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AI 키우려면…'성공률 높은' 일거리 줘야"

변휘 기자 2023. 9. 5. 14: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픈AI의 '챗GPT'를 시작으로 구글·메타 등의 초거대AI 플랫폼이 한국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고 위원장은 "초거대AI 모델의 수출은 구축 뿐만 아니라 파인튜닝(미세조정)과 뒤따르는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등 AI생태계 참여자들과 함께 해야 한다"며 "관련 민간 기업들과 함께 우리의 초거대AI 생태계 자체를 수출하고, 그렇게 진출한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T리포트-국산AI '골든타임']⑥인터뷰-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
[편집자주] 오픈AI의 '챗GPT'를 시작으로 구글·메타 등의 초거대AI 플랫폼이 한국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이에 맞서 국산 초거대AI 기업들도 세계시장을 홀릴 독창적 기술력을 승부수로 내세우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우리 정부와 민간의 지원도 단단하다. 미래 사회의 중추 기술인 AI 주도권을 글로벌 빅테크에 내주면 자칫 '디지털 기술 주권' 전체를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국산 초거대AI의 '골든타임'을 지키려는 각계의 노력을 조명한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 /사진=김휘선 기자 hwijpg@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서울 광화문 집무실에서 만나 국산 초거대AI 육성을 위한 과제로 "많은 일거리"를 첫손에 꼽았다.

일례로 네이버(NAVER)는 초거대AI 기본모델 '하이퍼클로버X' 개발에 2017년 이후 1조원 이상을 투자했다. 글로벌 빅테크에 비해선 적지만, 네이버의 연간 영업이익(지난해 기준 1조3047억원)을 오롯이 단일 사업에 쏟아붓는 셈이다. 다른 기업도 비용 부담은 마찬가지다. GPU 등 AI 관련 컴퓨팅 자원의 가격 급등으로 국내 대기업도 머지않아 한계에 부닥칠 수 있다.

고 위원장은 "결국 국산AI가 폭넓게 활용돼야 (수익을 올려야) 개발 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성공 가능성이 높은 일거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제된 데이터와 우수한 인적자원이 뒷받침하는 과제, 그에 부합하는 공공부문의 발주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년 정부 전용 초거대AI를 구축할 계획이다. 공공 부문의 데이터를 초거대AI가 학습해 정부 업무의 이해도가 높은 AI를 구현하는 것으로, 복수 민간 기업의 초거대AI 인프라를 활용한다. 네이버, LG, KT, SK텔레콤, 카카오브레인 등이 도전할 전망이다.

고 위원장은 "국가 보안과 연관 있는 데이터, 또는 국민의 개인정보 데이터까지 포함해 정부가 보유한 민감 데이터를 학습하기 위한 정부 전용 초거대AI"라고 설명했다. 아무래도 글로벌 빅테크의 초거대 AI에 맡기기는 어려운 영역이다. 아울러 정부는 중소·벤처기업과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등이 초거대AI를 주요 업무에 접목해 볼 수 있도록 '민간의 초거대 AI 활용지원 사업'도 추진 중이다.

고 위원장은 민간 기업들과 함께하는 정부 전용 초거대AI의 수출 모델도 제시했다. 고 위원장은 "민관 협력으로 현 정부 임기 내 공공부문의 생산성 향상 성과가 가시화될 것"이라며, 성과가 명시적인 숫자로 표시된다면 한국형 정부 AI 모델 수출의 물꼬를 틀 수 있다고 봤다. 주요 타깃은 중동을 비롯한 아시아권의 자체 언어를 쓰는 국가들이다. 자체 초거대AI를 보유한 미국·중국·이스라엘 등은 정치적 배경의 제약과 더불어 기술 및 운영 노하우 이전에 소극적인 데 반해 한국은 그렇지 않다는 게 그들의 판단이다.

고 위원장은 "초거대AI 모델의 수출은 구축 뿐만 아니라 파인튜닝(미세조정)과 뒤따르는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등 AI생태계 참여자들과 함께 해야 한다"며 "관련 민간 기업들과 함께 우리의 초거대AI 생태계 자체를 수출하고, 그렇게 진출한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함께 고 위원장은 국산 초거대AI 육성을 위한 또 다른 핵심 과제로 데이터 관련 법·제도의 확립을 강조했다. 그는 "개인정보 및 저작권 이슈는 앞으로 초거대AI 활용이 확산될수록 점점 더 심각하게 제기될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변휘 기자 hynews@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