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성장률 0.6%…한은 "소비·수출 개선 흐름"

하상렬 2023. 9. 5. 20: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은, 2023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 발표
2분기 GDP 전기비 0.6% 속보치와 동일
수출·수입 속보치比 0.9%p·0.5%p↑…여전히 -0.9%·-4.2%
실질 GNI 0.7%↓…작년 3분기 이후 첫 감소

[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올해 2분기(4~6월) 우리나라 경제가 전기 대비 0.6% 잠정 성장했다.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순수출’ 기여도가 5분기 만에 플러스(+) 전환하며 성장을 이끌었지만,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감소한 영향이다. 지난 속보치 대비 수출과 수입이 상향 수정됐지만, 소위 ‘불황형 성장’의 그늘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다만 한국은행은 소비가 회복되고 있고 수출 부진도 완화되고 있기 때문에 경제 성장세가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2분기 경제 0.6% 잠정 성장…수출·수입 모두 줄어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23년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계절조정 기준) 잠정치’에 따르면 2분기 전기대비 성장률은 0.6%로 집계됐다. 지난 7월 발표된 속보치(0.6%)와 동일했다. 지난 1분기(0.3%)에 이은 2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으로 전년동기대비로도 0.9% 성장해 속보치(0.9%)와 같았다. 순수출 성장 기여도가 1.4%포인트로 5분기 만에 플러스 전환한 영향이 컸다. 순수출 기여도는 속보치(1.3%포인트)보다 0.1%포인트 개선되기도 했다.

하지만 내용상으로 긍정적인 측면은 없었다. 수출과 수입이 모두 줄어든 가운데 수입 감소 폭이 더 커 성장한 ‘불황형 성장’의 성격이 짙기 때문이다. 수출과 수입 모두 속보치(1.8%, 4.2%)보다 개선됐지만 여전히 마이너스(-)를 보였다. 수출이 0.9% 감소해 한 분기 만에 감소 전환됐다. 반도체, 자동차 등이 늘었으나 석유제품 등이 줄어든 영향이다. 수입도 원유, 천연가스 등을 중심으로 3.7% 감소해 한 분기 만에 감소 전환했다.

내수도 부진했다. 소비, 투자 등을 고려한 내수 성장 기여도는 -0.8%포인트로 5분기 만에 마이너스 전환했다. 속보치(-0.6%)보다도 악화됐다.

민간소비가 0.1% 감소해 한 분기 만에 마이너스 전환했다. 속보치(0.1%)와 동일했다. 의류 및 신발 등 준내구재와 음식숙박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줄었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 현물 수혜가 줄어들면서 2.1% 급감, 속보치(1.9%)보다 악화됐다. 이는 외환위기였던 1997년 1분기(-2.3%) 이후 가장 저조한 수준이다. 투자도 저조했다. 건설투자는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0.8% 감소해 속보치(-0.3%)보다 0.5%포인트 악화됐다. 3분기 만의 감소 전환이다.

국내로 벌어들인 소득도 낙제점이었다. 실질 국내총소득(GNI)은 전기대비 0.7% 감소해 속보치(0%)보다 0.7%포인트나 줄었다.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14조9000억원에서 10조3000억원으로 감소하고, 실질 무역손실이 32조2000억원에서 34조원으로 커진 영향이다. 실질 GNI가 감소한 것은 지난해 3분기(-0.4%) 이후 처음이다. 2분기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역대 두 번째를 기록했지만, 1분기 역대 최고치를 보였기에 전기대비 감소했다는 것이 한은 설명이다. 정부가 올초부터 해외 자회사로부터 받는 배당금에 법인세를 추가 부과하지 않기로 하면서 1분기 배당금이 국내로 많이 들어왔기 때문이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한은 “소비 회복·수출 부진 완화…관광객도 늘어”

한은은 성장세가 점차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정태 한은 경제통계국 국민계정부장은 “소비자심리지수가 6월 100을 넘어선 이후 상승 추세를 보이는 등 민간소비의 완만한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고, 수출은 반도체 및 대(對)중국 수출 감소폭이 완화되면서 완만한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며 “일평균 입국자수도 1분기 1만9400명에서 2분기 3만200명, 7월 3만3400명, 8월 3만6200명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인 단체 관광객 유입, 미국 경제 연착륙 가능성 등 상방 요인과 국내 펜트업(Pent-up·억눌린) 소비 약화, 중국 경제의 더딘 회복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추가 긴축 우려 등 하방 요인이 있어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하상렬 (lowhigh@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