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래서 대기업, 대기업” 비정규직이라도 좋아.. 대졸 월급, 영세기업 정규직 웃돌아
업체 규모 따라 임금 ‘격차’ 심화
중견기업 일자리 만족도 등 낮아
3명 중 1명 이상 “이직 준비 중”
가더라도 대기업. 비정규직이라도 좋은건 다 이유가 있었습니다. 대기업 정규직 월급이 300만 원을 넘을 때, 중견기업(자산 규모 5,000억 이상 10조 미만 기업. 대기업에 못 미치나 중소기업보다 우수한 기업)은 270만 원, 이보다 규모가 더 적어 ‘그 외 기업’으로 분류되는 영세기업은 더 적은 230만 원을 받는데 그쳤습니다. 영세기업 정규직은 심지어 대기업 비정규직보다 월급이 더 적었습니다.
기업 규모에 따라 심화되는 임금 격차는, 고용시장 침체는 물론 청년층 고용의 질과 경제적 안정성을 떨어뜨리면서 궁극적으로 노동 생산성 저하를 부추길 수 있어 각 기업 규모별 정책 지원과 고용 대책들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오늘(5일)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내놓은 ‘중견기업의 청년 고용변화와 일자리 사업 정책과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정규직의 경우 월 250만 원, 비정규직은 정규직의 80.4% 수준인 월 201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기업 규모와 종사상 지위에 따른 편차가 컸습니다. 대기업의 정규직이 318만 원, 비정규직 239만 원으로 정규직의 75.2%로 나타났습니다. 대기업보다 다소 규모가 적은 중견기업에선 이보다 낮아 정규직 278만 원, 비정규직 219만 원(78.8%)을 받았습니다.
기업 규모가 더 적은 ‘그 외 기업’인 영세기업에 들어간 대졸 청년들이 받는 임금 타격이 더 컸습니다. 이들 기업에 첫발을 들여놓은 경우, 정규직은 대기업 비정규직보다 적은 235만 원, 비정규직 임금은 조사 대상 전체 청년 가운데 가장 낮은 196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대기업 정규직에 비해 ‘그 외 기업’ 비정규직은 매달 평균 122만 원이 적은 월급을 받는다는 얘기입니다.
이같은 조사결과는 한국고용정보원의 권혜자 연구위원이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원자료를 공정거래위원회·산업자원부의 기업정보 등과 연계해 ‘대졸청년 임금근로자 기업집단 재구축자료’를 산출해 내놓은 결과로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는 전국 전문대와 대졸자(1만 8,000명)를 대상으로 매해 임금과 경제활동 상태, 일자리 경험 등을 파악하는 대규모 조사입니다. 기업 규모에 따라 대기업과 중견기업, 공공기업, 그 외 기업(영세기업)으로 분류하고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따른 대졸 청년들의 임금수준을 조사했습니다.
다만 2020년 임금수준은 대기업은 정규직·비정규직 모두 2019년 326만 원, 225만 원보다 소폭 하락했습니다. 관련해 권 연구위원은 “조사 기준시점이 월 기준이기 때문에 2020년 코로나 사태가 임금과 고용에 미친 영향이 반영된 것”이라며 “코로나 사태로 인해 적지 않은 기업에서 신규 채용이 정지되거나 연기되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갓 사회생활을 시작한 대졸 상시 근로자 가운데 이직을 준비하는 비율은 2020년 기준 27%로 2014년 14.8%에 비해 크게 늘었습니다.
특히 중견기업에서 35.4%로 가장 높았고, 공공부문 25.9%, 영세기업이 28.1%로 나타났습니다. 이직 준비를 하는 이유는 ‘보수가 적어서’, ‘전망이 없어서’ 등 답변 비중이 높았습니다.
공공부문에서는 비정규직 비율이 높기 때문에 고용이 불안정하거나 계약이 종료될 것에 대비해(29.7%) 이직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고, 중견기업의 경우 보수에 대한 불만(37.9%)과 전망의 부재(24.5%)에 대한 불만이 대기업집단이나 그외 기업에 비해 매우 높은 특징을 보였습니다.
영세기업 등 그 외 기업의 보수가 적어 이직 준비를 한다는 응답도 36.2%에 달했습니다.
이같은 추이에 대해 권 연구위원은 “현 직장의 일자리 만족도와 업무 만족도는 중견기업에서 뚜렷하게 낮고, 대기업집단과 공공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중견기업의 만족도는 그 외 기업과 유사하거나 더 낮았다”면서 “기업 규모 간 임금 고용조건의 양극화와 양질의 일자리 부족 상태에, 고용의 질 제고 전략에 대한 대안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문했습니다.
더불어 “정부의 전략적 육성산업 또는 중견기업 특성을 고려해 지원요건을 차등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중견기업 성장단계에 따라 후보 중견기업 이나 성장이 유망한 예비 중견기업에 대한 고용 지원과 고용서비스지원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