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자동차 ‘빅 3’ 파업 전운... 바이든, 노조에 “전기차 걱정 말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 노동절인 4일(현지시간) "전기자동차 시대가 돼도 미국에서 생산될 테니 노동조합에 가입된 중산층 노동자는 걱정할 것 없다"고 말했다.
그는 "미래 전기차가 제조될 곳이 미국인 만큼 양질의 노조 일자리는 보호되고 확대될 수 있다"며 "급여가 많은 자동차 제조업이 중산층의 주된 일자리라는 사실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업 걱정 없다, 발생하지 않을 것” 자신감
‘대공황’ 후버와 비교해 트럼프 깎아내리기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 노동절인 4일(현지시간) “전기자동차 시대가 돼도 미국에서 생산될 테니 노동조합에 가입된 중산층 노동자는 걱정할 것 없다”고 말했다. 미 3대 자동차 제조사 상대 파업을 벼르고 있는 전미자동차노조(UAW)에 보내는 메시지다.
섭씨 30도 가까운 후덥지근한 날씨 속에 셔츠 차림으로 이날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노조 행사의 연단에 선 바이든 대통령은 북미산 전기차에만 보조금이 제공되도록 규정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주요 치적으로 내세웠다. 그는 “미래 전기차가 제조될 곳이 미국인 만큼 양질의 노조 일자리는 보호되고 확대될 수 있다”며 “급여가 많은 자동차 제조업이 중산층의 주된 일자리라는 사실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어 “우리의 핵심 원칙은 미국 제품과 미국 노동력으로 미국에서 생산하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 발언은 UAW의 파업 전운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나왔다. 미 3대 완성차 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스텔란티스 소속 노동자 약 15만 명이 조합원으로 가입된 UAW는 사측에 임금 인상과 고용 보장 등을 요구하며 협상 결렬 시 파업을 불사하겠다고 경고해 왔다. 이들이 예고한 타결 시한은 열흘 뒤인 14일이다. ‘4년간 임금 40% 인상’ 등의 강경한 요구 뒤에는 전기차 전환으로 공장 폐쇄와 대규모 감원이 야기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도사리고 있다는 게 업계 안팎의 분석이다. 이날 연설에는 이를 달래는 한편, 대선을 1년여 앞두고 아직 지지 표명을 하지 않은 UAW의 환심을 사려는 심산이 깔려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노동자를 향한 구애는 연설 내내 이어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세계 최고 노동자를 보유한 나라는 미국”이라며 “미 역사상 가장 친노조적인 대통령이라는 전문가들 평가가 자랑스럽다”고 했다. 그는 “미국보다 안전한 투자처가 없고 미국에 세계 최고 노동력이 있어 투자를 결정했다”는 최태원 SK 회장 얘기도 거듭 거론했다. 필라델피아로 떠나기 전 기자들과 만나서는 “파업을 걱정하지 않고, 그런 일이 발생할 것으로 생각하지도 않는다”며 짐짓 자신감을 보이기도 했다.
“전임자는, 전임자는…” 조목조목 무능 지적
다른 주요 화제는 재선 가도의 경쟁자가 될 공산이 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능이었다. ‘전임자’로 부르며 조목조목 실정을 지적하고, 자신의 성과와 대조했다. “전임자 재임 때 우리는 일자리를 중국으로 넘겼지만 지금은 중국으로부터 일자리를 가져오고 있다”거나 “전임자가 여기 있을 때 위태로웠던 당신의 연금을 우리는 여러분 협조 속에 구했다”고 주장하는 식이었다. 또 “전임자는 파크 애비뉴(뉴욕시 번화가)에서 세상을 봤지만 나는 펜실베이니아주 스크랜턴과 델라웨어주 클레이몬트에서 세상을 본다”며 자신이 ‘친중산층’임을 부각했다.
압권은 대공황 당시 대통령인 허버트 후버(1929~1933년 재임)를 비교 대상으로 언급해 트럼프 전 대통령을 깎아내린 것이다. 그는 “내 전임자는 역사상 선출됐을 때보다 일자리가 줄어든 상황에서 퇴임한 두 명 중 한 명”이라고 소개한 뒤 “나머지 한 명은 누군지 아느냐”라며 후버를 소환했다. 후버는 최악의 미 대통령을 뽑는 조사 때 자주 거론되는 인물이다.
다만 네 차례 기소돼 재판을 앞두고 있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를 공격 대상으로 삼는 건 자제하는 모습이었다. 정치 탄압이라는 보수 진영 내 여론이 만만치 않은 터에 섣불리 이를 자극했다간 공화당 지지층 결집이라는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판단이었을 것이라고 미 언론들은 분석했다.
워싱턴= 권경성 기자 ficciones@hankookilbo.com
정승임 기자 choni@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지민 동생, 김준호에 "뭐가 아쉬워서 돌싱을"...돌직구
- 이효리, 남편 이상순 과거 폭로 "클럽서 인기 많았다"
- '김포→여의도 30분' 오세훈의 수상버스, '대박'일까 '쪽박'일까
- 가수 화사, 외설 논란 심경 고백 "악플 수위 높아 오열"
- 김민종, 억대 외제차 박은 차주에 "괜찮다" 미담 화제
- 최강욱 "文 지나치게 나서는 게 문제? 대통령실 말장난이 문제"
- 지적장애 여성노숙인은 어쩌다 '묻지마 폭행'범이 됐나
- 초유의 '공교육 멈춤'에 일부 학교 파행... 교사들 "더는 물러설 곳 없다"
- 포닥 내보내야 하나, 실험쥐 죽여야 하나… 과학자들 “모욕감 느낀다”
- 이승기, '노쇼' 논란에 2차 반박 "악의적 흠집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