 수준이다. 이 같은 구성비는 2022~2070년 사이 유소년인구와 생산연령인구의 구성비가 각각 4.0%포인트(p), 24.9%p 감소하는 반면 고령인구 구성비는 28.9%p 증가하는 등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민연금은 고령화에 따른 급여수급자 증가 등에 따라 올해 36조2000억원에서 2027년 53조3000억원으로 연평균 10.1% 증가할 전망이다. 공무원연금은 올해 22조7000억원에서 2027년 30조4000억원으로 연평균 7.5%, 사학연금은 4조9000억원에서 7조1000억원으로 연평균 9.7%, 군인연금은 3조8000억원에서 5조2000억원으로 연평균 8.0% 늘어날 전망이다.

공적연금 의무지출에 따른 의무지출 증가로 정부의 정책적 의지에 따라 투입 규모가 결정되는 재량 지출 비중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향후 좁아질 정부 재정 정책 운신폭이 걱정된다는 지적이다.
공적연금 의무지출 규모가 갈수록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사진은 4대 공적연금 의무지출 전망. /그래픽=뉴시스


윤지영 기자 y2ung23@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